씨수소 안내책자 보는 요령

① 씨수소명과 정액코드

씨수소명과 농협 젖소 씨수소의 미국종축협회( NAAB, National Association of Animal Breeders) 인증번호로 씨수소의 번호. 208번은 한국 농협 젖소개량사업소를 뜻하며 HO는 홀스타인 젖소를 뜻한다(미국 최대 정액생산기관인 Select Sire사는 7번, 캐나다 최대기관인 C.I.A.Q사는 73번 인증 번호를 사용). 씨수소번호는 정액스트로 표면에 인쇄되는 번호로 5자리되어 있으며 한국형 씨수소 중 첫 두자리가 “10”이면 한국산 후보우, “04”이면 외국산 후보우를 뜻한다.

정액스트로 표면 인쇄내용은 다음과 같다.

② 개량형질
씨수소의 유전능력 성적이 우수한 형질로 생산 될 딸소의 개량부위로 선택
③ 등록번호
한국종축개량협회에서 부여한 우리나라 등록번호.
괄호 내는 도입국(“한”은 한국,“미”는 미국, “캐”는 캐나다, “이”는 이탈리아 등)과 도입국에서 부여한 등록번호.
④ 종합지수

각 국별 개량방향이나 농가수익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어 일률적인 비교는 할 수 없다. 이 능력으로 씨수소 순위 결정이 가능하다.

  • 한국형 체형능력종합지수(KTPI, Korea Type-Production Index) 유지방 37, 유단백 27, 체형 15, 유방종합지수 10, 발굽과 다리 6, 체세포 5의 비율로 계산된다. [37xPTAF/SD(PTAF)+27PTAP/SD(PTAP)+15PTAT/SD(PTAT)+10UDC/SD(UDC)+6FLC/SD(FLC)-5PTAS/SD(PTAS)]*3.8+1800
  • 미국형 종합지수(TPI, Total Performance Index) 또는 GTPI(Genomic Total Performance Index) 그리고 CTPI (Conformation Total Performance Index) 체형과 생산능력을 종합한 지수로 유단백 27, 유지방 16, 사료효율 3, 체형 8, 예각성 -1, 유방지수 11, 발굽과 다리 6, 생애지수7, 체세포 -5, 임신율 13, 분만난이도 -2 , 딸소 사산율 -1 비율로 계산된다. GTPI = [27(PTAP)/19+16(PTAF)/22.5+3(FE)/44+8(PTAT)/0.73-1(DF)/1.0+11(UDC)/0.8+6(FLC)/0.85+7(PL)/1.51-5(SCS)/0.12+13(DPR)/1.25-2(DCE)/1.0-1(DSB)/0.9]3.9+2187
  • 캐나다형 생애수익지수(LPI, Lifetime Profit Index) 또는 GLPI(Genomic Lifetime Profit Index) 2013년 4월부터 기존의 생애수익지수(LPI)와 함께 GLPI를 이용하여 성적을 발표하고 있는데 성적이 GLPI로 발표되는 씨수소는 기존 데이터뿐만 아니라 관련 유전자 정보를 유전평가 항목에 추가하여 평가 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캐나다 생애수익지수는 생산능력, 내구성, 건강 및 수태율을 고려한 지수로 생산능력(유단백 6.0, 유지방 4.0)에 가중치를 40,내구성(축군수명 2, 유방 4, 지제 3, 강건성 1)에 40,건강 및 수태율(딸소 수태율 6.7, 유방염저항성 3.3)에 20을 주어 계산하고 상수(1945)값을 더한다. {40[6.0×(PY-avg)/sd + 4.0×(FY-avg)/sd]×cf1 + 40[2.0×(HL-100)/5 + 4.0×MS/5 + 3.0×F&L/5 + 1.0×DS/5]×cf2 + 20[6.7×(DF-100)/5 + 3.3×(MR-100)/5]×cf3} + 1945
⑤ 혈통(Pedigree)
혈통은 계획교배용 씨수소를 선정할 때 필수적인 고려사항으로 어미보다는 인공수정이 보편화된 아비소의 혈통을 고려하여야 한다. 통상적으로 3대(조부)혈통까지 교배용 씨수소와 농가암소가 중복되는 혈통이 없을 시 근친의 우려가 적다.
⑥ 생산유전능력
  • 추정유전전달능력(PTA, Predicted Transmitting Ability) 씨수소가 자식에게 전달할 수 있는 유전적 개량도에 대한 추정치로 암소와 수소 모두 계산된다. 미국의 경우 2010년, 한국의 경우 2005년 태어난 암소 평균을 “0”로 하여 계산한다. 유량(M) 추정유전전달능력이 1,000kg인 씨수소 정액을 사용할 경우 500kg인 씨수소정액을 사용하는 것보다 딸소 유량이 연간 약 500kg정도 더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하며, 유량(PTAM), 유지량(PTAF), 유단백량(PTAP), 체형(PTAT)등을 표시하는데 쓰이며, 한국은 kg, 미국은 lb(파운드)로 단위를 표시하나 여기서는 모든 단위를 kg으로 환산하여 표기한다.
  • 추정육종가(EBV, Estimated Breeding Value) 캐나다 생산능력은 성년형 환산 kg 기준으로 추정 육종가로 표시되는데 추정유전전달능력으로의 환산은 생산량을 2로 나누면 된다. 캐나다는 매년 유전평가기준을 변경하는데 현재는 2009년부터 2011년 사이(7년전)에 태어난 암소를 포함한 평균능력을 “0”으로 하여 유량(EBVM), 유지량(EBVF), 유단백량(EBVP)을 계산하고 있다.
⑦ 신뢰도
유전적 평가의 정확도를 나타내며 1 - 99% 범위를 나타낸다. 99%에 가까울수록 추정전달유전능력의 정확도가 높다.
⑧ 체형유전능력
씨수소가 생산한 딸소들의 선형심사 부위별 유전능력을 나타낸 것으로 이들 부위는 젖소의 생산능력 및 장수성 등에 가장 중요한 형질들로 각 형질별 평균을 기준으로 하여 미국은 ±3, 캐나다는 ±15의 수치범위 내에 개량치를 나타내고 있다. 특히 관련되는 체형부위 중 우군경제수명이나 장수성 등에 밀접한 여러 가지 형질에 일정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계산하는 체형종합지수(Composite Index)를 계산하기도 한다. 미국의 경우 축군 수명(Herd life)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방종합지수(Udder Composite Index)는 [(0.35*유방깊이) + (0.16*앞유방붙임) + (0.16*뒷유방높이) + (0.12*뒷유방너비) + (0.09*정중제인대) + (0.05*앞유두배열) – (0.07*뒷유두배열)]로 계산하며, 지제종합지수(Feet and Leg Composite)는 [0.48*발굽각도 + 0.37*(뒷다리 자세 - 뒤에서 본 뒷다리) - 0.15*(뒷다리 자세- 옆에서 본 뒷다리)] 등 다리관련 3가지 형질의 STA 값을 1/2로 나누고 지제점수를 1/2로 나눈 수치를 합산하여 계산한다. 특히 지제종합지수는 최근에 젖소 선발에 필수적인 5가지 형질 중에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이외에도 체고, 체심, 엉덩이기울기, 엉덩이너비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체구종합지수(Body Form Composite Index), 유용체구, 강건성 등을 고려하여 계산하는 유용체적종합지수(Dairy Capacity Composite Index)등을 발표하고 있으며, 캐나다는 주요 체형형질로 유용자질, 체적, 엉덩이, 지제, 유방계, 전유방, 후유방 등에 대한 유전능력을 활용하고 있다.
⑨ 보조적인 특징
  • 생산수명(Productive Life) 다른 씨수소 딸소들(평균 3산)에 비한 착유수명이 얼마나 더 긴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7세까지의 실제 10개월 착유월수와 각 형질별 체형 선형심사성적 특히 유방관련성적을 고려하여 –7.0 ~ +7.0의 일반적인 범위(±개월)로 계산한다. 캐나다산 씨수소는 축군 수명(Herd Life)으로 나타내며 축군 내 4산(6살 기준)까지 머물 수 있느냐를 나타내며 평균 100(4산차 생존율 31%)을 기준으로 85(20%이하)~115(50%이상)의 범위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4산차 생존율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 분만 난이도(Calving Ease) 해당 씨수소의 딸소가 첫 분만 시 난산할 확률을 나타낸 것으로 미국은 DCE(Daughter Calving Ease)로, 씨수소 정액을 사용한 암소가 첫 분만할 때 난산할 확률(대략 8%)을 SCE(Sire Calving Ease)로 나타내며 수치가 낮을수록 난산확률이 낮아진다. 캐나다는 씨수소의 딸소가 분만 시 순산 정도를 나타내는 DCA(Daughter Calving Ability)와 씨수소정액을 사용한 암소가 분만할 때 순산 정도를 나타내는 CA(Calving Ability)로 표시하며 평균 100을 기준으로 85~115의 범위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순산할 확률이 높다는 의미이다.
  • 수태율(Fertility) 수태율은 착유소의 출산-수정 간격을 21일 기간 동안 임신한 사실 여부을 알아보기 위해 암소의 인공수정 횟수 대비 임신한 암소의 비율이다. 젖소의 생식력의 차이로 번식에 대한 잠재성을 보기에, 미국산 딸소 임신율 DPR(Daughter Pregnancy Rate)은 수치(기준 ±0%)가 1% 증가(감소)할 때마다 발정재귀일수가 4일정도 감소(증가)하여 임신을 예측하고, 캐나다산 수태율 DF(Daughter Fertility)는 딸소 재귀발정률(NRR)의 평균 66%(육성우 76%, 경산우 61%)을 기준으로 지표 85~115(NRR 55~75%)강도를 통해서 수치가 높을수록 딸소의 임신능력에 현저히 개량시킬 수 있다.
  • 체세포 점수(Somatic Cell Score) 유방염에 저항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미국산은 평균 3.2이며, 캐나다산은 3.0으로 평균점수보다 낮을수록 저항력이 강하나 유전력은 높지 않다.
  • 비유 지속성(Lactation persistency) 60일 유량과 비교한 280일의 산유량에 대한 씨수소 유전능력을 기반으로 1산(50%가중치), 2산(25%), 그리고 3산차(25%)의 평균가치를 백분율의 관점에서 표현한 값이다. 한 산차에 280일 산유량에 대한 유전력 잠재성은 60일 유량의 67%정도이기에 지표100(67%)을 기준으로 둔다. 85(58%)~115(76%)의 범위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280일 산유량의 유전력 잠재성이 높아진다는 의미이다.
  • 유방염 저항성(Mastitis Resistance) 유방염은 임신과 출산의 반복으로 면역저항력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질병이다. 유방염 저항성은 임상형 유방염 1산, 다산차, 그리고 체세포수를 각 33%씩 가중치로 더하여 환산한 지표로서, 평균 100을 기준으로 유방염 저항성수치가 높을수록 세균이나 곰팡이가 젖소 유방 내에 침입하여 질병이 야기될 확률이 낮아진다.
  • 착유속도(Milking Speed) 암소들의 착유 속도를 5단계(매우느림, 느림, 평균, 빠름, 매우 빠름)로 나누어서 ‘평균’ 또는 ‘빠름’이상 평가된 1산차 딸소 수를 백분율로 환산한 값으로 착유속도가 빠른 씨수소의 경우 수치가 높다.
  • A2 Milk 생산 씨수소(A2A2) 베타-카제인 단백질(β-casein protein)인 A2타입만을 유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딸소에게 전달한다. 단, 암소에도 A2타입일 경우에 한해서 A2타입의 딸소가 생산 가능하다.
⑩ 세부적인 체형특징(STA, Standard Transmitting Ability)

세부적인 체형특징은 표준화 유전 전달능력(STA, Standard Transmitting Ability)의 값으로 한국이나 미국은 -3에서 +3의 범위로, 캐나다는 -15에서 +15값의 범위로 나타나고 있다. 표준화 유전전달능력은 씨수소 딸소들의 체형심사 성적을 상대적으로 비교하기 위해 표준화한 것으로 각각의 능력이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게 된다. 수치의 범위이내가 대부분이며 그 이상 또는 이하는 거의 없으나 있다고 해도 극도로 치우친 체형을 의미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STA 값은 형질에 따라 큰 수치가 좋기도 하나 유방깊이, 뒷다리 각도, 발굽 각도, 엉덩이 경사도, 유두길이 등은 중간정도의 수치가 이상적이다.

  • 강건성 : 앞다리 사이의 가슴바닥의 너비를 평가하는 것으로 이 부위는 심장과 폐가 위치하는 곳으로 심폐장기를 담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넓은 것이 좋다.
  • 체심 : 체심은 등선에서 하복부(뒷갈비의 가장 깊은 부위)까지의 수직적인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반추위와 기타 소화관을 수용하기 위해 중요한 부위로 깊은 것이 좋다.
  • 예각성 : 예각성은 우유생산과 매우 관련이 깊은 형질로 예각성이 좋은 소들은 갈비사이의 개장이 넓고 뒷 갈비의 방향은 뒤쪽으로 모양은 활처럼 휘어져 있으며, 뼈 자체는 둥글지 않고 편평하다. 따라서 예각성은 갈비뼈의 개장도, 뒷갈비의 방향, 갈비 활력, 갈비뼈의 편평성을 점수로 평가한다.
⑪ 국제유전능력평가(MACE, Multi-trait Across Country Evaluation)

젖소의 유전능력(육종가)은 평가집단 내 개체간의 상대적 유전적 가치를 나타낸다. 국가유전능력평가는 국제가축기록위원회(ICAR)산하기구인 인터불(INTERBULL)에서 27개 회원국의 젖소 유전가치에 대한 정기평가결과를 형질별로 분석하여, 순위 계산한 것이다. 인터불평가는 각 참여국에서 유전 평가된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유전능력평가를 실시함으로써 자국 내 환경에서 종축의 유전적 능력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참여국가 내에서 평가순위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한국도 2011년부터 국제유전평가에 참여하고 있으며, 인터불 회원국이 보유한 모든 씨수소를 대상으로 한국낙농환경에서 유전적 능력을 평가하여 매년 3회에 걸쳐 발표하고 있다.

  • 체형종합점수(OCS ; Overall Conformation Score) : 선형심사최종점수(Final Score)
  • 유대수익지수(MFP) : 유량, 유지량, 유단백량의 경제적 가중치를 고려한 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