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결보존법(freezing storage)
광의의 동결보존은 동결점이하의 온도에서의 저장을 의미하지만 국제적으로는 동결저장한 식품의 품질이 비교적 안정한 -18℃이하에서의 저장을 말한다. 그러나 최근의 동결기술의 진보에 의해 저장전의 동결처리를 -40℃ 가깝게 혹은 그것 이상의 온도에서 행하고 -25℃이하에서 저장한 식품이 많아 지고 있다.
-
예비포장(pre package)
예비포장(pre package)
식품을 사전에 합성수지계 재료로 만들어진 것등에 싣고 더욱더 필름(film)으로 덮어 가계
앞에 나란하게 놓고 판매할 경우의 포장방법. 물건에 따라서는 탈산소제등을 포장안에 주입
하는 것도 있다. 구입자는 요구하는 식품의 신선도, 특징 등을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곤란
하다. 한편 판매자측에 있어서는 능률적이고 신선도 유지의 점에서 유리한 것도 있다.
-
풍미(풍미검사): flavor(flavor test)
식품의 맛의 중요한 요소로서 풍미가 있다. 풍미란 후각, 미각, 촉각으로 느끼는 것의 종합
이지만 주체는 향기이고 미각 또는 촉각과 함께 구강을 거쳐 또는 호기(呼氣)와 함께 비공
으로 느껴 검사한다.
-
도살(屠殺: slaughter)
가축을 도살 도끼와 Captive bolt pistol을 이용하여 이마 내리치기, 전격법(電擊法) 혹은 탄산가스에 의해 실신시켜 경동맥(頸動脈) 혹은 대동맥(大動脈)을 잘라 방혈에 의해 사망에 이르게 하는 것.
-
도체(carcass)
도축장에 있어서 가축의 처리과정에서 가축을 도살하고 방혈한 상태를 도체라고 한다. 취급이 쉽도록 박피(剝皮)하여 내장을 적출하고 두부를 제거하고 사지끝 및 미부를 제거한 것을 등을 갈라 지육으로 한다.
-
도체중(carcass weight)
도살한 가축으로 혈액, 가축, 머리, 전후지 및 내장을 제거한 것의 중량.
-
도축(slaughter animal)
식육에 공하는 목적으로 도축장으로 반입되는 가축. 도축장법에서는 우(牛), 마(馬), 돈(豚), 면양(綿羊), 산양(山羊)을 말한다.
-
도축검사(carcass inspection)
소비자에게 안전한 식육을 공급하기 위해서 도축장법에 기초를 두어 행해지는 검사. 도축장으로 반입되는 가축은 생체 검사로서 망진(望診), 촉진(觸診), 검온(檢溫)등의 소위 임상 검사로 도살·해체시에 행하는 내장 및 도체에 대해서는 정밀한 사후 검사가 있다. 검사에 합격한 지육에는 검인(檢印)이 찍혀야 하고 도축장외로 반출하는 것이 허락된다. 더구나 검사는 도도현(都道縣)지사가 임명한 수의사인 도축 검사원이 행한다.
-
방혈(bleeding)
실신시킨 도축으로부터 혈액을 제거하는 공정을 말한다. 경동맥(頸動脈) 혹은 대정맥에 나이프를 넣는다. 도축의 체내에 혈액이 잔류하면 식육에 혈액취가 나거나 세균등이 증식하기 쉽게 되고 조기부패의 원인으로도 되기 때문에 양질의 식육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다 완전한 방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도살방법은 방혈을 어떻게 완전히 행할 수 있는 가라는 관점으로부터 개발이 나아가고 있다.
-
이분할(Side)
도살·해체한 도체를 반으로 자른 것(이분할). 아직 뼈가 붙은채인 것이므로 지육이라고도 한다. 이것에 대하여 이분할하지 않은 것을 통채라고 하고 전에는 이분할이 식육거래상의 최소단위였지만 식육센터등의 발달에 의해 뼈를 제거하게 되고 부분육으로서 진공포장하고 유통되는 것의 비율이 많아져 가고 있다.
-
타액(打額: knocking = 이마를 때리는 것)
가축을 도살할 때 방혈을 좋게하기 위해서 심장이 활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실신시킨다. 전에는 전액부(앞이마부분)를 도기로 타액하고 전액부를 천공하는 방법을 행한 것이 어원. 현재는 소의 경우는 captive volt pistol을 이용하고 돼지의 경우는 타액하지 않고 전격법과 탄산가스에 의한 실신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
resolution of rigor mortis
사후경직의 해제한다고도 한다. 가축을 도살하면 골격근의 내부에서는 혐기적 해당작용의 결과, 유산이 축적하여 pH가 저하함과 동시에 ATP가 소실하여 사후강직을 일으킨다. 그 후
냉장하여 숙성을 하면 식육은 경화하고 식미가 향상한다. 이 연화 현상을 Resolution of
rigor mortis라고 한다. 식용적기로 된 숙성기간은 우육에서는 10일 이상, 돈육에서는 5∼6
일, 계육에서는 0.5∼1일이다.
-
갈색지방(Brown fat)
몸에 축적되고 있는 지방은 에너지원의 저장이라고 하는 역할이 있고, 필요한 때에 체온 유지와 생산을 위해서 이용된다. 이것의 지방은 보통 백색이지만 어떤 종의 포유동물의 신생아에서는 갈색의 지방조직을 가지고 있고, 독특한 열발생원으로써 이용되고 있다.
-
견등심(shoulder)
우육에서는 [앞(전)]으로부터 [어깨]를 해체한 제 5근골의 부근으로부터 3분의 1에 상당하는 부위로 돈육에서는 반 지육의 [어깨]를 견관절직상부에 배선에 평행하게 절개하고 견신골상첨부에 배선과 평행하게 [어깨]를 잘린 부분을 총칭한다.
-
온도체중(warm carcass weight)
도축을 도산, 방혈, 박피(剝皮), 두·전후지 제거, 내장적출, 배할 및 세정등으로 한 후 인위적으로 냉각하기 전에 계량된 도체(속칭[온도체중]이라고 말할 수 있다)의 중량으로 일본에서는 옛부터 지육의 거래는 온도체중으로 되고 있지만 근년은 냉도체중의 거래로 변하고 있다.
-
해체(dressing)
가축을 도살·방혈한 후 박피 또는 박모, 머리, 전후지, 내장등을 제거하고 지육으로서부터 반환지육으로 하는 것. 일반적으로 신장과 신(腎)주위 지방을 지육에 붙인다. 또 지육을 분할하여 부분육을 만드는 것을 말하는 것도 있다.
-
DFD우육(Dark cutting beef)
절단면이 암적색(dark)로 조직이 퍼석퍼석(firm)하고 건조(dry)하고 소위 DFD성상을 보이는 우육을 말한다. 소의 스트레스가 기원하고 특히 등심부위에 발생하기 쉽다. 도살시점에서 근육의 글리코겐함량이 낮고 pH 6.3∼6.7을 유지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성상을 나타낸다. 육색외 풍미, 다즙성도 떨어지고 부패하기 쉬운 등 식육 산업상 문제가 된다.
-
Mother starter
시험실에 보존하고 있는 seed culture로 실제로 유제품의 제조로 사용하는 단계의 bulk starter와의 중간에 위치한다. 계속 배양하는 단계의 Starter. 탈지유로 배양한 각 단계의 배양물로부터 다음의 탈지유에 대하여 1∼2%양을 접종할 때에 가장 주의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에 의한 오염이다.
-
Quarg
연결치즈의 일종으로 독일, 오스트리아, 스위스등에서 많이 생산되고 애호되고 있다. 살균탈지유로서 Starter로서 Str. lactis, Str. cremoris등을 가하여 산성화하고 렌네트(rennet)첨가, Curd형성, Curd파괴후 특히 치즈Cross 또는 전용의 Quarg separator로 분리되고 침전물로서 얻을 수 있다. Cottage Cheese와 달리 미끄러운 조직을 가지고 크림을 첨가한 것에 의해 지방율이 다른 Quarg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
UHT우유(UHT milk)
UHT가열·무균 충진우유의 약칭으로 long-life milk(low perishabilitly milk: 150℃정도의 온도로 단시간에 멸균하여 균이 없는 용기에 담아 상온에서 장시간 보존이 가능한 우유), LL우유등이라고도 한다. UHT가열에 의해 무균 상태로 한 우유를 무균적으로 지용기로 충진한 제품으로 실온이라도 3개월 정도는 보존가능하다. [상온보존가능품]의 표시가 있다.
-
가당분유(sweetend milk powder)
전유로 자당을 가하여 건조하든가 또는 전지분유에 자당을 가한 분유, 유등령소에 의한 규격은 유고형분 70%이상, 유지방분 18%이상, 당분 25%이하(유당을 제거한다.), 수분 5%이하, 세균수 5만/g이하, 대장균 군음성으로 되고 있다. 대부분은 제과, 아이스크림등의 업무용으로서 소비된다.
-
가열취(cooked flavor)
우유와 크림등을 과도하게 가열할 때의 이상취. 가열에 의한 유청(乳淸)단백질의 변성으로 유래한 SH기와 휘발성황화물의 산생(産生)으로 인한다. 그러나 약간의 가열취는 소비자에게 좋을 경우도 있다. 또 특히 강한 가열취를 카메랄취하고 한다.
-
가트(General Agreement on Tariff and Trade: GATT)
국제간에 있어서의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 협정. 1948년에 발족하여 관세와 수입 장벽의 경감에 의한 자유무역체제의 유지·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와 세계은행과 함께 전쟁후의 자본주의 체제를 지탱하는 기능을 다해 왔다. 일본은 1953년에 가( )가맹, 55년에 정식 가맹했다.
-
교동(churning)
우유와 크림등의 수중 유형 유탁액에 기계적인 심한 교반을 하고 유중수형 유탁물인 버터입(粒)을 생성시키는 조작. 교동는 크림으로부터 버터를 제조하기 위한 중요한 공정의 하나이고 교동를 행하기 위한 기계를 churn(교유기)라고 한다.
-
균질(화)우유(homogenized milk)
균질기(homogenezier)에 의해 우유중의 지방구(직경0.1∼10㎛, 평균3㎛)를 미세하게 하여(1㎛이하) 지방구의 부상을 방지한 우유. 일본의 시판우유는 대부분의 처리가 되고 있다. 지방구의 세분화에 의해 표면적이 증대하고 췌(膵)리파제에 의한 가수분해가 빠르게 되고 소화흡수가 좋게 되는 동시에 카제인미셀(casein micelle)의 직경도 작아지고 soft curd화하여 단백질의 소화도 좋게 된다.
-
그루예르치즈(Gruyere cheese)
원산지는 스위스. 프랑스와 국경에 가까운 Griyere 마을의 이름을 붙여 지은 것이다. 제초방법은 Emmental(스위스)와 거의 동일하지만 치즈공 즉 치즈의 구멍은 작다. 숙성환경은 조금 다르고 약간의 표면열성에 의한 예리한 풍미가 인정된다. 제품중량은 25∼50kg, 수분 33∼39%, 지방 29∼33%, 단백질 26∼29%, 식염 2%.
-
그린 치즈(green cheese)
연질, 경질 혹은 특별 경질 치즈의 숙성전의 커드(curd)를 생치즈라고 호징하고 있다. fresh type의 cottage, 크림등의 커드(curd)의 호징으로는 그다지 사용하지 않는다.
-
기(버터기름: ghee)
조제버터를 장시간 바짝 졸아 들어 수분을 0.5%, 지방99.0%정도로 정제한 버터오일. 불순물이 거의 함유되지 않고 미끈미끈하고 향기가 좋은 기름상태의 제품. 인도에서는 조리에 빠뜨릴 수 없는 중요한 유제품. ?음, 튀김을 시작으로 식사요리, 인도풍나무의 빵(난:nan)등에 사용된다.
-
냉동요구르트(frozen yogurt)
미국에서 발달된 아이스크림상 요구르트이고 유등성령에서는 발효유 안에 위치를 정한다. 요구르트와 아이스크림 Freezer로 동결한 것이고 -25℃이하에서는 유산균이 살은 채로 장시간 보장할 수 있다. 보통의 요구르트와 비교하여 당류, Fruit류, 안정제 또는 유고형분이 많이 포함된다.
-
냉육(cold meat)
냉제 요리에 이용하도록 조리한 고기로 소, 자우, 돼지, 양, 닭, 칠면조, 오리, 집오리 등 많은 종류의 육이 이용된다. 삶은 고기, 찌고 삶은 고기, 끓인 고기, 찜구이육 등이 냉제 요리로 완성된다. 냉육은 일반적으로 찬 야채요리와 조합한 샐러드가 첨가되고 젤라틴(gelatin)이 들어간 소스 외에 찬 소스가 이용된다.
-
네츄럴 치즈(natural cheese)
Natural cheese은 800 혹은 1,300종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산응고(유산균) 혹은 우유를 (자우)의 제 4위로부터 조제한 응유 효소 렌네트(rennet)에 의해 응고시켜 만든 치즈. 렌네트(rennet)로 응고시킨 Natural cheese에는 우유의 주요 단백질인 카제인(casein)이 Ca 파라카제이네트로서 존재하고 있고 흡수되기 쉬운 칼슘(Ca)에 풍부하다.
-
농축유(濃縮乳: concentrated milk)
수분을 제거하여 유고형분을 농축한 우유를 말한다. 진공부 혹은 효용관이라고 불리는 장치를 이용하고 감압하에서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다. 유등성령상의 규격은 유고형분 25.5%이상(유지방분 7%이상), 세균수 10만/g이하로 되어 있다.
-
뉴차텔 치즈(neufchatel cheese)
원산국은 프랑스. 전지유 혹은 크림을 혼합하여 제조된다. Neufchatel fresh는 Fresh type로 먹을 수있다. 숙성형은 크림치즈의 제조와 근사(近似)하지만 커드(curd)는 현수(懸垂)하고 가압에 의해 Whey배제(排除)를 행한다. 그 후 커드(curd)를 분쇄형으로 가득 채우고 자연 압착과 건염법에 의해 성형하고 Camenbert에 이용하는 흰곰팡이에 의해 숙성시킨다. 수분 55∼60%, 지방 20∼30%, 단백질 18%, 식염 0.2∼1.2%.
-
단보치즈(danbo cheese)
원산지는 덴마크. samsoe cheese와 풍미가 비슷하다. 커민(cumin: 미나릿과의 식물 또는 그 열매, 요리용 향료, 약용으로 사용)종자를 첨가한 것도 있다. 조직에 작은 치즈구멍이 균일하게 분산하여 있다. 지방함량에 의해 수분은 다르지만 보통 46%이하이다. 타조성분은 불명.
-
동결건조유(freeze-dried milk)
우유를 동결하고 높은 진공하에서 승화에 으해 수분을 증발시켜 분말로한 것으로 건조법으로서는 단백질의 변성과 비타민의 손실을 수반하지 않는 이점이 있지만 제조비용면으로 실용적이지 않고 분유제조에서는 분무 건조법이 주로 이용된다.
-
동결초유(frozen colostrum)
분만후 5일간의 초유는 출생 자우에게 급여하여도 남지만 출하할 수 없다. 이것을 보존하여 대용유 대신에 혹은 초유를 급여할 수 없는 자우의 경우에 구비하는 방법중 하나. 면역항체등을 유효하게 저장할 수 있다.
-
락토아이스(lacto-ice)
아이스크림류중에 유고형분이 가장 낮고 3.0%이상의 것. 지방분으로서 식물성 지방이 사용된다. 제품은 대장균 음성, 세균수 1g당 50,000이하로 규정된다. 아이스크림과 아이스밀크와 비교해서 유자방이 대부분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맛이 담백(淡白)하다.
-
로마노 치즈(Romano cheese)
원산국은 이탈리아. 원료유는 산양유, 양유를 사용하는데 성숙 5∼8개월은 그대로 먹을 수 있지만 그것 이상 성숙하여 Pimento flavor가 강해진 것은 분쇄치즈로서 사용된다. 경질치즈로 분류되고 수분 32∼34%, 지방 25∼26%, 식염 5∼6%.
-
로제고틀리브법(Rose-Glttlieb method)
우유, 유제품의 지방율 측정의 공정법. 시험관에 정량의 시료를 넣고, 정량의 암모니아수, 알콜, 에테르, 석유 에테르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정치한다. 에테르 층에 추출된 지방으로부터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를 증류 건조시키고 시료중량과 잔류 중량으로부터 지방율을 계산한다.
-
로제고틀리브법(Rose-Glttlieb method)
우유, 유제품의 지방율 측정의 공정법. 시험관에 정량의 시료를 넣고, 정량의 암모니아수, 알콜, 에테르, 석유 에테르를 가하여 잘 혼합하고 정치한다. 에테르 층에 추출된 지방으로부터 에테르와 석유 에테르를 증류 건조시키고 시료중량과 잔류 중량으로부터 지방율을 계산한다.
-
로크포르 치즈(Roquefort cheese)
원산국은 프랑스 남부의 로크포르마을. 명칭은 스토레저 협정으로 보호되어 있다. 여기에는 전통을 완고하게 지키고 양유(羊乳)를 원료로 하고 석회암의 동굴에서 푸른 곰팡이의 일종을 이용하여 숙성을 하고 있다. 풍미는 짜릿한 Pepper flavor, 깊이가 있는 맛, 시각을 만족시키는 푸른 Marble(대리석)모양으로 치즈의 일품. 대인(大人)의 치즈라고 평가되고 있다. 수분 38.5∼41%, 지방 37.2%, 단백질 21.1%, 식염 4.1%.
-
리트머스우유(litmus milk)
유산균의 보존과 세균의 우유에 대한 작용을 판정할 때에 사용되는 배양기. 신선한 탈지유에 리트머스 액을 가하고 충분히 자색으로 한 후 115℃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조제한다. 세균이 이 배양기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면 응고와 펩톤(pepton)화가 일어난다. 또 산과 알카리 물질이 생성되면 리트머스가 핑크(pink)와 청색으로 변색하기 때문에 균의 동정(同定: 동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을 결정함)에 이용된다.
-
리트머스우유(litmus milk)
유산균의 보존과 세균의 우유에 대한 작용을 판정할 때에 사용되는 배양기. 신선한 탈지유에 리트머스 액을 가하고 충분히 자색으로 한 후 115℃에서 15분간 멸균하여 조제한다. 세균이 이 배양기에서 단백질을 분해하면 응고와 펩톤(pepton)화가 일어난다. 또 산과 알카리 물질이 생성되면 리트머스가 핑크(pink)와 청색으로 변색하기 때문에 균의 동정(同定: 동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을 결정함)에 이용된다.
-
림버거 치즈(limburger cheese)
원산국은 벨기에. 독특한 풍미와 방향(芳香)을 가진 반경질의 표면 숙성형의 치즈. 남부 도이칠란드인은 이 치즈의 방향은 그다지 신경쓰지는 않지만 일본인은 꽤 저항이 있다. 치즈 표면의 pH는 최초 효모의 번식에 의해 상승한다. 다음에 부패균의 일종이 번식하고 숙성시키지만 때로는 식염수로 가끔 세정할 경우도 있다. 제품은 적갈색을 보이고 수분 43∼48%, 지방 26.5∼29.5%, 단백질 20∼24%, 식염 1.6∼3.2%.
-
림버거 치즈(limburger cheese)
원산국은 벨기에. 독특한 풍미와 방향(芳香)을 가진 반경질의 표면 숙성형의 치즈. 남부 도이칠란드인은 이 치즈의 방향은 그다지 신경쓰지는 않지만 일본인은 꽤 저항이 있다. 치즈 표면의 pH는 최초 효모의 번식에 의해 상승한다. 다음에 부패균의 일종이 번식하고 숙성시키지만 때로는 식염수로 가끔 세정할 경우도 있다. 제품은 적갈색을 보이고 수분 43∼48%, 지방 26.5∼29.5%, 단백질 20∼24%, 식염 1.6∼3.2%.
-
마가린(margarine)
동물성 유지, 경화유, 유화제, 식염, 향료, 물 등을 배합하여 버터와 유사한 풍미, 조성, 물성이 되도록 고안한 유지제품. 마가린은 버터의 대용품으로서 계획된 것이 였지만 현재에서는 버터보다도 콜레스테롤 함량이 적고 리놀산 함량이 많고 풍미도 양호하기 때문에 버터의 대용품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독립된 중요한 식품이 되고 있다.
-
메틸렌블루환원시험(methylene blue reduction test)
세균수가 적은 생유는 메틸렌 블루를 탈색하는 환원력이 약하고 세균수의 증가로 병행하여 환원력도 증가한다. 이 원리를 응용한 생유의 세균수 검사법의 일종인데 시료의 가온 배양시간이 길기 때문에 단시간의 Resazurin환원시험이 보급된 경위(經緯)가 있다.
-
모차렐라 치즈(mozzarella cheese)
원산국은 이탈리아의 캄파니아 지방의 특산 치즈이다. Provolone cheese와 같이 플라스틱 커드(Curd)의 치즈. 최초는 이탈리아 남부에서 수우(水牛)의 우유로부터 만들어 졌다. 현재는 우유로부터도 만들 수 있다. Fresh cheese로서 먹을 수 있다.
-
무지고형분(solids not-fat: SNF)
우유의 전체 고형분에서 지방분을 뺀 전체 성분을 말하고 8.6%전후이다. 질소화합물(단백질과 비단백질소 화합물), 당질(유당), 무기질(미네랄), 유기산(구연산, 유산등), 수용성비타민류가 포함된다.
-
미오글로빈(myoglobin)
근육세포액(筋漿)에 포함되는 헴(Heme) 색소 단백질로 생세포내에 대사로 사용되는 산소이 저장과 공여(供與)의 역할을 하고 있다. 식육 및 식육 제품의 색조에 깊이 관계하고 있다. 식육의 색조는 통상 3종의 유도체, 환원형 미오글로빈(자적색), 옥시미오글로빈(전적색) 및 메토미오글로빈(갈색)의 함량과 존재비율로 거의 결정된다.
-
반경질 치즈(semihard cheese)
치즈의 분류로 딱딱함, 즉 수분함량에 의한 것이 있고, 일반적으로 수분이 44∼55%의 것을 말한다. 이것에 속하는 치즈는 Roquefort cheese, Brick cheese등이 있다.
-
발효버터(cultured butter, ripened cream butter)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크림을 원료로서 제조한 버터. 독특한 방향을 가지고 있고 유럽에서는 가정용, 식탁용으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그다지 보급되어 있지 않다. 발효버터는 동(銅)이온 등이 많고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보존성에는 특히 주의할 필요가 있다.
-
발효유(fermented milk)
우유에 넣은 유산균은 거기에 함유된 유당등으로부터 유산 및 방향성분을 만들어 낸다. 우유중의 주요 단백질인 카제인(casein)은 pH가 4.6까지 저하하면 응고한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이 유산에 의해 우유는 단단해져 발효유가 된다. 후생성령에서는 제품의 무지고형분이 8.0%이상, 유산균 또는 효모의 수가 1ml당 1000만이상 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
발효초유(fermented colostrum)
신생자우에게 먹여 여잉이 된 초유의 이용법의 하나. 대용유 혹은 전유의 대신에 발효초유를 급여할 수 있다. 플라스틱등의 용기에 초유를 넣어 뚜껑을 하여 냉암소에서 저장한다. 이 동안 매일 1∼2회 뒤섞면 유산발효가 일어나고(1개월 정도 계속한다), 발효초유가 된다.
-
버터(butter)
우유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크림을 살균, 냉각, 에이징(숙성)한 것. churning한 버터입을 모아 수세한 것을 Working하여 제품으로 한 것. 유중수형의 고형상 유탁물로 식품위생법에 의한 성분규격은 유지방분 80%이상, 수분 17%이하, 대장균군음성으로 정해져 있다. 원료크림을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것을 발효버터, 발효시키지 않은 것을 감성 버터라고 부르고 Working할 때에 식염을 첨가한 것을 가염버터, 첨가하지 않는 것을 무염버터라고 한다. 일본에서 생산된 버터는 대부분 감성 버터이고 가정용, 식탁용으로는 주로 가염버터가 이용되고 있다.
-
버터밀크(butter milk)
유지방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분말크림상 제품을 말한다. 유지방에 카제인 나트륨과 각종 고결방지제(인산칼슘, 규산알루미늄등)를 배합하고 분말상으로 한 것. 제과용등에 이용되지만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보존에 주위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대부분 생산되고 있지 않다.
-
버터색(butter color)
버터의 색조는 계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즉 목초급여량이 많은 하계에는 버터의 색조는 농황색이 되지만 목초급여량이 감소하는 동계에는 담황색이 된다. 그래서 연간을 통해서 일정의 색조로 하기 때문에 주로 겨울 버터에 첨가된 색소을 버터 컬러라고 하며 아나토(annatto) 및 β-카로틴을 주체로 한 색소가 이용된다.
-
버터스타터(butter starter, butter culture)
발효버터의 제조할 때에 원료크림을 유산발효시키기 위해서 이용되는 유산균배양물을 말한다. 사용유산균은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Lactococcus lactis subsp. cremori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biova diacetylactis, Leuconost occremoris등이 단균 또는 조합시켜 사용된다.
-
버터오일(butter oil)
지방율 99.3%이상 수분 0.5%이하로 유지방만으로 된 제품을 말하고 무수유지방이라고도 부른다. 무지유고형분과 수분을 대부분 함유하지 않고 유지방만으로 하였기 때문에 산화에 주위하면 장기보존이 가능하다. 제과용, 조리용, 아이스크림원료용, 환원용으로서 이용된다. 제조법으로서는 버터 또는 크림을 이용하는 원심 분리법이 보급되고 있다.
-
분말유장(whey powder)
치즈 제초공정중에 배출되는 유장(乳漿)은 전에는 폐기(廢棄)되거나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는 것에 불과하였지만 유장 단백질등 우수한 영양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명확해졌고 회수하여 유효하게 이용되게 되었다. 분말 유장은 유장을 분무(噴霧) 건조(乾燥)한 제품이고 식품소재로서 이용되고 있다.
-
분말치즈(powdered cheese)
Natural cheese 특히 저수분 경질치즈의 Parmesan(그라나: grana)을 주원료로 하고 Gouda 등의 경질 치즈를 섞고 건조시켜 상품화된 것. 한편 특수용도로서 Cheddar, Gouda 등을 유화 용해하고 가공화하여 분무(噴霧) 건조(乾燥)시킨 분말치즈도 있지만 본래는 식품 첨가물로서 제조된 것이다.
-
분말크림(powdered cream)
크림을 분무건조한 제품. 50∼80%의 비방분을 함유한다. 또 80%이상의 것을 버터파우더(분말버터)라고 한다. 유등성령에서는 유고형분 95.0%이상(유지방분 50.0%이상), 수분 5.0%이하, 세균수 5만이하/g, 대장균군음성이다. 또 커피등에 가하는 지방함량 30%정도의 분말크림과 비슷한 제품이 있지만 이것은 분말크림이 아니다.
-
분유(milk powder)
주로 분무건조법에 의해 제조된 수분 5%이하의 분말상의 유제품을 말한다. 전분유, 탈지분유가 주인 것으로 기타의 분유류에 버터분유(butter milk powder), 크림파우더(cream powder), Whey powder, 조제분유 등이 있다.
-
브리치즈(brie cheese)
원산국은 프랑스 북동부 브리(brie) 지방의 연질 치즈. Camenbert cheese와 비슷하지만 제
조방법의 세부가 미소하게 다르기 때문에 풍미에 상위(相違)가 있다. 신선유 또는 저녁우유
와 아침우유를 혼합하여 원료로 한다. 일반적으로 브리(Brie)는 3종(대, 중, 소)의 크기가 만
들어 지고 있다. Camenbert보다 숙성고내의 관리가 어렵고 까다로운 치즈이다. 숙성이 되면
치즈의 내부가 황색의 Creamy한 상태가 된다. Camenbert에 비하면 풍미에 한층 깊고 감칠
맛을 느낀다. 수분 45∼52.5%, 지방 25∼58%, 단백질 21.6%, 식염 1.5∼4%.
-
브릭치즈(brick cheese)
원산국은 미국. 풍미는 Cheddar cheese와 Limburger cheese의 중간형으로 온화한 가운데
적당한 자극과 맛을 느낄 수 있다. 조직은 불정형의 Mechanical hall로 둥근 구멍을 많이 가
지고 있다. 숙성이 되면 표면이 적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에 식염수로 치즈를 때때로
세정하는 것이 이 치즈의 특징. 수분 39∼42%, 지방 31%, 단백질 20∼23%, 식염 1.8∼2%.
-
블루 치즈(blue cheese)
1951년에 오스트레일리아 , 벨기에, 프랑스, 덴마크, 이탈리아, 스위스, 네덜란드에서 체결(締
結)된 스토레저 협정에 의해 상업상 지명도가 높은 치즈의 명칭으로 국제보호가 관여한다.
이 때문에 푸른 곰팡이에 의해 숙성시킨 치즈라도 Roquefort의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 여
기에서 블루 치즈라고 호칭하고 있다. 우유를 원료유로 한 다나블루(덴마크산)는 수많은 블
루 중에도 품질이 우수하고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 Roquefort cheese.
-
비피두스균(bifidobateria)
장내에 서식하는 비피두스균은 인간의 정장작용 등에 관여하고 건강유지에 관여하고 있다.
그러나 본균은 산소를 싫어하는 혐기균이기 때문에 배양이 어렵고 요사이가 되어 겨우 본균
을 이용한 발효유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보통의 우유 중에는 대부분 발육하지 않고 또
사멸하기 쉽고 더욱더 우유중에서는 유산가 함께 초산도 생성한다.
-
연압(working)
수세를 완료한 버터 입(粒)을 고루고루 섞이도록 개고 수적을 유지방중에 미세하게 분산시키는 조작의 것으로 연압(練壓)이라고도 부른다. 가염버터제조의 경우에는 이 조작에 의해 가수한 식염을 지방중에 미세식염수로서 분산시킬 수 있다. working은 working겸용 Churn(교반기)에서는 룰러의 작용에 의하는 가 또는 버터입자 낙하시의 충격에 의해 행해지고 연속식 버터제조기에서는 다공판을 통과하는 사이에 행해진다.
-
연질치즈(soft cheese)
치즈의 종류를 연함 즉 수분함량으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연질 치즈는 수분함량이 55%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치즈이고 Cottage, Camenbert, Brie, Quarg, Cream등이 이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
요구르트(yoghurt)
보통은 불가리아균과 사모피라스균의 2종류의 유산균으로 발효가 된다. 과즙을 가하거나 균질화하여 액상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의 제품이 있다. 요구르트의 풍미를 형성하는 발효 생산물은 유산 외에 아세트알데히드를 시작으로 하는 카르보닐 화합물과 초산, 개미산 등의 휘발산 거기에 미량의 에탄올, 기타이다.
-
요구르트(yoghurt)
보통은 불가리아균과 사모피라스균의 2종류의 유산균으로 발효가 된다. 과즙을 가하거나 균질화하여 액상으로 하는 등 여러 가지의 제품이 있다. 요구르트의 풍미를 형성하는 발효 생산물은 유산 외에 아세트알데히드를 시작으로 하는 카르보닐 화합물과 초산, 개미산 등의 휘발산 거기에 미량의 에탄올, 기타이다.
-
우유(cow milk)
법률적(후생소의 유등령소)으로는 판매용의 살균(殺菌)한 소의 우유(liquid milk)를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유우의 유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액체라고 정의되고 분만직후로부터 1주간이내는 초유, 계속하여 일반우유, 비유기의 말기에 분비되는 것을 말기유라고 부른다. 우유·유제품의 제조용 원료유로서의 생유는 초유와 말기유 혹은 이상유를 제외한 정상유가 이용된다.
-
우유의 pH와 산도
신선한 우유의 pH는 6.5∼6.7이며 산패유나 초유는 pH가 6.5이하이고 유방염유나 저산도유는 6.7이상이다. 동물의 종류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으며 면양유는 6.41, 모유는 6.96으로서 일반적으로 초식동물의 젖의 pH는 육식동물의 것보다 산성쪽이다. 정상유의 산도는 0.14∼0.18%이며 인산염과 단백질의 함량, 즉 무지고형분의 함량에 따라 달라지며 착유 직후의 산도를 자연산도 또는 표현산도라고 하며 우유를 방치했을 때 생성되는 산도를 발생산도 또는 진정산도라고 한다. 발생산도는 젖산발효에 의해 유당으로부터 생성된 젖산에 의한 것이다.
-
우유의 굴절율(reflactive index)
우유의 굴절율은 20℃에서 물의 굴절율 1.33299보다 높으나 지방구의 이차적 및 산란(散亂)이 일어나 정확한 굴절율을 측정하기 어렵다. 탈지유의 굴절율은 20℃에서 1.344∼1.348이며 유지방의 굴절율은 40℃에서 1.4537∼1.4552이다. 이 밖에 비점(boiling point), 비열(specific heat), 전기전도도 등이 우유의 물리적 성질에 관계하고 있다.
-
우유의 비중(specific gravity)
우유의 비중은 15℃에서 1.027∼1.035의 범위로서 평균 1.032의 성분별로 보면 유지방 0.93, 무지고형분 1.616, 유단백지 1,346, 유당 1.666, 무기물 4.120이다. 비중은 지방함량의 영향을 크게 받으며 물을 첨가해도 비중이 낮아진다. 동물의 종류에 따라 비중의 차이가 있으며 산양유는 1.0326, 모유는 1.0328이다.
-
우유의 빙점(freezing point)
우유의 빙점은 -0.525∼-0.565℃로서 평균 -0.540℃이며 주로 염류 및 유당이 빙점하강의 요인이 된다. 1%의 가수에 의해 빙점은 0.0055℃가 높아지므로 정밀한 우유의 빙점검사기를 사용하면 3%정도의 가수의 검출이 가능하다.
-
우유의 점도와 표면장력(Viscosity and Surface tension)
우유의 점도는 20℃에서 1.5∼2.0cp(cm poise, 1cp = 0.01 poise, 1poise=1dyne·sec/㎠)이며 온도가 상승하면 점도가 낮아진다. 우유의 점도에 미치는 영향은 Casein이 가장 크며 다음은 지방과 알부민이다. 우유의 표면장력은 20℃에서 40∼60 dyne/cm로서 물의 72.8 dyne/cm보다 낮다. 이와 같은 표면장력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낮아지고 지방함량물의 첨가 등에 의해서도 변동된다.
-
우유의 조성
우유중에도 수분, 유지방, 유단백질, 유당, 무기염류, 및 비타민 등이 포함되어 있고 새끼소는 어미소로부터 젖만으로 발육하게 된다. 젖분비가 시작되어 5∼7일까지의 젖을 초유(colostrum)라 하며 누른색깔을 띤 점성이 높은 젖으로 단백질중 특히 Immunoglobulin이 많다. 그 외에 단백질 회분 지방등도 많지만 약 1주일정도 지나면 소위 정상유로 된다. 우유의 성분은 현탁질(懸濁質: suspension), 유탁질(乳濁質: emulsion) 및 수용액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우유의 성분은 품종, 계절, 환경온도, 착유법, 비유시기, 하루의 시간, 착유의 시작과 끝, 착유간격, 연령 및 질병 등에 따라 변동하고 그 중에서도 지방함량이 민감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성분규격이나 유가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되어있다. 이 자방을 제외한 다른 성분의 건물량을 총칭하여 무지고형분(solids-not-fat, S.N.F)이라고 한다.
-
우지방(tallow)
본래는 소와 양으로부터 얻은 지방을 의미했다. 최근에서는 융점(融點)이 40℃이하의 것을 그리스(grease), 그것 이상의 것을 tallow라고 하고 있다. 양자를 총칭하여 동물성 유지라고도 한다. 자우의 대용유용 혹은 유우용사료의 에너지농도를 높이는 목적으로 동물성 유지가 사용되고 있다.
-
유당(lactose)
우유중에는 약 4.5% 함유되어 있고 우유의 당질의 99%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희산 혹은 유당분해효소에 의해 글루코오스(Glucose)와 갈락토오스(galactose)로 분해되는 이당류이다. 달기는 자당(蔗糖)의 약 1/5이고 용해도도 떨어진다. 더욱 소화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유고형분의 1/3이상을 차지하는 유당을 타의 유용물질로 변환하는 process의 개발은 중요하고 식품 Bioindustry(바이오테크놀러지를 공업적으로 활용하여 의약품, 식품등을 생산하는 산업)의 대상중 하나가 되고 있다.
-
유산균 음료(lactic acid bacteria drinks)
유등성령(乳等省令)에 의하면 [유등(乳等)을 유산균 또는 효모로 발효시킨 것을 가공하고 또는 주요원료로 한 음료(발효유를 뺀다)]라고 하고 있다. 무지고형분 8.0%이상이 [발효유], 3.0%이상이 [유제품], 3.0%미만은 [유등(乳等)을 주요원료로 한 식품]으로 된다. 유산균수 또는 효모수는 1ml당 앞 두 개가 1000만, 후자는 100만이상 존재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
유산균(乳酸菌: lactic acid bacteria)
당으로부터 주로 유산을 생성하는 그람(Gram)양성, 카탈라아제(Katalase)음성, 무아포(無芽胞)의 균으로 구균(球菌)과 간균(桿菌)이 있다. 구균에는 Streptococcus, Lactococcus, Pediococcus, Leuconostoc등, 간균에는 Lacotobacillus가 있다. 유산균은 치즈와 요구르트등 유제품의 발효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양조(釀造)식품, 야채절임(김치), 사일리지의 발효에도 관여한다. 더욱더 환경 정화에도 관계가 있다.
-
유산발효(lactic acid fermentation)
유산균과 대장균외에 리조프스등 곰팡이의 무리, 더욱더 동물근육에서 행해지는 당의 혐기분해과정을 말한다. 유산균에 의한 유산발효는 그 최종 대사산물에 의해 호모발효와 헤테로발효로 분류할 수 있다. 호모발효균은 최종 생산물이 유산의 것, 유산이외는 초산, CO2, 에탄올을 생성하는 것을 헤테로 유산균이라고 부른다.
-
유음료(milk beverage)
우유 또는 유제품을 함유한 다양한 음료 중 발효유 또는 유산균 음료와 같이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제품 이외의 것. 또는 유등성령(乳等省令)에 규정된 유제품의 성분조성에 만족시키지 않는 조성의 것을 말한다. 성령(省令)에서는 유음료를 [생유, 우유 내지는 특별우유 또는 이것들을 원료로 해서 제조한 식품을 주요원료로 한 음료]이고 성령(省令)에서 정의하고 있는 [우유] 또는 [유제품] 이외의 것으로 하고 있다.
-
유장(乳漿): whey
치즈의 생산시에 부산물로서 다량으로 얻을 수 있고(cheese whey) 제과·제빵 혹은 유아용 조제분유의 재료로서 사용된다. 탈지유에 산 혹은 응유 효소(레닌:rennin)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응고한 카세인(casein) 성분(curd)를 뺀 것도 Whey라고 한다. 유청이라고도 한다. Whey 단백질, 유당, 무기질 및 수용성 비타민, 특히 리보플라빈(riboflavin: Vitamin B2)을 다량 함유하고 황녹색의 형광을 띠는 투명한 액체이다.
-
유장단백질농축물(whey protein concetrate: WPC)
막기술의 하나로 한외 여과에 의해 만들어진다. 수분, 유당, 염류만을 투과하고 단백질은 투과하지 않는 막을 이용하여 Whey 단백질을 농축하고 분무건조하여 분말제품으로 한다. 농축의 정도에 의해 여러 가지의 단백질 함량(35∼80%)의 제품이 있다. 기능특성을 활용한 넓은 용도가 있다.
-
유장치즈(whey cheese)
별명은 알부민치즈(albumin cheese). Natural cheese의 제조과정에서 대량(처리유량의 약 90%상당)으로 배출되는 부산물인 Whey를 원료로서 만들어진다. Whey 그것 혹은 그것에 우유, 산양유를 일부 가하여 농축성형한 갈색의 맛이 달고 짭짤한 것으로 일본에서도 캐러멜(caramel)원료로서 락토레이트의 명칭으로 제조되고 있다. 엄밀한 의미로는 치즈에 들어가지 않는다. 그 후 유럽전역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리코타(ricotta: 코티지 치즈의 일종. 이탈리아산의 치즈로 연하고 부드러워 샌드위치나 케이크에 쓰임)가 그것이다.
-
유지 보정유량(fat-corrected milk(yield): FCM)
우유의 에너지가는 유지율에 의해 크게 변동한다. 그래서 유지율 4%우유의 에너지가(약750kcal)를 기준으로 유량을 보정(補正)한 것이 유지보정유량이다. 보정에는 다음의 식이 이용된다. FCM(kg) = 0.4 × 유량(kg) + 15 × 지방량(kg). 우유의 에너지함량은 무지고형분율에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것도 포함해서 유량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있다.
-
유지방(乳脂肪: milk fat)
단순지질인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가 주성분이고 지방구라고 불리는 유탁질(乳濁質: emulsion)로서 우유중에 존재하고 그 외측은 친수성(親水性)과 소수성(疏水性)의 양방의 성질을 가진 인지질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지방구 피막에 의해 덮혀 있다. 우유중의 타성분보다 비중이 작기 때문에 우유를 가만히 두면 부상하고 소위 크림이 된다.
-
유지율(milk fat content)
우유의 지질함량. 일본에서는 종래보다 생유 성분의 거래기준으로서 중시되어 왔다. 최근의 국내의 생유의 평균 유지방율은 3.8%이고 일본농림규격에서는 2.8%이상을 1등유라고 규정하고 있다.
-
유질(乳質: milk quality)
우유의 품질. 우유의 성분율, 세균수, 체세포수 및 풍미등이 품질평가의 지표로 되고 있고 기타 항생물질, 잔류(殘留) 농약등의 오염에 대해서도 유질의 검사에 빠뜨릴 수 없는 항목이다.
-
응유효소(milk coagulating enzymes)
치즈제조에 필수 효소로 자우의 제4위 유래의 것과 곰팡이 유래의 것으로 크게 구별된다. 제4위 유래의 효소는 렌네트(rennet) (순품:레닌(rennin)이라고 부르고 대단히 오래부터 치즈제조에 이용되고 사용되는 양도 가장 많다. 한편 곰팡이유래의 효소는 그 이용의 역사는 극히 새롭고 렌네트(rennet)의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개발되고 주로 Endothia parasitica, Mucor miehei 및 Mucor pusillus의 생산하는 프로테아제(protease)가 이용도고 있다.
-
일광취(sunlight flavor)
우유를 일광에 10분간 이상 쬐면 생기는 이상취. 그 생성 기전는 완전히 해명되고 있지 않지만 산화취의 일종으로 아미노산의 메티오닌(methionine: 황을 함유하는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 영양제, 간장질환이나 중독증 등의 치료약에 쓰임)으로부터 생기는 메티오날에 의한 것이라고 말 할 수 있고 메티오날의 생성을 둘러 싸고 리보플라빈(riboflavin)과 트립토판(tryptophan)이 관여하다고 하는 보고가 있다.
-
저산도 2등유(low acidity-alcohol positive milk)
산도가 0.14%이하이면서 알콜시험 양성의 우유. 유방염에 유래한 것과 그것 이외의 원인에 의한 것과 구별된다. 후자의 원인에 대해서는 Ketosis, 간장장해, 간질증, 잠재성 질병, 미량 성분과 칼슘의 부족, 인의 과잉, 카제인(casein)의 수화(水和) 상태 등이 고려되고 있지만 명확하지 않다.
-
저지방우유(low fat milk)
가공유의 일종. 유지방분을 일부 제거하고 무지유고형분을 증강하고 있다. 보통 유지방분 1.0∼1.5%, 무지유고형분 9.0∼10.5%의 제품이 많다. 비만자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200ml당 약 20kcal적다.
-
적정산도(titratable acidity)
생유중의 산성물질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알칼리량을 측정하고 이 알칼리와 결합한 산성물질의 전량을 유산이라고 가정하여 그 중량%로 나타낸다. 생유의 산도는 유중의 카제인(casein)과 인산염 등의 산성염류의 산도와 착유후의 세균오염으로 유산발효에 의해 발생하는 2차적 산도의 합을 나타낸 것으로 일본농림규격에서는 0.18%이하를 1등유라고 규정하고 있다.
-
제호(醍 )
[본초강목]을 근거로서 얻어진 타락을 용기에 채우고 낮게 닿도록 깊은 구덩이를 내어 38℃ 이상 정도의 곳에 방치하면 구덩이의 주위에 황금색의 투명한 오일(oil)성 물질이 녹아 떨어진다. 이것이 제호이다. 38℃이상에서는 유동성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 이하가 되면 미세한 지방 결정을 형성하여 불투명하게 된다. 비타민 A, E함량이 유제품중 최고치를 보이고 최고의 의약품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
조제분유(formulated milk powder)
일본에서는 수유기에 모유 대체품으로서 이용되는 유아용 조제분유(육아용 분유라고도 한다)와 이유기에 이유식으로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한 폴로업 밀크(follow-up milk)의 2종류가 있다. 모유연구와 유아영양학을 기초로 새로운 기술을 구사하여 우유 및 기타의 성분을 소재로서 단백질, 지방, 미네랄, 비타민류등의 성분조정이 행해지고 있다. 최근은 올리고당(oligosaccharide : 소당류. 포도당, 과당등의 단당이 2∼5개 연결된 것), 타우린(taurine ; 아미노산의 일종. 혈당이나 중성 지방을 억제하고 동맥 경화를 방지함. 오징어, 낙지, 조개류에 많이 함유함), 락토페린(lactoferin ; 포유동물의 젖 속에 존재하는 철결합성 단백질. 항균 작용이 있어 모유를 마신 아기를 세균이나 바이러스에서 보호함)등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되고 품질은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에 있다.
-
체더 치즈(cheddar cheese)
원산지는 영국. 서머셋주의 체더촌에서 16세기 후에 만들어 졌다. 현재에서는 이민에 의해 제조된 미국, 케나다산 체더가 유명. 경질계로 cheddar ring(퇴적과 반전)과 퇴적후의 커드(curd)를 소정의 사이즈로 세절한다고 하는 2가지 특징이 있는 제조공정이 더해지고 있다. 색조는 흰색과 오렌지색 혹은 이것을 혼합한 마블칼러(marble color)의 3종이 일반적. 조성분은 수분 37∼38%, 지방 32%, 단백질 25%, 식염 1.4∼1.8%.
-
체세어 치즈(cheshire cheese)
원산지는 영국. 체스터 마을에서 엘리자베스 1세의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별명 체스터라고도 불려지고 있다. cheddar cheese와 같이 유명한 치즈. 경질 치즈이지만 조직은 부서지기 쉽다. 계절과 제조시의 세팅조건에 의해 숙성기간이 다른 3종의 치즈가 제조되고 있다. 조성분은 수분 37∼43%, 지방 28∼31%, 식염 2∼2.5%이다.
-
초고온 가열(ultra high temperature treatment)
UHT가열이라고 불리고 우유를 120∼150℃에서 수초 가열하는 방법. 거의 무균상태가 되고 멸균에 가깝다. 내열성 포자형성균도 사멸시킬 수 있고 이 처리를 한 우유를 살균한 종이용기에 무균적으로 충진하면 실온에서도 장기보존이 가능하다. 일본에서는 쇼와(昭和) 33년경부터 이용되었고 보통의 제품에서 120∼130℃로 2초전후, UHT밀크에서는 140∼145℃로 3∼5초가 이용되고 있다.
-
치즈 스타터(cheese starter, cheese culture)
치즈제조용의 미생물 배양물. 통상 2∼4종류의 유산균이 혼합사용되지만 치즈 종류에 의해 곰팡이도 사용된다. 동결 건조 또는 농축균의 동결물의 형태로 상업적으로 공급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전자가 대부분이고 이것을 탈지유에 첨가하여 균의 활성을 높이고 mother starter를 만든다. 계속하여 치즈 제조용으로 양이 많은 bulk starter를 만들고 원료유에 대하여 0.5∼2%를 첨가한다. 더욱 동결균의 경우는 원료유에 직접 접종할 수 있다.
-
치즈 스프레드(cheese spread)
전성을 강조한 processed cheese의 일종이다. 제조시에 치즈이외의 부산물로서 크림, 버터, 향신료, 조미료등이 첨가되는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분 또는 지방분을 많이 가져야 하고 보통은 유화 후에 균질화를 행하여 제품의 안정성을 높인다.
-
치즈 용기(cheese hoop)
렌네트(rennet)로 응고시킨 커드(curd)를 세절하고 가온하여 whey를 몰아내고 뿔뿔히 흩어진 커드를 모아서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 또는 용기를 말한다. 압착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재질로 만들어 진다. 이전은 목제였지만 현재는 스테인리스(stainless), 알루미늄, 플라스틱제가 대부부이다. 치즈의 종류에 의해 원통형, 각형, 구형등 다양한 형이 있고 whey 배출용의 작은 구멍이 있다.
-
치즈 제품(cheese food)
치즈류의 공정 경쟁규약에 의하면 제품중에 치즈분을 51%이상 함유하지 않으면 안된다. 더욱 향신료, 조미료 또는 식품을 가한 경우는 제품 고형분의 1/6 이내로 하고 우유에서 유래하지 않은 지방, 단백질 또는 탄수화물을 첨가할 경우는 최종제품중량의 10% 이내로 한다고 하는 약속이 있다. 제품은 일반적으로 고수분, 저pH, 저지방이다.
-
치즈(cheese)
치즈라는 말은 나라에 의해 인식하는 뉘앙스는 다르지만 일본에서는 프로세스(processed)를 유럽에서는 naturald을 연상하게 된다.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에 의하면 ['치즈'는 우유, 크림, 탈지유, 부분탈지유, 버터밀크 또는 이것들을 혼합한 것을 응고시킨 후 배수(whey 배수)한 것에 의해 얻어진 신선한 또는 숙성한 제품]이라고 정의 내리고 있다.
-
치즈색(cheese color)
치즈가 거의 황색을 띠고 있는 것은 주로 원료유에 함유된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에 의한 것이다. 카로티노이드의 함량은 계절에 의해 다르고 치즈의 색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연간을 통해서 일정한 색조로 하기 위해서 착색료를 첨가하는 것이 있다. 치즈의 종류가 다르지만 β-카로틴(β-carotene)이 스타터(starter) 또는 렌네트(rennet)을 가한 전후에 첨가된다. processed cheese로 가공할 때에 착색하는 경우도 있다.
-
치즈의 눈(cheese eyes)
Swiss cheese(emmental cheese)에서 볼 수 있는 큰 구멍은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균, gouda cheese등에 볼 수 있는 작은 구멍은 유산균에서 유래하고 있다. 모두 탄산가스에 의해 나 있는 가스구멍이고 거의 아주 동그란 원인 것이 특징. 낙산균, 대장균에 의한 이상발효에 의해 형성된 구멍 혹은 커드(curd)의 결착불량에 의해 생긴 구멍(mechanical hall)과는 다르다.
-
치즈취(cheesy flavor)
우유와버터등의 치즈의 이상취. 특히 버터에서는 원료 크림에 유래한 것과 제품에 곰팡이가 증식하여 가수분해효소를 산생하고 지방과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Roquefort cheese모양의 치즈취를 보이는 것이 있다.
-
치즈포(cheese cloth, wrapping cloth)
치즈커드(cheese curd)를 형틀에 채울 때에 형틀의 내측에 깔고 wheydml 배출을 돕고 압착후에 치즈를 꺼낼 때에 커드(curd)가 형틀에 부착하는 것을 막고 표면의 돌기를 적게하는 데에 우용하게 사용하는 포(布)를 말한다. 치즈포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whey배출공에 커드(curd)가 가득 차서 형틀에서 떨어지기가 어려워 진다.
-
치즈프레스(cheese press)
cheese hoop로 충진한 커드덩어리끼리 밀착시켜 성형하기 위해서 압착하는 장치. 가압을 압착공기 또는 수압으로 행하지만 압착중에 whey가 배제되어 커드덩어리가 다음에 수축하기 때문에 그것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압력을 일정하게 보지(保持)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press로부터 꺼내진 치즈를 green cheese라고 한다.
-
치환유(filled milk)
Imitation milk중 하나로 보통 유지방을 식물성 지방으로 바꿔 놓은 지방 치환유이다.
-
카망베르 치즈(camenbert cheese)
원산지는 프랑스 노르망디의 카망베르마을. Marie Fontaine부인에 의해 1917년에 처음 만들어졌고 나폴레옹이 이름을 붙인 아버지라고 되어 있다. 복수의 유산구균을 startor로 하고 곰팡이에 의해 숙성시키지만 숙성도에 의해 풍미외 제품색채는 다르다. 일반적으로 순백으로 크리미(creamy)한 조직과 온화한풍미로 일본인이 좋아하고 있는 치즈중 하나. 사용 곰팡이는 본래 Ponicillium Camenberti이지만, P. candidum 및 P. caseicolum등에 의해 숙성시킨 것도 Camenbert라고 부르고 있다. 수분 43∼54%, 지방24∼28%, 단백질17∼21%, 식염1.4∼2%.
-
코티지 치즈(cottage cheese)
원산지는 미국인 것 같다. 미국으로 이주한 유럽인이 보급했다고 생각된다. 탈지유, 환원탈지유를 이용한 fresh 형(type)의 치즈(cheese)로 long set와 short set의 2가지의 제조방법이 있다. 크기가 팝콘 혹은 곡립(穀粒)상의 치즈는 시판될 때에 약간의 크림이 혼입된다. 은은한 산미를 가지고 있고 단백질이 풍부한 영양가가 높은 건강치즈, 후추, 올리브, 피멘트(pimento)등의 향신료의 다른 것. 각종과실을 혼합하여 먹을 수 있다. 가정에서 수작업으로 만든 치즈중 하나. 수분 70∼72%, 지방 0.4 ∼4.5%, 단백질 12∼17%.
-
쿠미스[kumiss(koumiss)]
케퍼(kefir)와 동양(同樣). 유산발효와 동시에 알콜발효가 행해지는 종류의 발효유이다. 본래 소비에트남부와 중앙아시아에서 말의 유(乳)로부터 만들어지고 있지만 현재에는 주로 탈지유가 원료이다. Startor는 유산 간균(桿菌). 유산 구균(球菌) 및 효모의 조합으로부터 된다. 알콜함량은 케퍼(kefir)보다 높고 최고 2.5%정도에 까지 달한다.
-
크림
우유중의 지질은 지방구로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그 비중차(지질비중: 약 0.94)를 이용하고 원심력을 이용한 크림분리기에 의해 크림과 탈지유로 분리된다. 시판하는 것은 살균하여 종이용기등에 충전(充塡)되고 있다. 지방율20%정도의 커피용과 약40%의 whip용이 있다. 또 식물유지로 치환한 imitation cream(지방치환크림)도 많다.
-
크림라인(cream line)
생유 또는 균질화되어 있지 않는 살균유를 정치하면 그 지방구는 타성분보다도 가벼우므로 유지방을 수십% 포함한 크림이 표면에 부상하여 층이 되고 그것을 cream line이라고 부른다. 균질화와 초고온 살균을 하면 형성되지 않게 된다. Cream line의 형성은 생유중의 면역글로블린의 일종 IgM의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
크림치즈(cream cheese)
원산지는 특히 알 수 없다. 원료는 크림 또는 크림과 우유를 혼합하여 이용한다. 연질의 fresh type형으로 풍미는 은은한 산미, creamy한 감칠맛이 있는 맛이 있다. 빵, 크래커등의 spread 혹은 샌드위치, 사라다로서 먹을 수 있다. 유산발효후 현수(懸垂), 압착(壓搾)하고 whey(황색물)를 배제하고 살균시에 식염등을 첨가하여 조직을 조정한다.
각종 향신료, 각종 과실등을 첨가한 많은 제품이 만들어 지고 있다. 수분48∼52%, 지방35∼
38%, 단백질10%, 식염0.8∼1.2%.
-
크림파우더(cream powder)
크림을 살균하고 카제인 성분, 안정제, 항산화제 등을 가하여 표준화 후 재살균 instant(즉석)한 Cream도 있다. 식물유를 주체로한 유이품이 시판되고 있지만 식물유에 카제인 나트륨(Casein Na), 콘시럽성분, 인산염, 유산제, 식용색소등을 배합하고 동양으로 분무건조한 것이다.
-
탈염 whey분(desalted whey powder)
치즈제조 공정중에 배출되는 whey를 고도로 이용한 제품중 하나. 이온 교환수지와 전기투석등의 막기술에 의해 whey로부터 염분을 빼고 분무건조한 것으로 뛰어난 기능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조제분유, 이유식, 아이스크림, 제과, 제빵용등의 식품소재로서 이용된다.
-
탈지분유(skimmilk powder)
지방분을 제거한 탈지유를 분무건조한 분유로 가공유, 아이스크림, 제과, 제빵, 조리용등 용도가 넓다. 저지방에서 고 칼슘을 위하고 미용, 건강면에서 새롭게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
탈지유(skim milk, skim-milk, skimmed milk, non fat milk)
전유로부터 지방이 풍부한 크림을 분리하고 이것을 젝한 나머지 부분을 말한다. 통상은 cream separator(크림분리기)에 의해 원심법으로 크림을 분리한다. 버터용 크림을 분리한 경우에는 크림의 양의 9∼10배의 탈지유를 얻을 수 있다. 지방율은 유등성령의 규격으로는 0.5%미만이 되어 있지만 보통은 0.1%이하가 많다.
-
탈지치즈(skimmed cheese)
우유로부터 크림으로서 지방을 뺀 것이 탈지유이고 이것을 원료로 한 치즈의 호칭. 이것을 원료로 한 신선커드(curd)의 치즈가 cottage cheese. 숙성형의 제조로 사용한 제품은 딱딱한 고무상태의 먹는 느낌과 풍미가 부족한 것이 되고 기호적으로 문제가 있어 통상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
탤로우(tallow: 우지방)
혼합지방산 응고점(titre)이 40℃이상의 수지(짐승의 기름)를 말한다. grease(그리스)에 비하여 고급포화지방산이 많다. 소로부터 얻게 된 것은 비프 탤로우(beef tallow), 양으로부터의 것은 머톤 탤로우(mutton tallow)라고 불린다. 조제 방법과 품질등에 의해 여러 가지의 품종으로 나누어진다(→ 유지용어사전. (幸書房)). 정제 탤로우는 마가린, 쇼트닝(shortening)의 원료가 되지만 정제도가 낮은 것은 윤활유등의 원료로서 이용된다.
-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우유의 전지질의 95∼96%을 차지하고 있다. 글리세롤(Glycerol)과 지방산과의 화합물이고 단순 지질이라고 불린다. 더욱 지방산이란 직쇄(直鎖)상의 탄화수소로 카르복시기가 붙은 모노카르복시산으로 지방산의 종류의 조합에 의해 대단히 다종류의 Triglyceride가 존재하게 되지만 우유에서는 올레산(oleic acid: 대표적인 불포화 지방산. 황색·유상의 액체로 많은 동식물 유지안에 에스테르로서 널리 존재함. 비누·윤활유의 원료로 쓰임. 유산), 팔미트산(palmitic acid: 탄소 원자가 16개인 포화 지방산. 비누·그리스 등의 원료로 쓰임), 스테아르산(stearic acid: 지방에서 채취한 고형의 산. 백색 무취의 결정체. 비누·양초·연고 등의 제조 원료임)등이 주체이다. 또 모유에 비하면 낙산과 카프르산(capric acid: 카르복시산의 하나로 백색의 결정. 녹는점 31.4℃, 끓는점 269℃. 물에 녹지 않으나 알코올, 에테르에는 녹음. 글리세린에스테르로서 버터나 야자유 등에 함유함)등의 저급 지방산이 많다.
-
특별우유(certified milk)
특별우유처리업자로서의 인가를 받은 업자가 판매할 수 있는 것으로 유지방분 3.3%이상, 무지유고형분 8.5%이상의 규격이 있다. 또 이 특징은 세균학적인 품질이 좋은 경우 무살균으로도 판매(販賣)할 수 있는 것이다.
-
틸시터 치즈(tilsiter cheese)
원산국은 독일. 구동 프러시아의 네덜란드이민에 의해 만들어 졌다. 원형으로 황색플라스틱 느낌을 주지만 연질과 경질의 중간형으로 기계적 압착은 하지 않고 자중(自重)에 의해 성형시킨다. 브릭(brick)과 동일하고 mechanical hall과 작은 둥근 구멍을 조직내부에 가지고 있다. 풍미는 limburger cheese만큼은 예민하지 않지만 표면 열성의 부패균에 의해 특유의 풍미를 가지고 있다. 조성분은 수분 46∼56%, 지방 7.2∼26.8%이다.
-
파라가세인미셀(Para-casein micelle)
카제인 미셀의 응유효소 레닌(rennin)에 의한 겔화(커드의 형성)는 치즈제조상 지극히 중요한 공정이다. 겔화는 2가지의 처리로부터 된다. 즉 레닌이 Casein micelle표면에 있는 χ-Casein을 효소적으로 분해하는 처리와 효소작용을 받은 Casein micelle이 비효소적으로 겔화하는 처리이다. 최초의 처리로는 micelle로부터 χ-Casein의 친수성이 풍부한 C-말단부분이 유리(遊離)하고 Micelle표면은 소수화한다. 이 상태의 Casein micelle를 Para-casein micelle이라고 부르고 Ca이온의 존재하에서 실온이상에서는 대단히 불안정하고 용이하게 침전 또는 겔화한다.
-
파멘산 치즈(parmesan cheese)
원산국은 이탈리아이지만 산지에서는 그라나라고 불려져 왔다. 원료유의 탈지정도, 모양, 크기가 다를 뿐이다. 각칭은 최초로 파르마지방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유래?T다. 원료유는 부분 탈지유가 사용되고 커드(curd)의 요리온도가 46∼54℃에서 미치기 때문에 내열성의 유산균이 Stater로서 이용되고 있다. 대단히 딱딱하고 보존성이 우수하고 1년 이상의 열성 후는 10∼15년간은 상미(賞味)할 수 있다. 분말로 하여 스파케티, 마카로니, 사라다, 스프 등에 이용되고 있다. 수분 30%, 지방 28%.
-
페타 치즈(feta cheese)
원산국은 그리스. 원료는 양유(羊乳), 산양유이지만 오늘날에는 살균한 우유로부터 만들어진
페타치즈가 케나다, 유럽으로부터 그리스, 중근동(中近東)으로 수출되고 있다. 백색의 염지치
즈로 그리스산의 것은 커드(curd)편에 건염을 뿌리고 나무통, 가죽주머니에 가득 채워 국내
유통되고 있지만 타국으로의 수입품은 식염수에 담근 통조림으로 되어 있다. 염분은 대단히
높고 약 6%정도이지만 Fresh type으로서 먹을 수 있다.
-
표준한천평판배양법(標準寒天平板培養法: standard plate count method)
우유·가공유의 세균수검사는 후생성령에 의해 표준한천평판배양법(SPC법)으로 되고 그 기
준은 생균수 5만/ml이하가 되고 있다. 요사이 생유의 품질향상에 따라 생균수검사가 필요하
게 되어 본법이 준용(準用)되게 되었다. 시료 1ml을 페트리 접시(Petri dish: 세균배양용의
뚜껑 달린 그릇)에 넣은 표준한천배지와 혼합시켜 30∼35℃, 48시간 배양하고 생육형성한
콜로니(colony)를 계측(計測)하여 1ml당 생균수로서 표시한다.
-
프로볼로네 치즈(provolone cheese)
원산국은 이탈리아. Mozzarella cheese와 같은 대표적인 플라스틱 커드(curd의 pH가 5.1∼5.4가 되면 70∼82℃의 열탕중에 Stretching을 행한다)치즈. 열탕중에 Stretching(잡아늘임)을 행하기 때문에 내열성 유산균을 Starter에 넣는다. 전형적 형상은 서양 배(梨)의 모양을 하고 있지만 소시지모양, 공모양의 것도 있다. 광택(光澤)있고 엷은 반투명한 적갈색은 Strething과 훈연(熏煙)에 의하지만 내부는 희다. 숙성은 통상 6∼9개월 행하는데 식료품가계의 처마 앞에 매달아 놓는 것으로도 보존성은 좋다. 상쾌한 풍미가 있다. 수분 45%이하, 지방 25∼33%, 식염 2∼4%.
-
프로세스드 치즈(가공 치즈: Processed cheese)
일본인에게 가장 맛이 깊이 잘 밴 치즈로 살균 치즈라고도 불리고 있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숙도(熟度)가 다른 경질 치즈를 배합하고 유산제(각종 인산나트륨)와 함께 가열 용해하고 바로 포장을 행한다. 이 때에 살균효과을 얻을 수 있어 보존성은 높다. 과실, 야채, 육류등을 가하는 것도 있다. 우유의 주단백질은 카제인이지만 Natural cheese는 Ca 파라카세이네트, Processed cheese는 Na 파라카세이네트와 결합이온이 교체하고 있다. 일본의 유등성령에 있는 성분규격에 의하면 유고형분 40%이상으로 되어 있다.
-
환원유(recombined milk, reconstituted milk)
탈지분유, 전분유, 크림, 버터등을 물에 용해하고 혼원된 우유. 유등소령상은 가공유에 들어가고 유고형분과 지방함량을 조정한 일련의 제품이다. 우유와 동일조성이 되도록 환원한 보통형, 고형분을 높인 농후형, 저에너지 고단백의 저지방형의 3가지형이 있다. 전지분유를 물에 용해한 것은 reconstituted milk라고 한다.
-
황저(荒煮: fore warming)
연유와 분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일본에서의 독특한 용어. 예열(豫熱)이라는 것이 일반적인데 농축을 하기전에 먼저 열을 가하는 것. 이 처리에 의해 살균과 동시에 단백질이 적당한 정도로 변성하고 칼슘(Ca)은 불용화하여 열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는 제품이 되고 나서 점도(粘度)의 증가를 막는다. 실제 예로서 95℃ 10분, 또는 120∼140℃ 24초가 있다.
-
히프트(거품을 일게 한)크림(whipped cream)
교반하여 미세한 기포(氣泡)를 혼입하여 거품을 일게한 크림. 양과자의 마무리용에 널리 이
용되고 있다. Whipped cream은 지방율 40∼45%로 크림 100에 대하여 설탕 20∼25를 가하
고 소량의 향료, 색소를 가하여 5℃정도에서 냉각하여 거품을 일게 한다.
-
가공유(liquid milk containing recombined milk)
일본에서는 유등소령에 의해 시판식용유를 우유, 가공유, 유음료의 표시의 것으로 나누고 있다. 가공유는 환원(還元)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허락되고 있고 현재 농후형의 것, 저지방형의 것, 무지방형의 것이 있다.
-
가염버터(salted butter)
식염이 첨가된 버터로 식염첨가에 의해 버터의 품이가 개선되고 보존성도 향상한다. 가정용·식탁용으로서 널리 소비되고 있다. 식염은 순도가 높은 양질의 정재염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제품중 1.5∼2.0%가 되도록 작업시에 첨가된다.
-
아이스크림(Ice cream)
유등성령(乳等省令)에서는 유고형분 3.0%이상으로 동결한 것이 Ice cream류이고 이중에서 유고형분15%이상, 유지방분 8.0%이상의 것이 아이스크림이다. 설탕, 안정제, 유화제, 향료등을 배합한 혼합을 냉각기에서 교반, 동결, 경화시켜 만든다. Overrun은 80∼100%이다. 대장균 음성은 세균수 1g당 100,000이하로 규정된다.
-
알콜 발효유(alcoholic fermented milk)
발효유를 제조할 때, 유산균 이외에 효모를 가하여 만들면 알콜발효가 일어난다. Kefir와 쿠미스(Kumiss: 말, 낙타젖으로 만든 타타르인의 술)의 Starter(발효용 배양균)에는 효모가 존재하기 때문에 완성된 제품에는 소량의 알콜이 포함된다.
-
알콜불안정유(alcohol unstable milk)
원료유의 검사법의 하나인 알콜 실험으로 착유직후의 신선한 유즙에 70% 알콜을 등량(等量)혼합(混合)할 때 응고물을 만드는 유즙의 것. 알콜불안정유에는 적정산도가 0.181%이상의 고산도(고산도유 또는 고산도 알콜불안유)와 0.18%이하의 산도(저산도 알콜불안정유)의 것이 있다.
-
에담치즈(edam cheese)
원산지는 네덜란드 북부의 edam지방. 특히 고품질의 원료유를 필요로 하고 원래 미살균, 무조정의 원료유를 이용하고 있지만 금일에서는 지방을 2.5%정도로 조정하고 있다. 특징으로서는 수출용은 표면을 붉게 착색하고 사과의 이미지를 풍긴다. 국내소비는 소지(素地)대로 유통하고 있다. 온화, 청결, 상쾌한 풍미를 가지고 있고 넓적한 구상으로 성형되어 1개의 중량은 대체 1.5∼2.0kg. 수분 45%이하, 지방 40%이상/건물, 단백질 27∼29%, 식염 1.6∼2.0%.
-
에멘탈 치즈(emmental(swiss) cheese)
원산지는 스위스. 베른시 북동의 emmental계곡에 명칭의 기원을 가지고 있다. 산지에서는 미살균유를 동제치즈배트(vat)로 이동하고 유산균이 다른 프로피온산균을 첨가하고 가스발생을 생성시켜 아주 동그란 치즈의 눈을 형성시킨다. 치즈의 왕, 거인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1개의 중량은 대체로 100∼110kg. 민족에 의해 치즈의 기호가 다른 것 처럼 이탈리아인은 호두대, 일본인은 체리대를 좋아한다. 풍미는 온화하고 특유의 맛이 있다. FAO, WHO에서는 동의 함량를 15mg/kg으로 정하고 있다. 수분 33.5∼35%, 지방 32∼34%, 단백질 23∼33%, 식염 1.5%.
-
영양소 강화유(nutrient- enriched milk)
무기질, 비타민등을 첨가하고 영양면에서의 강화를 도모한 우유. 우유를 강화하는 미량 영양소로서는 철, 비타민A, D, E가 일반적이고 그 강화기준은 월령 3∼4개월의 유아의 표준 필요량을 기초로 하고 1ℓ중에 철 6mg, 비타민 A1500IU, 비타민D400IU정도가 많다. 일본에서는 유등성령에 의해 유음료 표시가 되어 있다. 또는 저지방형의 것도 있다.
-
지육 가격의 차이를 둠(grading of dressed carcass)
농림수산성에서는 식육의 유통을 합리적으로 행하기 위해 소 및 돼지의 지육거래규범을 제정하고 쇼와(昭和) 37년에는 일본 식육협의회의 가격의 차이를 두는 기능을 강화하고 이것에 기초로 한 거래결과의 공표를 행해 왔다. 그 후 쇼와 50년에 설립된 일본식육격부협의회에 업무가 이관하고 최근에서는 쇼와 63년에 개정된 규격으로 인해 공정 원활한 거래가 추진되고 있다.
-
Bloom
신선한 식육의 내부는 혐기적 조건하에 있기 때문에 미오글로빈는 환원형으로 존재하고 자
적색을 보이는데 그 절단면을 공기에 쬐면 산소가 글로블린에 결합(산소화라고 한다)하여
옥신글로블린을 생성하고 선적색으로 변화한다. 개화를 연상시키는 이 현상을 Bloom 또는
Blooming이라고 부른다. 이 현상은 기계로 저민 고기에서 현저하게 관찰할 수 있다.
-
Rib eye
Roast(loin)육의 절단면에 보이는 융최장근의 원형 부분을 가르키고 단면의 육의 색띠, 결, 지방교잡등을 판정하는 중요한 부위.
-
가열소시지(cooked sausage)
쿡크드소시지는 훈연하지 않고 익히기만을 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그 대표적인 것은 간소시지(liver sausage)이다. 원료로서 돼지고기 35, 쇠고기 20, 돼지의 지방 15, 돼지의 간장 20, 얼음물 10에 소금 2.5, 미원 0.3, 후추가루 0.3, 다임(thyme) 0.2, 육두구(natmeg) 0.1을 이용한다. 고기와 간 및 지방을 따로 갈고 사일런트커터(silent cutter)에 옮겨 넣은 후 조미료와 향신료를 섞어 넣고 세절한 다음 마지막으로 지방을 섞어 세절하여 혼합한다. 이것을 적당한 크기의 케이싱에 다쳐 넣고 70∼75℃의 물속에 담가 1∼2시간 익힌 다음 냉수로 냉각하여 끝낸다. 지방은 작은 입방체로 절단하여 혼합하기도 한다.
-
건염법(dry curing)
전염지법이라고도 한다. 식육가공때 일정양의 염지제(식염, 발색제, 산화방지제, 설탕, 조미료등)을 원료육의 표면에 직접 문질러 바르고, 저온에 있어서 염지하는 방법. 햄(Ham), 베이컨(Bacon)등의 단미품제조의 경우 원료육 1kg당 4∼7일간을 기준으로 한다. Press Ham(프레스 햄)과 소세지용의 작은 고기조각(덩어리)와 세절육에는 이 염지법이 이용된다.
-
건조육(dried meat)
육의 작은 덩어리와 엷게 자른 것에 맛을 부과하지 않고 그대로 천일과 열풍으로 건조하거나 동결건조하고, 보존성을 높이는 것. 이것은 품질적으로 그다지 좋은 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이것과 비슷한 것으로 맛을 부과한 것이 있고, 육포(beef jerky)와 양념하여 맛을 낸 건조육등이 있다. 대만에서는 많은 종류의 맛을 낸 건조육이 만들어지고 있다.
-
결(texture)
직경10∼100μ의 근육섬유가 50∼150개 모여서 제 1차근속을 만들고 특히 이것이 50∼70개모여서 제2차근속을 만들고 근육을 형성한다. 이 제1차근속의 단면을 [결]이라고 한다. 근섬유가 크고 많이 모이면 제 1차근속도 커지고 [결]은 거칠어지고 격을 매긴 위로부터는 낮은 육질로서 평가된다.
-
그리스(grease)
일반적으로 응고온도가 40℃이하의 짐승의 지(脂)를 가르킨다. 물에는 불용이지만 유기용매(에테르, 사염화탄소등)에 가용. 양모로부터 얻어진 정제그리스는 Lanolin라고 부르고 의약용 연고(軟膏)와 화장용(化粧用)크림의 기제(基劑)로서 이용된다. 공업용크림은 광물유와 에스테르유에 증조제를 가한 것이다.
-
냉도체충(cold carcass weight)
도축장에 있어서 지육 거래를 위해 도살 후 인위적으로 냉각한 도체의 중량을 말한다. 냉각은 식육의 세균수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 외에 식육의 화학변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육질의 저하를 막고 또 사후경직을 마친 도체의 절단은 온도체의 것보다는 용이하고 또 부위의 형상도 좋다. 그러나 냉각중에 수분이 증발하고 무게가 줄어든다. 그 배율은 냉장중의 온도와 풍속등에 의해 다르지만 온도체중의 1∼3%의 범위에 있다.
-
냉도체충(cold carcass weight)
도축장에 있어서 지육 거래를 위해 도살 후 인위적으로 냉각한 도체의 중량을 말한다. 냉각은 식육의 세균수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 외에 식육의 화학변화를 억제하기 때문에 육질의 저하를 막고 또 사후경직을 마친 도체의 절단은 온도체의 것보다는 용이하고 또 부위의 형상도 좋다. 그러나 냉각중에 수분이 증발하고 무게가 줄어든다. 그 배율은 냉장중의 온도와 풍속등에 의해 다르지만 온도체중의 1∼3%의 범위에 있다.
-
냉동(frozen)
빙결점(-1∼-5℃)이하의 온도에서 보존하는 것을 냉동이라고 하지만 국제적으로는 -18℃이하에서의 저장을 가르키고 있다. 최근에서는 냉동기술의 진보에 의해 -20℃이하에서의 저장이 보통으로 되고 있다. 이 온도에서는 미생물의 증식은 거의 억제시킬 수 있지만 지방과 육색의 산화는 진행되기 때문에 저장 방법과 기간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
냉육(cold meat)
냉제 요리에 이용하도록 조리한 고기로 소, 자우, 돼지, 양, 닭, 칠면조, 오리, 집오리 등 많은 종류의 육이 이용된다. 삶은 고기, 찌고 삶은 고기, 끓인 고기, 찜구이육 등이 냉제 요리로 완성된다. 냉육은 일반적으로 찬 야채요리와 조합한 샐러드가 첨가되고 젤라틴(gelatin)이 들어간 소스 외에 찬 소스가 이용된다.
-
냉장(cold storage)
통상 0∼4℃의 비동결 상태에서의 저장을 의미한다. 식육의 냉장은 위생상의 이유와 새거나 해서 분량, 무게가 절로 줆과 육색의 변화, 자기소화 등 식육의 품질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그러나 이 온도 범위에서는 품질 열화를 완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의 저장은 기대할 수 없다. 이 온도에서의 저장 가능한 기간은 보통 1∼4주간이다.
-
냉장(cold storage)
통상 0∼4℃의 비동결 상태에서의 저장을 의미한다. 식육의 냉장은 위생상의 이유와 새거나 해서 분량, 무게가 절로 줆과 육색의 변화, 자기소화 등 식육의 품질저하를 억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그러나 이 온도 범위에서는 품질 열화를 완전히 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의 저장은 기대할 수 없다. 이 온도에서의 저장 가능한 기간은 보통 1∼4주간이다.
-
냉장육(chilled meat)
chilled meat라고도 한다. 식육의 동결점이 -1.7℃이하이므로 동결한 직전의 온도에서 냉장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냉장온도에서는 완전히 미생물의 번식과 변·퇴색은 방지할수 없지만 해동할 때의 drip의 손질이 없기 때문에 부분육으로 나누어 진공포장하고 0±1℃에서 유통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저온에서 유통시키는 것에 의해 열성이 완만하게 진행하는 장점도 있다.
-
냉훈(cold smoking)
10∼30℃의 온도대에서 훈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장시간 처리를 하기 때문에 훈연 성분의 작용과 탈수 건조에 의해 보존성을 요구되는 제품에 이용된다. 뼈가 붙은 햄, 드라이 소시지(dried sausage), 래크스 햄(일본 농림성 규격으로 정해놓은 햄규격의 한 종류, 구어서 만들기 때문에 진한 분홍색을 띠고 있음)등이 그 예이다. 전통적인 베이컨(bacon)도 냉훈법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높은 온도에서 처리되고 있다.
-
냉훈(cold smoking)
10∼30℃의 온도대에서 훈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장시간 처리를 하기 때문에 훈연 성분의 작용과 탈수 건조에 의해 보존성을 요구되는 제품에 이용된다. 뼈가 붙은 햄, 드라이 소시지(dried sausage), 래크스 햄(일본 농림성 규격으로 정해놓은 햄규격의 한 종류, 구어서 만들기 때문에 진한 분홍색을 띠고 있음)등이 그 예이다. 전통적인 베이컨(bacon)도 냉훈법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높은 온도에서 처리되고 있다.
-
냉훈(cold smoking)
10∼30℃의 온도대에서 훈연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장시간 처리를 하기 때문에 훈연 성분의 작용과 탈수 건조에 의해 보존성을 요구되는 제품에 이용된다. 뼈가 붙은 햄, 드라이 소시지(dried sausage), 래크스 햄(일본 농림성 규격으로 정해놓은 햄규격의 한 종류, 구어서 만들기 때문에 진한 분홍색을 띠고 있음)등이 그 예이다. 전통적인 베이컨(bacon)도 냉훈법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높은 온도에서 처리되고 있다.
-
도메스틱소시지(domestic sausage)
도메스틱소시지는 수분함량이 50∼60%정도인 소시지로서 63∼65℃에서 30분간 처리한 소시지는 냉장고에 1∼2주일 정도 보관해도 안전하며, 실온에서는 1∼2일밖에 보존할 수 없으므로 제조한 후 빨리 식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메스틱소시지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프레쉬소시지(fresh sausage), 쿡크드소시지(cooked sausage), 스모크드소시지(smoked sausage)의 3종류로 대별된다.
-
동결건조육(freeze-dried meat)
동결한 식육을 감압하면 식육중의 빙결정은 녹는데 무사히 증발하고(승화), 건조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식육조직의 수축이 적고 단백질의 변성도 억제되고 비교적 복원성이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당한 기간 상온에서 보존 가능하지만 흡수성이 높고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보관 방법과 포장재료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
드라이 소시지(dryed sausage)
드라이소시지는 수분함량이 15∼35%로서 낮아 장기간 저장할 수 있으며 원료육으로서는 돼지고기, 쇠고기, 돼지의 지방 등이 이용되는데, 제조과정 중에 가열살균처리를 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인 원료육을 사용해야 한다.
-
로스트(roast)
찜구이 요리로 우육, 자우육, 돈육, 양고기, 칠면조, 야금류의 고기를 오븐(oven)내지 찜구이 가마(솥)로 찜구이 한 것. 실로 매어 모양을 조정하고 소금, 후추를 치고 샐러드용의 식물성 기름을 붓고 오븐에 넣고 오븐에 넣는 사각 철판에 고인 기름을 떠내면서 고기의 전면이 색을 띨 때까지 잘 굽는다. 구울 때 흘러나온 즙(물)을 걸러내고 소스로 완성한다.
-
로인(loin)
미국식 절단에 의한 부분 명칭으로 우육에서는 견갑골을 제거한 후의 부분을 가르킨다. 주로 흉최장근, 요최장근과 그 주변의 지방을 받아 들인 부분으로 소에서는 Rib roast(소의 등심살로 최상의 고기로 침. 스테이크, 전골등에 씀), 로인 로스트(loin roast), 설로인(sir loin: 쇠고기 중에 등심을 이름), 쇼트로인(short loin)등으로 분할되지만 일본에서는 로스트(roast)라는 명칭 안에 포괄된다.
-
미트로프(meat loaf)
소지지류에 속하는 종류가 많은 육제품. 우육, 돈 적육 등의 원료육으로 소량의 전분, 분유, 난백(卵白), 젤라틴(gelatin)등을 가하고 식염, 설탕, 향신료로 조미를 행하고 Silent cutter로 세절·혼화(混和)한다. 그것을 금속의 형(mould, mold)에 표면을 평평하게 빈틈이 없도록 가득 채우고 오븐(oven)으로 굽든가 또는 찌는 것도 있다.
-
신선소시지(fresh sausage)
프레쉬소시지는 훈연처리나 익히기를 하지 않은 소시지로서 0∼1℃에 냉장하여 1∼2일 동안에 익히기를 하여 소비한다. 저장할 때는 급속, 동결시켜 -30℃이하에서 냉장한다.
-
염지(curing)
육제품의 가공공정에 있어서 식염과 발색제와 조미료등을 포함한 염지제로 염지하는 것. 일정기간 저온에서 보지(保持)되는 사이에 가공원료의 풍미 양성(釀成)이 진행하고 색조와 보존성도 부여되기 때문에 육제품의 가공공정중에 가장 중요한 공정이다. 염지의 방법에 의해 건염법, 액염법, (immersion)염지법등이 있다.
-
우둔살(rump)
이탈리아식 절단에 의한 우지육의 부분 명칭으로 제 4선추(仙推)와 제 5선추(仙推)의 사이에 Strip loin의 절단면으로 평행하게 절단한 때의 전부분을 가르킨다. 일본식 분할 부위에는 [란이찌]에 상당하는 부위.
-
유우육(dairy meat)
홀스타인종 등의 유용우의 고기(육)의 총칭. 유용우의 수컷 및 암컷 자우를 비육하거나 혹은 유폐우(乳廢牛)를 그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게 되도록 비육하여 생산한 우육.
-
육 혈장(肉 血漿: sarcoplasm)
근장(筋漿)이라고도 한다. 식육으로서 이용되는 골격근 조직의 주체를 이루고 있는 골격근 섬유로부터 근원섬유를 제거한 나머지 부분이고 육혈장에는 많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즉 세포액중에 존재하는 무기·유기 화합물, 세포액에 용재한 단백질,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사립체. 세포내의 에너지원인 아데노신 삼인산을 대량으로 생성함)와 근소포제등의 세포소기관, 글리코겐(glycogen), 지방등이다. 식육의 색, 향 및 맛에는 육혈장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관계하고 있다.
-
육기질(muscle stroma)
식육으로부터 수용성의 단백질 및 염용성의 단백질을 추출·제거한 후에 얻을 수 있는 잔사의 단백질을 말한다. 육기질의 단백질의 주성분은 결합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콜라겐(collagen: 동물의 결합조직인 가죽·뼈 등을 구성하는 섬유상 단백질)이다.
-
육색고정(color fixation, color formation)
식육제품으로 비교적 안정하고 특유한 색조가 부여되는 현상을 말하고 발색이라고도 부른다. 식육은 가열하면 갈색으로 변화하지만 가공할 때에 발색제를 첨가하면 미오글로빈(myoglobin: 근혈색소. 근육에 많으며 산소를 저장하는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헴(heme: 포르피린에 2가의 철이온을 배위(配位)한 착(錯)화합물. 짙은 적색의 철함유 혈색 색소로 헤모글로빈의 주요구성 요소)색소 단백질은 니트로소(nitroso)화 되고 열에 안정한 적색의 니트로소 미오글로빈(nitroso-myoglobin)-염지육색-을 가열로 적분홍색의 니트로소 헤모크롬(가열염지육색)을 생성한다.
-
육엑기스(meat extract)
기계로 저민 고기를 자비(煮沸)하여 물에 가용한 성분을 추출하고 농축한 것으로 풍미성분과 비타민 B, 칼륨등의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풍미개량용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Beef extract의 부산물로서 개발된 자비육은 생육 수입의 불가능한 지역으로도 수입가능하고 각 종의 레토르트(retort) 식품과 통조림의 원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육즙(Drip)
일반적으로 동결육을 해동할 때에 근육조직으로 재흡수되지 않고 바깥으로 참출한 액즙을 drip이라고 한다. 원인은 동결에 의해 근육 단백질이 변성하고 해동해도 액즙을 흡수할 수 없어 물이 분리되기 때문이다. 광의로는 chilled meat등을 진공 포장할 때에 식육덩어리 주변의 수분이 표면으로 이동하고 진공포장의 정도에 응하여 식육의 외측에 액즙이 참출한 상태를 말한다.
-
육지율(肉脂率)
식육의 적육에 대한 지방의 비율을 말한다. 소세지(sausage) 가공 등에 있어서 원료육의 육지율은 제품의 지방율을 항상 일정하게 하는 데에 중요하다.
-
정제(rendering)
축산 부산물(뼈, 내장등)을 분쇄 혹은 페이스트(paste)상으로 한 후 가열하여 지방을 용출하고 정제하는 것. 가열만으로 지방을 용출(溶出)시키는 건식 용출법과 물을 가하여 가열, 용출시키는 습식 용출법이 있다. 지방을 분리하고 얻은 후의 잔사는 단백질과 무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축등의 사료 원료로서 이용된다.
-
정제(rendering)
축산 부산물(뼈, 내장등)을 분쇄 혹은 페이스트(paste)상으로 한 후 가열하여 지방을 용출하고 정제하는 것. 가열만으로 지방을 용출(溶出)시키는 건식 용출법과 물을 가하여 가열, 용출시키는 습식 용출법이 있다. 지방을 분리하고 얻은 후의 잔사는 단백질과 무기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가축등의 사료 원료로서 이용된다.
-
조정보관(調整保管)
식육의 가격 저락(低落)을 방지하기 위해서 지정 식육(돈육, 우육)을 일시적으로 매입하고 보관하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축산물의 가격안정등에 관한 법률]에 기초를 둔 지정식육의 가격 안정제도하에 가격안정대의 하한가격인 안정기준을 유지하기 위하여 축산진흥사업단이 행하는 중앙도매시장에서의 매입에 대하여 생산자단체가 이것을 보완하는 형으로 산지시장(사업단지정)에서 지정식육의 매입하고 보관을 행하는 것.
-
지육(dressed carcass)
육종가축을 도살, 방혈하여 박피 또는 탈모하고 내장을 적출한 후 두부와 전지, 후지, 꼬리등을 제거한 후 배골에 걸쳐 종단하고 좌우의 반체로 절단한 것. 거래의 단위로서 좌우의 반환이 유통하고 있다.
-
지육비율(dressing peccentage)
도축을 도살, 해체하여 혈액, 가죽, 머리 , 전후지, 내장등이 순차적으로 제거된 것을 지육이라고 한다. 도축의 생체중에 대하여 얻어진 지육 무게중 백분율. 도체율이라고도 한다.
통상 소에서는 50∼60%, 돼지에서는 65∼70%이다. 지육비율은 품종은 물론 개체와 도축 반
입의 기간대가 전일 반입인가 당일 반입인가에 의해서도 다르다.
-
축체송풍(air blastto animal)
서열시에 축체의 냉각을 도모하기 위해서 직접 바람을 쐬는 것. Duct(송풍관)에 의한 송풍, 가축의 옆에 송풍기를 두어 가축에게 바람을 쐬게 하는 방법등이 있다. 동물의 체온으로 따뜻해진 체표면의 공기를 보다 낮은 온도의 공기와 갈아 넣는 것에 의해 동물체온의 상승을 막는다. 풍량·풍속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방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탈섬유소혈(defibrinated blood)
핼액 응고에 관여하는 섬유소(피부린)를 제거한 혈액. 통상 방혈직후의 혈액을 심하게 교반하고 석출한 섬유소를 제거하면 얻을 수 있다. 소와 돼지의 탈섬유소혈에 식염과 초산칼륨을 첨가한 것은 가공용 혈액(식용혈액)이라 불리고 Blood sausage등의 재료가 된다. 또 탈섬유소혈은 다량의 헤모글로빈(Hemoglobin)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영양제(철제)의 원료가 된다.
-
훈연(smoking)
육제품을 건조한 벗나무, 너도밤나무, 히코리(hickory)등 단단한 나무의 톱밥과 칩등으로 태워서 연기를 내는 것. 제품의 색을 안정시키고 보존성과 풍미의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옛날에 비해서 떨어진 포장재료의 개발과 환경의 위생상태의 개선등으로부터 훈연조작에 의해 보존성을 높이는 등의 의의는 엷어져 가고 있다.
-
훈연소시지(smoked sausage)
훈연소시지는 가장 보편적인 소시지로서 훈연 후에 익히기를 하며, 케이싱은 통기성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천연케이싱은 가식성이어서 좋지만, 통기성만 있고 가식성이 아닌 케이싱은 훈연과 익히기를 한 다음 기계로 케이싱을 벗겨 버리고 몇 개씩 진공상태로 포장하여 끝낸다.
-
훈제육(smoked meat product)
식육을 육괴대로 식염과 발색제(초산카리와 아초산 나트륨)등으로 염지하여 훈제로 한 식육제품의 총칭. 훈연 방법에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행해지는 냉훈(10∼30℃), 온훈(30∼50℃), 열훈(50∼80℃)법, 더욱 높은 온도에서 행해지는 배훈법(焙燻法)등이 있다. 또 훈연성분을 용액상으로한 훈액에 담구는 방법도 있다.
-
도매용 커트(Wholesale cut)
도체를 도매용의 부분육으로 절단하는 것. 진공포장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육보다도 부분육유통이 증가하고 있다. 우육에서는 앞다리, 한쪽 배, 한쪽 등심, 목, rib loin, sirloin(등심), 등심살(filet mignon), 복부, 안쪽 허벅지, 바깥쪽 허벅지, 두부, 양정강이등의 부분으로 나누어지지만 관동과 관서에서는 습관상으로 다소 다르다. 돈육으로는 앞다리, 등심, 복부, 등심살(filet mignon), 뒷다리등으로 구분된다.
-
가축개량증식목표
일본의 가축의 개량증식에 관한 지침으로 나라 및 각도도부현에 있어서의 소, 말, 양, 산양, 돼지 및 정령으로 결정한 기타의 가축의 개량증식계획책정의 근거가 되고 있다. 내용은 각축종의 능력, 체형, 사양두수등에 대해서의 장기적인 정책목표로 경제적조건과 축산기술의 진보를 고려하고 5년마다에 10년후를 생각하여 다시 보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1962년에 제 1차목표가 만들어진 이래, 현행의 것은 1988년에 1995년을 목표로 한 제 5차 목표이다.
-
가축개량증식법(Domestic Animal Improvement Law)
가축의 계획적인 개량증식을 촉진하고 축산의 진흥을 도모하고 아울러 농업경영의 개선을 목적으로 하고 정한 법률. 거의 5년마다에 정해지는 최근 10년간의 가축개량증식일표의 책정, 우량종축의 확보, 가축인공수정 및 가축수정란이식의 적확(的確)한 시설을 위한 규정, 가축등록사업단의 지도, 육성의 4개의 내용이 큰 주(柱)이다.
-
거세(castration)
정소 또는 난소를 제거하는 것을 말하고 주로 수컷에서 행해지고 있다. 미성축의 동물에 이것을 행하면 2차성징이 보이지 않게 된다. 거세에 의해 온화한 성질, 육질의 향상, 산육성의 증가등이 기대된다. 음낭절개수술외에 좌멸거세, 고무고리거세, 호르몬제등을 이용한 화학거세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소에서는 생후 3∼4개월령에서 행해진다.
-
건지(Guerney)
외모는 저어지 종과 비슷하나 능력은 떨어진다. 모색은 담황, 적황, 황갈색 바탕에 자색반점이 뚜렷하다. 비경과 눈주위에는 담색이고 유방모는 백색이다. 체중은 성빈우가 400∼650kg이며, 성모우가 550∼900kg이다. 비유량은 3,000kg∼4,500kg이며 유지율은 5%로 지방구는 크고 건물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우유색도 진하고 맛이 좋다.
-
도태(淘汰)(율): culling
도태에는 가축을 육종개량하기 위한 선발도태, 번식장해, 유방염, 발육불량, 골절 등 그후의 생산을 기대할 수 없는 경제적 이유의 도태, 또 감염증에 걸린 가축을 도태할 경우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질병과 경제적 이유에 의해 사육 가축을 제외할 경우에 이용하고 일정기간에 있어서 항시 사육두수 혹은 사육개시두수에 대한 도태두수의 비율로 나타내고 각각의 경영의 생산성과 사육 기술의 평가에 이용한다.
-
독립도태수준법(independent culling level)
복수 형질의 개량을 도모하는 방법의 하나로 각각의 형질에 대하여 도태수준을 마련하여 모든 수준을 만족시키는 개체를 선발하는 방법.
-
레드데니쉬(Red Danish)
덴마크를 대표하는 유용종이지만 사양은 감소하고 있다. 중형으로 평균 유량 5,800kg, 유지율 약 4.2% 모색은 짙은 적갈색 단색이고 비경, 발굽은 흑색, 유각. 강건하고 연산성이 우수하다.
-
레드데니쉬(Red Danish)
덴마크를 대표하는 유용종이지만 사양은 감소하고 있다. 중형으로 평균 유량 5,800kg, 유지율 약 4.2% 모색은 짙은 적갈색 단색이고 비경, 발굽은 흑색, 유각. 강건하고 연산성이 우수하다.
-
변량효과(random effect)
분산분석 등에 있어서 분류변수 그것 자체도 보다 넓은 모집단에서 선발된다고 가정하는 효과. 통상은 모집단의 분포로서 정규분포를 생각한다. 종모우와 자우(雌牛)라는 유전의 효과를 변량효과로 하는 것이 많다. 또 변량효과만의 수학모델을 변량모델, 모수효과와 변량효과의 쌍방을 포함한 수학모델을 혼합모델이라고 한다.
-
브라만(Brahman)
브라만 또는 제부(Zebu)라 불리는 이 소는 인도산 우로서 미국에서 개량되었다. 몸이 깊고 비대하며 턱 밑에서 목, 가슴에 이르기까지 피부가 늘어진 주름이 있다. 유럽종과의 잡종은 이유시 체중이 무겁고 육질도 좋은 편이다. 모색은 강회색 또는 적색이며 성숙이 빠르고 5∼6세까지 성장을 계속하여 상당히 크게 자란다. 체중은 성빈우가 550kg, 성모우가 830kg 정도이며 도육율 또한 매우 높다.
-
쇼트혼(Shorthorn)
가장 체구가 큰 육용종인데 머리는 짧으며, 목은 짧고 굵어서 어깨까지 완만하며 후구가 넓고 충실하다. 모색은 적갈색과 흰색의 혼합색이며 뿔은 안으로 굽어 있고 피모는 길고 부드러워 권축되어 있는 것이 많다. 체중은 성빈우가 750kg, 성모우가 1,000kg정도이다. 조열 조비하는 편이나 다른 육용종에 비해 다소 성숙이 늦어 16∼20개월에 번식이 가능하다. 도육율은 65∼75%로 뼈는 가늘고 지방이 대리석처럼 혼입하여 육질이 연하고 즙이 많다. 유용 쇼트혼의 경우 연간 비유량은 1,800∼3,500kg, 유지율은 3.4∼3.7%정도이다.
-
에버딘 엥거스(Aberdeen Angus)
영국의 스코틀랜드 원산으로 아르헨티나, 미국등지에서 많이 사육된다. 다리가 짧고 가늘며 전두돌기가 뚜렷이 솟아 있다. 모색은 흑색이고 뿔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16개월이면 번식이 가능하고 추위에 잘 견디고 방목에 알맞다. 체중은 성빈우가 600kg, 성모우가 770kg정도이다. 도육율은 65∼67%이고 대리석 모양의 지방침착을 보여 육질과 풍미가 우수하여 가장 고가로 팔린다.
-
에어셔(Ayshire)
한냉한 스코틀랜드 원산으로 세계 각지에 퍼져 있으나 지금은 홀스타인에 제압 당하고 있다. 머리는 작으나 가슴이 깊고 배선은 곧으며 다리는 좀 짧은 편이고 후구와 유방이 잘 발달해 있다. 모색은 적백반, 갈백반이 보통이며 흰부분이 많다. 특유의 긴 뿔을 가지며 조사료에 잘 적응하여 사육관리가 편하다. 만숙성으로 체중은 성빈우가 450kg, 성모우가 800kg정도이다. 비유량은 연간 3,600∼4,500kg, 유지율은 3.5∼4.0%이며 지방구는 작고 우유중의 카제인인 풍부하여 생유와 치즈를 생산하는데 적합하다. 비육성은 불량하나 육질은 젖소중 가장 양호하다.
-
유용 쇼트혼(Dairy Shorthorn)
영국북동부 원산의 겸용종으로부터 개량된 유용종. 대형으로 평균유량은 5,000kg, 유지율 약 3.6%로 유질은 양호. 모색은 백색, 엷은 적갈색 단색으로 비경(鼻鏡)·발꿉(蹄)은 흑색, 유각. 내조 사료성에 우수하다.
-
유용종(dairy breed)
유이용을 위하여 개량된 소로 체형은 모나고 척형(瘠型), 전구(前軀)는 가볍고 중·후구는 장대(長大)한 설형(楔形)을 보이고 유기의 발달이 좋다. 홀스타인(Holstein), 저어지(Jersey), 유용 쇼트혼(Shorthorn), 건지(Guernsey)등의 품종이 있다. 또 제브(Zebu)계의 소에서도 길, 하리아나등이 인도를 중심으로 사양되고 있다.
-
유우
젖소의 사육역사는 매우 짧은 편이다. 젖소가 처음 도입된 것은 1902년 프랑스인 Short씨에 의해서 였으며 호스타인종(holstein) 20두를 들어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1908년에는 에어셔(Ayshire)종을 지금의 농부진흥청의 전신인 권업모범장에서 소 개량목적으로 들여왔고 이후에도 수차례 도입과 자체증식 과정을 겪으면서 젖소의 사육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젖소를 증식한 것은 1960년 경제개발계획이 추진되면서 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 미국, 캐나다, 뉴질랜드 등으로부터 젖소의 도입이 이루어 졌으며 1960년 소반 1,000두 미만이었던 사육두수가 1980년에는 18만두, 1988년말에는 48만두를 넘어서게 되어 괄목할만한 신장율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사육두수에 비하여 호당 사육두수는 1985년을 정점으로 오히려 감소학 있는데 이는 소득증대에 관심이 높은 사육농가가 큰 폭으로 증가한데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호당 평균사육두수는 80년이후 저차 증가되어 88년말에는 13두를 너멍서고 있어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젖소의 역할은 우유생산 뿐만아니라 젖소 수송아지에 의한 쇠고기 생산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두당 평균산유량은 1970년 3,600kg이었던 것이 점차 증가되어 1980년에는 4,500kg으로 늘어나고 1988년 5,100kg이었으며 이후로도 젖소의 개량과 사양관리기술의 발달로 계속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
유육겸용종(dual purpose breed)
유(乳)·육(肉) 양방의 생산을 목적으로 개량되어 온 품종으로 체형도 유용·육용종의 중간이다. 쇼트혼(Shorthorn), 브라운 스위스(Brown Swiss), 심멘탈등 유럽에서 개량·사양되어 온 품종이 많은 겸용종이다.
-
유지 생산량(milk fat yield, milk fat production)
유지방의 생산량을 말한다. 우유의 생산자 가격은 대부분이 유지 생산량과 무지고형분량으로 결정되므로 유량보다 이것들 쪽이 중요시된다. 또 소의 유생산능력의 평가로 유지방 생산량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무지고형분량으로 중요성이 옮겨지는 중이다.
-
육용종(beef breed)
육생산용으로 개량된 소로 지육 원료의 허비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살찜이 좋고 전·중·후구가 균등하게 발달하고 체형은 장방형, 사지는 짧고 땅딸막하다. 샤로레, 헤리포드(Hereford), 에버딘 앵거스(Aberdeen Angus), 육용 쇼트혼(Shorthorn), 브라만(Brahman)등의 품종이 있다. 흑모화종, 갈색화종, 일본 단각종등 화우도 역육겸용종으로 육용으로 개량되고 우수한 육질의 품종이다.
-
저지(Guernsey)
이탈리아령 저지섬 원산의 유용종. 소형으로 평균유량 5,200kg, 유지율 약 4.5%, 지방구가 크고 원료유로 적당하다. 모색은 담황∼갈색지로 복잡한 출입의 백반(白斑)이 있고 비경·제(蹄)는 육색, 유각. 내한성은 떨어진다.
-
직접검정(direct test)
육우와 돼지와 같은 산육용 가축에서 자주 실시되고 있다. 유우의 경우 후보종모우의 비유능력에 관한 후대검정을 실시하기 전에 집합검정장등에 있어서 후보종모우 자신의 발육능력과 정액생산능력등을 조사하는 것을 말하고 전단(前段)의 예비선발의 성격을 띠고 있다. 유우의 후보종모우의 산육능력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그 거세우를 이용하여 집합 검정방식으로 실시하는 것이 많지만 이것은 직접검정은 아니고 후대검정이므로 혼동해서는 안된다.
-
체형심사(judging, claasification, rating)
체형심사는 각 유우 개체의 외모상의 특징을 이상체형에 기초를 둔 심사표준(각부위에 대한 설명과 배점이 이루어지고 있다)에 대조하여 결점 방식으로 행하는 심사원의 채점에 의해 실시된다. 통상 일반외모, 유용우의 특질, 체적, 유기의 사대구분과 그것들을 집계한 총득점을 체형득점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많다. 체고, 체장, 흉위등의 체길이 측정은 폐지되고 비교적 최근이 되어 각 부위마다의 특징 어떤 형질을 통계학적으로 수량 평가하기 쉽도록 고안된 선형심사법을 병용하는 것이 많아 졌다. 또 능력검정동양 체형심사도 개체심사에서부터 우군 심사로서 실시되도록 되었다. 자우의 심사성적은 종모우 평가로도 활용되고 자우의 체형 개량상의 교배지침 정보를 제공해 준다. 전국 공진회는 체형심사의 제전화한 행사의 측면도 있지만 일본의 유우체형의 개량방향을 나타내는 곳으로도 되어 있다.
-
헤리포드(Hereford)
영국 헤리포드주 원산으로 미국에서 가장 인기있는 품종 중의 하나이다. 이상적인 육용우로 체구가 짧고 다리가 짧아 몸이 낮으며 등은 넓고 곧으며 후구가 깊고 풍만하다. 모색은 적갈색과 흰색의 얼룩이며, 피부는 좀 두꺼우나 부드럽고 비꼬인 굵은 털로 덮여 있다. 체중은 성빈우가 670kg, 성모우가 850kg정도이다. 조열 조비하고 육질이 우수하여 도육율은 65∼70% 정도이다.
-
홀스타인(Holstein)
네덜란드·독일북부원산의 오랜 유용종으로 차고 서늘하고 온난한 지역에 있어서 양질사양으로 고능력을 발휘한다. 유럽각지에서 사양되어 왔지만 1861년 이후 미국으로 도입되고 산유능력의 개량 결과 대형화하고 유방의 발달도 잘 되었다. 미국형 홀수타인의 평균유량은 6,700kg, 유지율은 3.6%이고 일비유기 유량이 2만kg을 넣는 개체도 보인다. 모색은 흑백반으로 비경·제(蹄)는 육∼흑색, 유각. 조숙(早熟)으로 사료 이용성에 우수하지만 내서성은 떨어진다. 일본의 유용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
1대잡종(F1: Hybrid)
잡종강세를 이용한 1대잡종품종의 것. 옥수수, Sorghum, 비트(beet)등의 시판종자는 대부분이 1대잡종품종으로 되어 있다. 많이 수확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지만 반면 종자가 고가로 자가채종을 할 수 없는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
BLUP법(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 method: BLUP method)
C. R. Henderson이 개발한 종축(種畜)의 유전능력을 평가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는 통계방
법. 종래법에 비하여 환경의 효과와 혈연관계에 의한 효과, 교배의 효과 등을 동시에 통계학
적으로 보정(補正)할 수 있는 것으로 1970년대 이후 각국에서 급속하게 보급되었다. 환경의
효과를 모수(母數) 효과로 유전의 효과를 변량 효과로 한 혼합 모델 방정식을 세워서 그 방
정식을 푸는 것에 의해 유전효과의 최량선형불편예측량(最良線形不偏豫測量 : best linear
unbiased predictor)을 구할 수 있다. 또 모수(母數) 효과의 최량선형불편추정값(best linear
unbiased estimator)도 동시에 구할 수 있다. 모델의 종류에 의해 Sire model, MGS model,
animal model 등이 있다.
-
DNA다형(DNA polymorphism)
DNA[디옥시리보핵산(deoxyribonucleic acid)]은 핵·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 정보의 담당자(유전자)이다. 이 DNA을 여러 가지의 제한효소로 절단하고 그 단편과 유전자좌의 염기배열을 분자 유전학적수법으로 조사해 가면 다수의 변이(다형)을 볼 수 있다. 이것들의 DNA다형은 멘델성의 유전을 하고 특정형질과의 연관도 볼 수 있으므로 개체식별과 게놈(Genom: 생물염색체의 기본 세트)해석의 유전자 Marker로서 유용하다.
-
ETA(estimated transmitting ability)
추정 전달 능력이라고도 한다. 통상 편친으로부터 아들로 전해지게 되는 상가적 유전효과를 나타내고 이 경우에는 육종가의 1/2에 해당한다.
-
MOET육종계획(multiple ovulation and embryo transfer breeding scheme)
과배란과 수정란 이식을 활용한 육종계획의 약어. 우수한 자우(雌牛)를 중핵 집단으로 모아서 과배란과 수정란 이식에 의해 그 산자(産子)를 동시에 다수증식하고 개량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또 후대검정으로 수컷의 소를 선발하는 것에 의해 세대간격을 단축하고 개량효율을 높일 수 있다.
-
REML법(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 REML method)
혼합 모델에 기초를 둔 분산 성분의 추정법. 유전율과 유전 상관을 구할 때 이용한다. 통상 최우법으로 어떤 종의 제한을 가하여 풀기 때문에 제한 최우법이라고도 불린다. 혼합 모델 방정식을 반복하여 푸는 해법이 일반적이지만 Animal model 등으로는 계산량이 팽대되기 때문에 종종 간편법이 고안되고 있다.
-
REML법(restricted maximum likelihood method: REML method)
혼합 모델에 기초를 둔 분산 성분의 추정법. 유전율과 유전 상관을 구할 때 이용한다. 통상 최우법으로 어떤 종의 제한을 가하여 풀기 때문에 제한 최우법이라고도 불린다. 혼합 모델 방정식을 반복하여 푸는 해법이 일반적이지만 Animal model 등으로는 계산량이 팽대되기 때문에 종종 간편법이 고안되고 있다.
-
STA(standardized transmitting ability)
해당 종축의 ETA와 모든 종축의 ETA의 평균과의 차를 표준편차로 빼어 표준화한 값. 해당 종축의 유전능력의 상대적인 우열을 보이는데 적당하다. 표준화 전달능력이라고도 부른다.
-
cow index
종빈우의 육종가 추정치. 최근에는 animal model에 의한 평가치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종빈우의 경우, 총합능력지수를 cow index라고 부르는 것도 있다.
-
간접검사(indirect test)
육우와 돼지의 경우에 후대검정의 것을 간접검사라고 한다. 유우에서는 후대검정이라고 하고 이 용어는 사용하지 않는다.
-
개체모형(animal model)
BLUP법에 있어서 변량효과로서 해당 개체 그것을 포함시키는 모델(model). 기록을 가진 개체와 그 양친등 다수의 개체간 혈연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반면 방대한 계획량을 필요로 한다.
-
근교계수(inbreeding coefficient)
개체가 어느 정도의 근친교배의 결과로서 생산되는 것인가를 나타내는 수치. 개체가 가진 임의의 상동유전자가 본래 조선(祖先)의 한 개의 유전자에 유래한 확율로 0∼1의 값을 취한다. 집단의 근교계수는 그 집단을 구성하는 개체의 근교계수의 평균치로 나타낸다.
-
근교퇴화(inbreeding depression)
집단중에서 근친교배를 계속하면 유전율이 낮아지던가 또는 중정도인 번식능력과 항병성, 성장속도등이 점차로 저하하는 현상. 유전율이 높은 형질에는 근교퇴화가 나타나기 어렵다.
-
근친교배(inbreeding)
친자, 형제와 같이 특히 혈연이 강한 것의 동류의 교배를 말한다. 집단중에서 근친교배를 계속하면 개체의 유전자형의 호모화가 진행하고 개체간의 혈연계수가 높아지는 결과 집단내의 유전분산은 점차로 적어진다. 이와 같이 근친교배는 집단의 유전적인 것을 높이는 동시에 집단의 능력에 근교퇴화를 가져온다.
-
기초축(foundation stock)
유전적인 비유능력과 체형상의 장점이 우군의 개량에 현저(顯著)하게 공헌한 개체를 가르킨다. Breeder(육종가)와 낙농가에 있어서 목적에 합치한 우군의 중심적개체이고 이 개체에 대한 혈연을 유지하도록 계통번식하고 Family를 형성하는 것이 많다.
-
능력검정(performance test)
자우(雌牛)의 비유능력은 능력검정에 의해 파악된다. 자우의 비유능력은 등록협회가 실시하고 있는 고등등록을 통하여 파악되어 왔지만 쇼와 49년에 개시한 우군검정에 의해 개개의 자우의 비유능력을 알 수 있도록 되었다.그러나 그 보급율은 구미낙농국에 비하면 아직 낮다. 능력검정에 의해 한유기의 유량, 성분율(유지율등), 성분량(유지량등)등이 조사된다. 자우의 능력검정을 후대검정이라고 하지만 우군검정자료가 이용되고 있다.
-
돌연변이(mutation)
종, 품종, 계통의 조선(祖先)에게 볼 수 없었던 형질이 돌연 나타나거나 존재하고 있는 형질이 소멸하거나 하는 연속적인 변이로 우성 치사 혹은 동일형 질에게 새로운 변이를 발생하지 않는 한 자손에게 유전되어 간다. 유전자 돌연변이는 우성·열성·치사가 구별되지만 그것들의 자연 발생율은 10-7∼10-5정도이고 환경 변이원에 의한 유발율은 그것보다 2∼3수준 높이 유해한 것이 많다. 염색체 레벨로 생긴 것은 염색체 돌연 변이라고 한다.
-
동기비교(contemporary comparison)
후대검정의 실시에 있어서 어미와 딸 비교의 결점을 보완하는 것으로 우군 검정의 보급에 따라 구미의 낙농국과 일본에서 채용되고 있는 주요한 방법이였다. 종모우의 딸소비교의 대상으로서 다른 종모우의 동기딸소를 이용하는 방법이고 비유성적을 얻기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보정(연령, 분만계절, 우군, 지역등)에 고려가 확대되고 있다. 영국에 있어서 ICC(개량동기비교)와 미국에 있어서의 MCC(수정동기비교)는 종모우 평가의 중요한 역할을 해 왔지만 요즘에는 BLUP법으로 이행하고 있다.
-
동물모델(animal model)
BLUP법에 있어서 변량효과로서 해당 개체 그것을 포함시키는 모델(model). 기록을 가진 개체와 그 양친등 다수의 개체간 혈연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반면 방대한 계획량을 필요로 한다.
-
멘델법칙(Mendel's law)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의 멘델이 식물의 교잡실험의 결과에서 발견하여 1865년에 발표한 유전의 기본법칙으로 우성·분리·독립의 3법칙으로 된다. 1900년의 재발견이 그 중요성이 널리 인정되고 근대유전학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다.
-
모랑(어미딸) 비교(dam-daughter comparison)
종모우 평가를 위한 후대검정의 초기에 채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종모우의 유전적 능력을 딸소의 평균값의 2배로부터 모우의 평균값을 빼어 추정한 것이다. 자우의 능력검정(우군검정)이 보급하는 이전은 주로 등록협회에서 채용되고 있다. 모랑환경의 동일성등 환경용인에 대한 보정이 되기 때문에 종모우 평가는 부정확하게 되어 이용되고 있지 않게 되었다.
-
모색유전
모색유전은 모색을 달리하는 것을 교잡하면 한쌍의 유전자에 의한 것처럼 멘델의 법칙에 따르지만 모색 중에는 이 법칙을 따르지 않는 경우도 많이 발생되고 있다. 포유동물의 체색 색소는 Melanin(멜라민)이지만 이것은 단백질의 일종인 tyrosine이 산화요소 tyrosinase에 의해 산화되어 색을 나타낸다. 따라서 피부, 모색 등의 유전은 간단히 색 그 자체에 대한 유전자가 있기 때문만은 아니고 이들의 화학물질의 양과 작용에 관계하는 유전자에 의한 것이다.
-
반복율(repeatability)
추정치의 통계학적인 신뢰도를 가르키는 값. 제로에서 1까지의 값을 취하고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는 높다. 종축의 육종가 평가치의 신뢰도를 가르키는데 이용된다. 또 동일한 자우(雌牛)의 산자가 서로 비슷한 정도를 가르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산자의 평균치에 대한 Repeatability라고 생각하면 좋다.
-
반성유전(sex-linked inheritance)
성염색체상에 좌위(座位)를 차지하고 있는 유전자의 유전양식으로 상염색체의 유전자과 다르고 성, 즉 성염색체구성(XX, XY)에 의존하고 형질이 발현한다. 그 중에서 모친의 형질이 수컷의 아들에게 부친의 형질이 암컷의 아들에게 전해질 경우를 특히 열십자 유전이라고한다. 기타로 성에 관계되는 유전으로서 일방의 성에만 발현하는 한성유전, 상염색체상의 유전자의 작용이 일방의 성에만 발현하는 종성유전이 알려지고 있다.
-
변이(變異: Variation)
유전현상은 다음세대에 형질을 발현할 때 양친과 닮은 방향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유전물질 및 차이에 의해 생물의 종, 품종 개체간에 형태 및 능력상의 차이가 생기는 현상을 변이라고 한다. 변이는 주로 환경과 유전물질의 차이 때문에 발행하는데 체장, 체중 등과 같이 변이가 여러 계급으로 구분되고 또한 어떤 중앙치를 중심으로 정부(+ -)의 방향으로 변이하는 것을 연속변이(continous variation) 또는 백색, 흑색 등과 같이 형질의 표현이 2종류 밖에 없어서 양변이의 구분이 확실하고 그 중간적 계급이 없는 변이를 불연속 변이(discontinous variation)라고 한다. 또한 빛깔, 형태 등에 관한 변이를 질적 변이(qualitative variation), 개수, 길이, 무게 등에 관한 변이를 수량적 변이(qualitative variation)이라고 한다. 그리고 유전하는 변이를 유전적 변이(hereditary variation)와 유전하지 않는 변이를 비유전적 변이(non-heredtary variation)로 구분하며 가축 육종학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변이라고 할 수 있다.
-
보정종모우(proved sire, proven sire)
검정제 종모우라고도 하고 유전적 능력(육종가)이 휴대검정에 의해 평가·선발되고 있는 종모우를 가르킨다. 현재에서 실시되고 있는 후대검정사업의 결과에 기초를 두고 일정한 신뢰기준을 만족시키고 있는 종모우명과 그 평가값이 가축개량센타에 의해 연 2회 공표되고 있다. 평가·공표된 형질 등은 가장 중요한 유량·유질의 비유형질외에 체형, 착유성, 분만난이도, 산육능력 등의 2차형질, 경제효과, 유전적 불량형질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
보정종자(certified seed)
유전학적 특성이 변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품종검사와 품질검사에 합격하고 종자보정서가 주어진 종자의 것. 보정종자가 시판되는 경우에는 그것을 나타내는 마크를 자루에 붙이고 품질을 보정한다. 사료작물종자는 국제적으로 유통하는 상품이기 때문에 OECD와 함께 국제적인 검사 규준이 설치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사료작물종자협회가 이 사업을 행하고 있다.
-
불량형질(deleterious characters)
가축의 개량·증식에 유해한 영향을 초래하는 유전형질로 사양집단에서 그것들의 인자를 제
거할 필요가 있다. 소에서는 유전성의 요증, 특발성 간질, 경련성 부전마비, 연골발육부전증,
기형, 염색체이상 등이 알려져 있다.
-
비유전적변이(non-hereditary variation)
비유전적 변이는 유전자형이 완전히 동일한 개체간에 환경의 작용에 의하여 형질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을 환경적 변이(environmental variation)라고도 한다. 그리고 양적형질에 관한 비유전적 변이를 방향변이(fluctuation variation)이라고 한다.
-
사배체 품종(tetraploid)
콜히친(colchicine: 콜키쿰(colchicum)의 씨와 지하경에서 재취하는 알카로이드의 일종. 황색의 결정으로 통풍(痛風)에 특효약임. 또 식물의 핵분열을 끝마친 세포가 이분되는 것을 막는 작용을 하고 두 개의 핵이 다시 하나로 되어 이배수의 염색체를 갖는 세포가 되므로 인공적으로 배수성을 만드는 실험이나 품종 개량에 이용됨)이라는 약품을 이용하여 염색체의 수를 인위적으로 배가하여 만든 품종. 식물체가 대형화하고 많이 수확하거나 불량환경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는 등의 이점을 가지는 반면 종자 임성(稔性)이 저하되고 채종이 곤란하게 되는 등의 결점을 가진다.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레드클로버(red clover)등으로 사배체 품종이 만들어 지고 재배되고 있다.
-
선발 종모우(elite bull)
Sire summary에 있어서 육종가 추정치가 상위에 순위된 종모우. 혹은 종합능력지수가 상위에 순위된 종모우.
-
선발종빈우(elite cow)
육종가 평가치가 상위에 랭크(rank)된 종빈우. 혹은 종합능력이 상위에 순위된 종자우. 다만 종자우의 육종가 평가치는 종자우의 경우만큼 정확하게는 추정할 수 없기 때문에 신뢰폭과 Repeatability에 주의하여 이용할 필요가 있다.
-
양적형질(quantitative character)
배유량과 체중과 같이 계측값으로 표시되는 형질의 것으로 집단에 있어서는 연속적 변이로서 받아 들이게 된다. 분포형은 평균값 부분의 개체가 많고 극단적인 값의 개체가 적다고 한다. 정규분포를 가르키는 것이 많다. 양적 형질은 폴리진(polygene)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그 유전 특성은 통계 유전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은 대부분 양적 형질이다.
-
양적형질(quantitative character)
배유량과 체중과 같이 계측값으로 표시되는 형질의 것으로 집단에 있어서는 연속적 변이로서 받아 들이게 된다. 분포형은 평균값 부분의 개체가 많고 극단적인 값의 개체가 적다고 한다. 정규분포를 가르키는 것이 많다. 양적 형질은 폴리진(polygene)에 의해 지배되고 있고 그 유전 특성은 통계 유전학적 수법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경제적으로 중요한 형질은 대부분 양적 형질이다.
-
역교배(back cross)
잡종 제1대와 그에 이용된 한쪽의 부모(계통)와의 교잡이다. F1와 열성 호모계통의 교잡은 검정교배(test cross)라고 하고 F1의 유전자분석으로 또는 육종으로는 누진교배(grading)로서 형질도입에 이용된다.
-
역치형질( 値形質: threshold character)
유방염의 발증과 세균의 감염등과 같이 유, 무인가의 어느 것이든 모양으로 관찰되는 형질이지만 배경에는 연속적인 성질이 있다고 생각되는 형질의 것. 유방염이 있는 일정한도를 넘으면 발증하고 표현형으로서 받아들여진다. 실무형질(悉無形質)이라고도 한다.
-
연쇄(연관): linkage
2개이상의 비대립형질이 동일 염색체상에 있을 때에 연쇄되고 있다고 말하고 그것들은 멘델의 독립법칙에 따르지 않는 행동을 취한다. 동일 염색체상에 위치하는 일련의 유전자를 연관군(linkage group)이라 하고 그 수는 그 종의 반수체와 동수이다. 그러나 감수분열시에 상동 염색체사이에 교차(crossing over)가 일어나면 유전자 조환이 생기기 때문에 그 빈도로부터 유전자좌위와 유전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것을 이용하여 각 염색체상의 유전자 위치를 결정하고 연쇄지도(linkage map)가 만들어 진다.
-
연쇄(연관): linkage
2개이상의 비대립형질이 동일 염색체상에 있을 때에 연쇄되고 있다고 말하고 그것들은 멘델의 독립법칙에 따르지 않는 행동을 취한다. 동일 염색체상에 위치하는 일련의 유전자를 연관군(linkage group)이라 하고 그 수는 그 종의 반수체와 동수이다. 그러나 감수분열시에 상동 염색체사이에 교차(crossing over)가 일어나면 유전자 조환이 생기기 때문에 그 빈도로부터 유전자좌위와 유전자간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것을 이용하여 각 염색체상의 유전자 위치를 결정하고 연쇄지도(linkage map)가 만들어 진다.
-
예측유전적 전달능력(PTA: predicted transmiting ability)
미국의 후대검정에 기초를 둔 개체의 유전적 평가치의 표시이다. 1989년 종모우 평가법이 수정 동기비교(MCC)에서 BLUP법 animal model로 변경된 것에 따라서 종모우 평가치로서 이용해 온 예측 능력차(PD)를 명칭 변경한 것이다. 종래의 예측 능력차(PD)와 동양으로 육종가의 1/2의 평가값이다. 유전 Base는 1985년을 기준으로 하여 5년마다 변경하는 단계적 고정 Base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평가 표시된 형질은 종래의 PD와 동양으로 비유형질, 체형 등 많다.
-
외래성 유전자 가축(Transgenic animals)
통상의 교배에 의하지 않고 외래성 유전자(transgene)를 도입된 가축으로 mouse, rat, 토끼, 닭, 양, 소, 돼지 등에서 생산되고 있다. 최종적으로는 효율적 가축개량수법으로의 대용이 고려되고 있지만 현시점에서는 성장 호르몬 등의 유전자 도입에 의한 증체성의 향상, 생리활성물질에 관계되는 유전자 도입에 의한 그것들의 분비·생산의 증대, 여러 가지 유전자의 기능과 유전성 질환의 연구모델 동물의 연구개발에 이용되고 있다.
-
외모(外貌: body exterior)
유우의 기능적인 외모는 능력검정의 보급이전은 너무 강조될 경향이 있었지만 최근에서는 생애의 비유능력에 관여하는 외모(장기 내용성)라고 하는 시점으로부터 가운데 후구(後軀)·유기·지제(다리와 발꿉)에 중점이 은근히 멋을 풍긴다고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때때로 외견상의 특징으로서 볼 수 있는 경사진 엉덩이, 돼지엉덩이등은 좋아지지 않는다. 통상 외모는 이상체형으로부터 감점해 가는 체형검사를 통하여 평가되고 있다.
-
우군검정(dairy herd improvement test)
종래의 능력검정은 주로 떨어진 능력의 유우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군검정은 어떤 농가가 사육하는 유우 전부를 검정하고 그 결과에 기초를 두고 떨어진 자우를 선발하고 우군전체의 능력을 개량하도록 한 것. 우군 검정의 보급에 의해 검정우두수가 증가하고 종모우와 자우의 평가가 보다 정확하게 되었다. 또 농가는 그 정보를 우군의 개량과 관리에 이용할 수 있다.
-
우성(dominance)
어떤 형질을 지배하는 대립유전자 A와 a가 있을 때 호모접합체(homozygote)인 AA와 aa의 교배에 의해 헤테로접합체(heterozygote)인 Aa가 생길 때 일방의 대립유전자(A)의 형질만이 발현하게 되면 그 유전자를 다른 쪽에 대하여 우성이라고 하고 우성유전자(domiant gene)라고 부른다. 그것에 대하여 다른 쪽의 유전자(a)를 열성(recessive)이라고 하고 열성유전자(receccive gene)이라고 부른다.
-
우열율(dominance ratio)
식물군락중에 있어서의 종의 우열을 단지 피도(C)와 밀도(D), 빈도(F)뿐만 아니라 이것들을 종합적으로 조합하여 나타내는 척도. 종간의 힘관계를 나타낼 때에 이용하는 것이 많다. 예를 들면 DF%는 (D' + F')/2등으로 표시되지만 이것은 순위 제 1위 수(穗)의 밀도에 대한 각종의 밀도비(D')와 빈도비(F')의 평균값으로 표시되고 있다.
-
원연(遠緣)교배(out breeding)
번식집단내에 있어서 평균의 혈연보다도 먼 개체를 통한 교배. 일시적으로 자(子)의 근교계수의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
유전 상관(genetic correlation)
각 개체에 있어서의 2형질의 육종가의 사이에 볼 수 있는 상관. 부모로부터 아들로 유전하는 능력위에서의 2개 형질간의 관련방향과 밀접함을 나타낸다. 유전 상관 추정법에는 1세대의 Date(자료)의 분산공분산분석에 의한 것과 친자의 Date의 공분산을 이용하는 것이 있다.
-
유전도입(gene transfer)
외래성의 유전형질은 종래교잡과 선발의 반복에 의해 도입되어 왔지만 유전자 공학, 발생공학적 방법이 개발되고 Transgenics(외래 유전자를 세포속에 넣어서 새로운 종자나 개량된 종자의 동식물을 만들어 내는 일) 가축의 작출에 이용되고 있다. 수정란 웅성전핵으로의 미량주입외, 바이러스와 정자를 Vetor(벡터)로 하거나 배성간 세포(ES세포)를 이용하는 방법등이 시도되고 있다.
-
유전베이스(genetic base)
육종가를 추정할때에 육종가의 제로점으로 설정한 곳. 매회 제로점을 이동하게 하는 이동베이스와 어떤 일정 연수(年數)사이 제로점을 고정하는 고정베이스가 있다.
-
유전분산(genetic variance)
유전자형값의 분산, 유전자형값중에는 유전자의 상가적 효과, 우성효과, 상위성 효과가 포함된다. 유전분산의 표형분산에 대한 비로 광의(廣義)의 유전율을 구한다.
-
유전율(heritability)
육종가의 표현형값에 대한 회귀로 자의 능력의 양친평균능력에 대한 회귀와 표현분산비율로부터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h2으로 표시하고 0∼1의 범위로 분포하고 있어 그 크기는 선발에 의한 개량의 가능성의 지표가 된다. 주요형질의 유전율은 유량 0.3, 유지율 0.6, 체중 0.4라고 보고되고 있다.
-
유전자 빈도(gene frequency)
어떤 집단에 있어서 동일 유전좌에 몇개인가의 대립유전자가 있을 때 특정 유전자가 전체 유전자에 차지하는 비율, 일반적으로 표현형으로부터 유전자형을 추정하고, 유전자형의 빈도로부터 유전자 빈도를 추정한다.
-
유전자 지도(gene map)
유전자, DNA단편등이 각 염색체 혹은 그 DNA상에 존재하는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 염색체지도(물리지도)와 유전자 연쇄지도로 구별된다. 전자는 분자 생물학, 세포유전학의 방법으로 각 유전자, 제한효소 절단부위, RFLP maker등의 염색체상의 물리적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후자는 각 유전자, DNA maker에 의한 가계분석과 교배 실험에 의한 조환율(組換率)의 해석으로부터 그 연관, 염색체(DNA)상의 상대적 위치와 거리(조환치% 또는 cM)을 나타내는 것이다. 양자에는 다소의 차이는 인정되지만 본질적으로는 동일한 것으로 가축의 경제형질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개량해 가는 기초로서 중요하다.
-
유전자(gene)
유전정보를 조화하는 인자로 DNA상의 일정한 영역을 차지하는 유전의 작용단위이다. 1개의 유전자가 1개의 기능적인 단백질분자에 대응하고 있다. 유전자는 자기를 복제하여 자손에게 전해지는 동시에 개체에게 고유단백질을 합성한다.
-
유전자성 질환(hereditary diseases)
유전자(遺傳子)돌연변이에 의해 생기는 유전성의 불량형질로 근년에는 유전자레벨로부터 해석이 진행되고, BLAD(우 백혈구 점착결손증), DUMPS(1인산 합성효소 결손증)등은 그 유전자영역 검출용 Probe에 의한 DNA진단이 가능하다. 또는 검사, 진단용 DNA Probe는 전염병과 유단백질에 대해서도 개발되고 있고 그것들은 항병성과 QTLs(양적형질)의 연구에도 이용되고 있다.
-
유전자형(遺傳子型: genotype)
생물의 유전적 기초를 이루는 유전자 구성으로 그 생물의 유전자가 가지고 있는 유전정보의 총계(總計)를 가르킨다. 어떤 특정의 유전자좌의 유전적 구성을 특히 유전자형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이때 동일 유전자좌에 2종류의 유전자 A와 a가 있으면 2개의 유전자의 조합에 의해 유전자형에는 AA, Aa, aa의 3종류가 생긴다.
-
유전자형값(ginotypic value)
표현형값에 대용하는 유전자의 값이고 상가적 유전자효과(additive gene effect)와 우성편차(dominance deviation), 상위성 효과(epistatic effect)의 합으로 표현된다. 상가적 유전자 효과는 유전자형에 의하지 않고 상가적으로 작용하는 유전자의 효과로 육종가라고도 불린다. 우성편차는 동일 유전자좌에 있는 다른 유전자의 서로 작용함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헤테로(hetero)접합체의 유전자값이 두 호모접합체의 유전자형값의 평균과 같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상위성 효과는 다른 유전좌에 있는 유전자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이다.
-
유전적 개량량(genetic gain)
육종에 의한 평균 육종가의 상승량, 예를 들면 선발에 의한 유전적 개량량△G는 선발차 I에 유전율 h2을 곱하여 예측할 수 있다. △G = i·h2. 단위사간당 유전적 개량량은 △G를 평균세대간격에서 나누어 구한다.
-
유전적변이(hereditary variation)
유전적 변이는 크게 교배변이(combination)와 돌연변이(mutation)로 구분하고 있다. 교배변이는 동일 품종에서 환경이 일정하더라도 수천 쌍의 유전자들의 배열 상태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유량, 산란능력, 성장률과 도체성분과 같이 경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형질들의 표현능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난다. 돌연변이는 X선, 방사선, 온도 및 이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생식세포내의 유전자의 배열 상태를 인위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변이가 생기는데 최근에는 콜세미드나 콜치신을 닭에 처리하여 염색체 이상을 유발시켜 경제적인 3배체 닭을 육종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다
-
육종 감별(discrimination of meat species)
식육이 어떠한 동물종에 유래한 것인가를 감별하는 것. 그 방법에는 이화학적 방법, 생화학적 방법, 면역학적 방법등 여러 가지가 있지만 현재는 면역학적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또 DNA을 분석하여 육종(肉種) 감별을 행하는 방법도 개발되고 있다.
-
육종가(育種價: Breeding value)
축종의 상가적 유전효과를 나타내는 값. 유전효과중에서도 육종가에 상당하는 부분만이 확실히 후대에 전해지기 때문에 이 값이 높은 개체만큼 육종적으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각 국의 유우에서는 BLUP법등 통계방법으로 인한 육종가의 추정이 활발해져 Sire summary등으로서 공적기관에 의한 추정치가 공포되어 있고 이 값을 참고로 종축 선발과 정액 구입등이 행해지고 있다.
-
이동베이스(moving base)
육종가를 추정할때에 육종가의 제로점을 매회이동하는 방법. 이 경우에는 Sire summary의 발행년월일이 다르면 육종가의 추정치을 직접비교할 수 없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
체질 유전
가축의 체질적 형질은 주로 생태적 형질에 속하지만 생리적 조건과도 관계가 있으므로 그 내용이 복잡하다. 체질적 형질은 기상 조건과 풍토적 조건을 비롯하여 병원체의 침입에 반응형질을 말하는데 그것은 또 영양소결핍에 대한 내성, 생활조건으로부터 스트레스 작용에 저항성과도 관계가 있다. 체질적 형질은 적응성, 항병성, 활력성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그 유전양식의 규명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 단계에 있다.
-
치사 유전자(lethal gene)
정상의 수명보다 전의 일정시간에 개체의 사망을 초래하는 유전자이다. 소에서는 우성치사, 반성치사의 증상 예는 적지만 열성치사에서는 발생이 높은 연골발육부전, 장기재태등이 연구되고 있다. 치사작용의 발현시기는 유전자에 의해 태내 사망에서부터 일부가 살아 남는 것(반치사, semilethal gene)도 있다.
-
치사 형질과 기형의 유전
가축에는 여러 가지 해로운 유전자가 존재하고 있는데 배나 태아를 사망토록하는 치사유전자, 개체의 생존율과 활력을 감소시키는 유해 유전자가 있다. 그리고 생존에는 지장이 없지만 기형형질을 유발시켜 생산능력의 저하 내지는 폐사시키는 기형유전자들이 있다. 이런 유해유전자들은 거의 대부분이 열성인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
친자검열(parentage test)
문제가 되고 있는 소에게 복수의 아비소가 상정(想定)될 경우에 그 친자관계를 과학적으로 판별하는 것. 혈액형과 효소등의 다형을 이용한 면역, 생화학적 방법에 의해 높은 정도의 친자(혹은 개체) 검별을 행하고 있지만 DNA다형을 지표로 하는 수법(방법)도 검토 되고 있다. 이후는 IVF, ET의 보급에 의해 간편한 정도의 높은 방법이 필요가 되어 간다.
-
클론(Clone)
유전자형을 동일하게 하는 생물집단을 가르키지만 개체레벨, 세포레벨, 유전자레벨로 이용한다. Clone 소는 현미경조작으로 2분할 한 배(胚)와 핵이식으로 복제한 배의 이식에 의해 생산할 수 있다. 전자는 1란성 쌍자우의 생산기술로서 실용화되고 있다. 후자는 이후의 기술 확립에 의해서는 우량우 증식의 우력한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다.
-
폴리겐(polygene)
양적형질의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자군으로 다수의 동일 유전자가 동의적으로 서로 보족(補足)하여 작용하고 있고 특정의 유전자 작용이라고 정할 수 없는 것과 같은 유전자. Polygene은 특정의 유전자의 작용을 동정(동식물의 분류학상의 소속을 결정함)할 수 없기 때문에 수량적인 값에 대하여 통계유전적 방법에 의해 해석한다.
-
표현형값(phenotypic value)
유전자형에 대하여 그것이 발현하고 형질의 형이 된 것을 표현형(phenotype)이라고 한다.
양적형질의 표현형은 측정에 의해 얻어진 관측값이고 표현형값 혹으 표형값이라고 불린다.
표현형값(P)는 유전적 요인(G)와 환경적요인(E)의 합으로 정의되고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P = G + E.
-
표형분산(phenotypic variance)
표현형값의 분산. 유전적인 능력과 환경효과의 사이에 상관이 없으면 유전분산과 환경분산
의 합이 된다.
-
표형상관(phenotypic correlation)
각 개체에 있어서 2형질의 표형값 사이의 상관.
-
표형적유사교배(phenotypic assortative mating)
표현형의 상에서 유사성이 강한 것끼리 교배하는 것.
-
플라스미드(plasmid)
세포질내에세 염색체와는 달리 별도로 자체 증식하는 유전인자. 염색체 전달지와 동양(同樣)
으로 디옥시리보 핵산(deoxyribonucleic acid: 유전자의 본체라고 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2중
나선 구조를 지님. DNA)으로부터 생긴다. 대표적인 플라스미드로서 다제(多劑) 내성(耐性)
에 관여하는 R인자 등이 알려져 있다.
-
혈액형 유전
항원이란 항체생성을 유기하는 물질이며 생성된 항체는 항원과 어떤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와 같이 혈액인자의 항원 항체 반응으로 적혈구가 응집되는 응집현상과 붉은 색소가 적혈구로부터 유리되는 용혈현상으로 혈액형을 검사한다. 혈액형 검사를 통하여 혈액형 유전양식을 밝히고 있다. 소의 혈액형에는 (A, B, C, F(F-V), J(J-Oc), L, M, N, S(S-U), Z, R'(R'-S'), T') 2종류의 서로 다른 유전 체계가 있고 이러한 체계의 모든 인자는 용혈 시점에 의하여 확인 되었다. 이들 각 인자는 공우성(codominance)으로 유전된다.
-
형태유전
가축의 형태에 관계되는 체형, 뿔, 귀모양, 피모의 길이 등과 같은 형질들의 유전 양식은 다양한데 어떤 형질들은 멘델의 법칙을 따르지만 소의 체형에서는 유용형과 육용형의 F1는 전구가 육용형이고 후구는 유용형이 우성으로 나타난다. 또한 산양의 턱수염은 수컷에서는 우성이고 암컷에서는 열성으로 나타나 종성유전(sex-controlled inheritance)을 한다.
-
혼합모델(mixed model)
변량효과와 모수효과를 동시에 포함한 수학 모델. 종축의 유전평가로 이용되는 BLUP법에 있어서는 환경의 효과를 모수효과, 유전효과를 변량효과로 한 선형의 혼합모델을 이용하는 것이 많다. 또 유전율과 유전상관의 추정에도 혼합모델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
회귀계수(regression coefficient)
2개의 변량 x와 y가 있을 때 y의 x에 대한 1차회귀계수는 x가 1단위 변화한 때에 그것에 따라서 y가 평균적으로 어느쪽의 방향으로 어떤 단위변화는 것인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1차 회귀계수는 x와 y와의 공분산을 x의 분산으로 제해서 구한다.
-
Hardy-Werinberg법칙
한쪽의 성(sex)에 속한 개체가 다른쪽의 성에 속하는 모든 개체와 교배할 수 있는 확률이 동일한 때에 이 집단을 무작위교배(random mating)를 하는 집단이라고 한다. 무작위교배를 하는 커다란 집단에서 돌연변이, 선발, 이주 격리 및 유전적 부동과 같은 요인이 작용하지 않을 때 유전자 빈도와 유전자형 빈도는 오랜 세대를 경과하여도 변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영국의 수학자인 Hardy와 독일의 물리학자인 Werinberg에 의하여 1988년 존증되어 Hardy-Werinberg법칙으로 알려졌다.
-
브라운 스위스(Brown Swiss)
스위스 북동부 산악지대 원산의 겸용종으로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체격은 소형이
지만 지역차가 있고 미국형은 대형으로 유량도 많고 평균 6,500kg, 유지율 4.0%이다. 모색
은 회갈색 단색이고 사지는 담색, 배경·제(蹄)는 흑색. 육각종.
-
브리티쉬 프리젼(British Friesian)
유럽에서 옛부터 사양되어 온 홀스타인(Holstein)이 17∼19세기에 영국으로 도입되어 개량된
것이 British Friesian이다. 영국에서는 제 1차세계대전중의 우유 수요증가와 능력검정의 도
입에 의해 개량이 진척되고 중형 유용종으로서 고정되었다. 개량의 과정에서 산육성도 고려
했기 때문에 산육능력도 양호하다.
-
반복율(repeatability)
추정치의 통계학적인 신뢰도를 가르키는 값. 제로에서 1까지의 값을 취하고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는 높다. 종축의 육종가 평가치의 신뢰도를 가르키는데 이용된다. 또 동일한 자우(雌牛)의 산자가 서로 비슷한 정도를 가르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을 산자의 평균치에 대한 Repeatability라고 생각하면 좋다.
-
가공원료유 생산자 보급금 등점정 치법(law of deficiency payment to milk)
우유의 재생산을 확보하는 가격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법률. 축산진흥사업단이 부족지불하고 유제품의 매입·매도(賣渡)하고 유제품의 일원적 수입(輸入)을 행하는 것으로 그것까지의 축산물 가격안정법에 의해 규정되고 있는 생유의 저가격 수준을 타개(打開)했다. 부족지불은 가공원료유의 재생산을 확보하기 위한 보정가격과 유제품의 판매가격으로부터 표준적인 비용을 뺀 기준거래가격과의 차액을 낙농가축에 지불하는 것으로 유가전체의 저지적 기능을 다하고 있다.
-
가공형 축산(livestock farming based on exterior)
경영내에서 사료생산을 하지 않고 오로지 경영외로부터 사료를 조달하여 가축을 사양하는 축산. 일본의 축산은 전반적으로 저가격인 수입사료로 강하게 의존하고 있고 그 중에도 중소가축은 가공형 축산의 전형이다. 가공형 축산 경영은 규모의 확대가 용이한 반면 사료가격의 변동으로 좌우되기 쉬운 경영구조, 분뇨처리의 곤난등 취약한 성격을 가진다.
-
Cow day
어떤 방목지에서 소가 몇두, 몇일간 사양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목양력(牧養力)의 단위. 체중 500kg의 소를 1일 방목하면 1 cow day가 된다. 성우(체중 500kg)를 1 가축단위, 1∼2년 육성우를 0.7, 1년 미만의 자우를 0.12 cow day로서 계산한다.
-
De-coupling
종래의 농업정책은 농산물의 과잉에 대하여 생산조정을 실시하고 한편으로 농업자의 소득보상을 하는 농산물가격지지정책이 채용되고 양자가 조합되어(couple) 왔다. 이 방법은 생산과잉에 박차가 걸리고 더욱 재정부담이 가중화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생산정책과 소득보상을 분리하여(De-coupling) 재무부담경감과 생산조정의 효율적인 실시를 도모하려고 하는 것이고 미국등의 선진국에서 채용된 직접적 소득보상정책을 De-coupling정책이라고 한다.
-
가격 탄력성(price elasticity of demand)
어떤 상품에 대해서 가격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 변화의 도합을 본 것. (수요증가 또는 감소분/수요량) ÷ (가격상승 또는 하락분/가격)으로 나타내고 그 값이 1보다 클 경우는 수요는 탄력적. 1보다 작을 때는 비탄력적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전자는 사치 물건등에서 많이 볼 수 있고 후자는 야채등의 필수품이 대표예이다.
-
가격의 순환변동(price cycle)
농산물 가격으로 볼 수 있는 경기변동과는 다른 독자의 주기적 변동. 축산물에서 현저하다. 시장 가격의 상승과 그것에게 반응한 축산물의 공급증가와의 시간적인 어긋남에 의한 것으로 그 길이는 생산기술로 규정된다. 미국의 소에서는 10년, 돼지에서는 4∼5년의 주기를 볼 수 있다. → beef cycle.
-
가족경영(family farm)
가족노동력을 중심으로 행해지고 있는 경영. 생업으로서의 농업에 대응하는 자본의 비중의 낮은 노동력형가족경영(가족노작경영)으로부터 자본규모의 큰 기업적인 자본형가족경영까지 이다. 농업은 세계적으로 보아도 가족경영이 일반적.
-
가처분소득(disposable income)
개인이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이라고 하는 의미로 개인소득으로부터 직접세를 뺀 소득. 농가경제조사으로는 농가총소득으로부터 조세공과제부담을 뺀 액. 소비와 저축에 유용한 금액이고 가계분석으로는 가처분소득 = 소비지출 + 가계흑자라고 하는 관계가 있다.
-
가축생산성(animal productivity)
가축의 생산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가축단위두우수당 생산량 또는 생산액으로서 취할 수 있다. 생산성은 일반적으로 생산을 위해서 투하된 경영요소와 생산량 또는 생산액의 비로서 받아들이게 되고 기본적으로는 노동생산성, 토지생산정, 자본생산성으로서 타나나게 된다. 가축생산성은 가축물생산에 과한 가축의 기능의 크기를 고려하고 생각된 개념이고 자본생산성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
가축예탁제도(rental system of livestock)
농협등이 몸소 소유한 가축을 농가에게 일정기간 사양하는 것을 예탁하든가 대부하는 제도. 결약의 일에 의해 농가에 예탁료를 지불하던가 혹은 출하후 예탁가축과 사료의 대금을 청산한 잔액을 농가에게 건네주는 등 결제방법이 다르다. 농가의 가축도입에 따른 자금부담의 경감등에 도움이 되고 있지만 최근은 육우를 중심으로 예탁두수가 증가하고 그것에 가격변동이 가하여 청산불능에 빠지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
건물(집, 우사)을 지어 파는 목장(ready-built farm)
국가등이 초지와 건물·기계를 한세트로 한 목장을 건설하고 농가가 이것을 구입하고 후에 상환하는 것. 초지개발 사업의 일환으로서 광역농업개발·축산기지건설·농업공사 목장설치사업에 기초를 두고 건설되었다. 또 공동이용 모법목장 설치사업에 기초를 두어 건설된 공공목장도 ready-built farm이라고 불려진다.
-
경영분석(business analysis)
경영의 성적과 재무상태를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등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분석한 것. 분석 방법에는 주로 손익계산서를 이용하여 행하는 수익성분석등이 있다. 수익성분석에는 투자할 자본에 대하여 어느 것만의 이익이 오르고 있는 것인가 안전성분분석에는 경영의 부채에 대한 지불능력과 경영의 안정성을 분석한다.
-
경영요소
[토지], [노동], [자본]의 것. 경영을 행하기에는 농업만이 아니고 공업이고 상업이고 이 3개의 요소가 없으면 경영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농업에서는 토지가 기본적 생산수단이고, 그것에 종자·비사료·가축·기계·건물등을 조달하기 위한 자본과 노동이 가하여 경영이 행해진다.
-
경영자 능력(capability of farm manager)
농업경영의 생산요소인 토지, 노동, 자본 다음으로 중요한 제4의 생산요소동일의 생산조건에 있어서도 경영결과로 차이가 나기 때문에 것으로부터 경영자능력의 존재가 지적된다. 경영자는 앞에서 언급한 3가지의 생산요소를 조달하고 결합시켜 운용하는 주체이고 그 때문에 정보를 수집하고 의식결정을 행하지만 거기에 개인의 능력차를 볼 수 있다.
-
경영조직(farming system)
농업경영에 있어서의 지목(地目), 작물의 종류(종, 목)의 조합과 비율 및 이것을 뒷받침하는기술체계, 작물 종류의 상호 경쟁, 보합,보완등의 관계가 있고 농업경영은 보합·보완관계에 있는 작물 종류의 선택을 행한다. 그 결과 현실의 경영조직은 경영이 두게 되는 조건에 의해 천차만별하게 된다. 경영족직의 본질적인 특징을 받아들여 유형화한 것을 경영유형 또는 경영방식이라고 부른다.
-
경영진단(business consultation)
경영의 실제능력을 분석하고 개개의 경영조직과 관리가 경영목적에 적합하고 있는 가 어떤가를 판단하고 금후의 경영개선에 목표로 하는 것. 유량과 번식성적등의 기술성적과 경제적인 재무자료에 기초를 두고 자기의 경영시 계열비교, 타경영과의 경영간 비교, 더욱이 표준치와 목표치와의 비교등이 행해지고 있다.
-
경영형질(type of farming)
일반적으로는 작물, 가축등의 종(목)결합의 형질에 의해 농업경영을 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된다. 가족경영, 자본가적 경영과 같은 경영주체의 성격과 경영목표의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기업형태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도 있다.
-
계획생산(Control of milk production)
생유의 생산조정, 수입유제품의 증대와 전낙농체제의 확립을 요인으로 하는 쇼와(昭和)50년이래 우유의 생산과잉에 의해 부족불 제도에 있어서 실질적 한도 수량이 설정되었다. 한도 수량을 초과한 생유는 부족불의 대상외로 되기 때문에 생유의 생산조정이 필요로 되었다. 계획생산을 생산자 단체의 자주적 매매계약으로서 쇼와 54년도부터 행해지고 있지만 근년은 도부현에 있어서 생유생산량의 감소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시설되지 않는 연차도 있다. → 생산조정, 가공원료유생산자 보급금등 점정차치법.
-
고유자금(funds from agricultural co-operative system)
농협법에 있어서 인정되고 있는 신용사업으로서 농협이 자기자금을 원자로서 조합원에게 융통하는 자금. 농업금융의 일종으로 나라의 정책목적으로 고쳐진 농림어업금융공고가 취급하는 제한자금과 구별하여 고유자금이라고 한다. 더욱 축산특별자금과 같이 고유자금을 원자로 하면서도 나라와 지방지치체가 이자 보급을 행하는 자금도 있다.
-
공동경영(co-operative farming)
복수의 농가가 토지, 노동력, 자본등의 생산요소를 출자(出資)하고 한 개의 독립한 경영체로서 생산으로부터 판매, 수익의 분배에 이르기까지 공동으로 행하는 형태. 완전협업경영이라고도 한다. 구성원의 개별경영을 남기면서 특정부문의 경영활동을 공동으로 행하는 것은 부분협업이라고 부른다.
-
관세정율법(Customs Tariff Law)
수입품에 대하여 부과된 조세가 관세이고 그 세율, 과세표준, 감면등을 정하고 있는 것이 관세정율법이다. 과세·징수와 화물의 통관등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사항은 관세법에 의해 정해지고 있다.
-
관세할당제도(Tariff quota)
GATT에서는 관세는 인정되고 있지만 일반관세에 비해 국내산업의 보호를 도모하기 전에 보다 효과가 큰 것으로서 관세할당제도이다. 이 제도는 일정한 수입수량(할당수량)에 한하고 무세 또는 낮은 세율(1차세율)의 관세를 적용하고 이 수량을 넘은 수입분에 대해서는 높은 세율(2차세율)을 적용하는 것이다. 예로서 Corn starch용 옥수수, Processed cheese제조용 natural cheese가 있다.
-
군관리(Group management)
각 개체의 생산을 각각 최대한으로 높이는 것보다도 군으로서의 생산을 최대로 하기 위해 관리한다라고 하는 개념. 여기에서 말하는 생산과는 실제의 생산량만이 아니라 노동생산성등을 포함한 총할(總轄)적인 것이다. 또 군관리는 개체관리와 대립하는 개념이 아니라 개체의 관리를 소홀히 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방사의 군관리에서는 소의 군행동에 관한 지식이 불가결하다.
-
규모의 경제성(scale merit)
생산규모가 확대함에 따라 생산물 일단위당 비용이 저하하는 것. 보다 효율적인 기계·시설의 도입이 평균비용의 저하를 가져올 때에 일정의 한도중에서 일어난다. 규모의 경제성이 존재할 경우에는 규모를 확대하는 것이 유리하게 된다. 낙농에 있어서도 규모의 경제성은 보이지만 대가축은 자질(資質)의 흩어짐이 크게 생산과정이 우회적이고 일상의 관리기술의 영향도 크기 때문에 반듯이 규모확대가 평균비용의 저하에 결부된다고는 할 수 없다.
→ 평균 생산비, 수확체감의 법칙.
-
기업경영(enterprise)
이윤의 획득을 목표로서 생산, 가공, 판매활동을 행하는 경영이고 노동력의 고용의 전재로 한다. 혼합소득의 증대를 경영목표로 하는 가족 경영에 대응하는 용어. 다만 가족 경영에 있어서도 대규모화를 수반하여 가족 노동비를 비용으로 인식하고 이윤부분을 문제로 하는 기업적 가족경영도 나타낸다.
-
기업이윤(business income)
기업경영이 경영목표로 하는 수익. 가족경영의 경우는 소득부터 가족노동비, 자기자본이자, 자작지지대를 견적하고 이윤부분을 구한다. 이것이 +(플러스)때는 기업으로서도 이루어지고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산식은 다음과 같다.
기업이윤 = 조수익 - (물재비 + 노동비 + 자본이자 + 지대)
= 혼합소득 - (가족노동비 + 자기자본이자 + 자작지지대)
-
기회비용(oppertunity cost)
Opportunity cost라고도 부른다. 어떤 재화의 다수의 대체적인 용도중 하나가 선택되고 타를 포기한 경우에 희생으로 되는 이익의 액. 예를 들면 동일 토지에서 도작(稻作)으로 얻어지는 지대는 사료작에 있어서의 기회비용이 되고 생산비의 구성요소가 된다.
-
내용연수(durable years)
취득한 고정자산이 통상의 사용자본으로 폐기처리되기까지의 견전 또는 추정의 연수. 내용연수는 물리적으로 사용을 할 수 없게 되는 연수를 기초로 그것 이외에 기술적 진보에 의한 진부화와 경영방식의 변화가 가져오는 부적합에 의한 내용연수의 단축을 가미하여 결정된다.
-
노동 배분(Distribution of labour)
농업경영에 있어서의 각 작목(작물 종류를 나타내는 이름)에 대해서 작업별, 시기별로 보유 노동력을 할당하는 것. 가족 경영에서는 보유 노동력을 자유롭게 증감하는 것이 어렵고 그 밖에도 농업생산에는 노동의 계절적 번한(繁閑)이 수반하기 때문에 연간 평균하여 취업할 수 잇는 작목의 선택, 조합이 필요하다. → 복합 경영.
-
노동생산성(labour productivity)
농업 경영의 생산 능률을 노동의 측면으로 나타내는 지표로서 순생산 가격을 투하 노동량에서 뺀 값. 경영 조직의 결정에 있어서 토지 생산성과 함께 중요시 되는 지표. → 토지 생산성, 자본 생산성.
-
노동소득(labour income)
투하한 노동의 대상(代償)으로서 얻을 수 있는 소득. 노동보수와 동의어. 혼합소득으로부터 자기 자본 이자와 자기 유지의 지대를 뺀 잔액으로서 얻을 수 있다.
-
노동집약(labour intensive)
농업경영에 있어서 고정 자본에 대하여 가족 노동의 비중을 높이는 것. 노동형의 가족 경영. 가족 노작 경영이라고 불린다. → 자본 집약.
-
농가경제여잉(surplus of farm houshold economy)
세금 공제 농가소득으로 타관에 나가 벌이를 함·부조(扶助)등의 수입을 가산한 가처분 소득으로 가계비를 뺀 액. 가계비를 가족노동비로 가정하면 농가의 1년간의 순수익으로 볼 수있다. 농가 경제여잉으로 자산처분차손익, 우발손실, 자산분할에 의한 증감등의 경영외 손익을 가산 또는 공제한 것이 순여잉이다.
-
농가소득(income of farm)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의 합계액을 말한다. 농가소득은 소득을 형성하는 경상적인 수입·지출에 한정되어 있고 그 때문에 재산적인 수입·지출, 예를 들면 토지와 대동물 등의 고정자산의 매각수입, 예·저금 등의 인출에 의한 수입, 부채에 관한 차입수입은 소득에 계산되지 않는다. 농가소득으로부터 조세공과부담을 공제한 것이 세금공제농가소득이다.
-
농업보호수준지표(農業保護水準指標)
농업보호수준을 계획하는 방법으로서는 FAO가 제기하고 OECD에 있어서 치밀(緻密)화된 PSE(Producer Subsidy Equivalent)가 유명하다. 이것은 현재 행해지고 있는 정책 조치를 중지한 경우에 생기는 농업자의 소득손실에 대하여 지불되어야 할 액으로 되어 있다. 정책조치에는 시장가격지지, 직접소득지지, 이자보급등의 간접적인 소득지지 및 연구와 세제(稅制)우우(優遇)등의 기타의 지지(支持)를 포함한다고 되어 있지만 이것을 둘러싸고 의론(議論)이 있다
-
농업소득(agricultural income)
농업조수익으로부터 농업경영비를 뺀 액으로 농업경영에 사용되는 자가노동력 및 자기소유의 생산수단에 대한 보수의 합계이다. 경상적인 농업생산활동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소득이라고 하는 의미로 경상소득이라고도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족노임, 자기자본이자, 자작지지대 및 기업이윤이 포함되지만 이것들은 분해하는 것이 불가능한 혼합소득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
농업조수익(gross agricultural income)
농업경영의 성과로서 한 경영 연도내에 얻게 된 총가액이다. 농업조수익에는 각종의 작물, 축산물의 판매수입, 자가소비액외에 가축과 식물의 증식액, 생산물의 연도말 재고증가액(연도말 농산물재고가액-연도시 농산물재고가액)이 포함된다.
-
농업진흥구역(農業振興區域)
농업진흥지역의 정비에 관한 법률(농진법)에 기초를 두고 농업의 진흥을 도모하는 지역으로서 도도부현(일본의 행정구역 즉 우리나라로 치면 도,시,군,읍등)지사가 지정하는 지역. 신도시계획법의 제정에 대응하여 농업측으로부터의 지역지정을 의도(意圖)하는 것. 신도시계획법에 의한 시가화(市街化) 구역을 포함하지 않는다.
-
농외소득(non-agricultural income)
농외 수입으로부터 농외 지출을 뺀 것으로 농업이외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임업·수산업·상업등의 겸업소득과 급료·노임·소작료·이자등의 총액.
-
농지개혁(land reform)
제 2차 대전후의 [민주화]정책의 일환으로서 행해진 토지소유제도의 개혁. 고율·현물소작료의 전근대적인 내용을 가진 지주적 토지소유제가 해체되고농업생산을 행하는 자가 몸소 농지를 소유하는 자작농적 토지소유제가 창출되었다. 이것에 의해 그 후 일본농업의 전개가 기초를 두었다. 개혁의 결과는 농지법에 의해 법제화되었다. → 농지법.
-
단순 재생산(same reproduction)
생산의 반복을 계속할 즈음하여 잉여가 제로든가 혹은 취득한 잉여를 소비재의 구입으로 사용하여 새로운 생산수단과 노동력의 조달에 사용하지 않고 이전과 동일한 규모로 생산하는 것.
-
단일 경영(specialized farming)
단일 생산부문밖에 가지지 않는 농업경영. 특정의 생산 부문에 집중하는 것에 의해 기술수준이 높아지고 시장대응도 유리하게 된다. 복합경영에서 전문화가 발달하고 단일 경영이 되는 경향이 강하지만 한편으로 단일화의 모순(분뇨공해등)도 나타나고 있다. → 복합경영.
-
당좌비율(quick ratio)
대차대조표에 있어서 유동부채에 대한 당좌자산의 비율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당좌자산/유동부채)×100으로 구할 수 있다. 통상 1년 이내에 반제하지 않으면 안 되는 유동부채에 대하여 현금내지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당좌자산으로 얼마나 대응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지불능력을 나타낸 것. 10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
당좌자산(quick assets)
유동자산중 현금 및 현금화하여 얻은 유동성이 높은 자산. 현금외 저금, 외상금, 수취어음, 일시소유의 유가증권, 단기대부금등이 있다.
-
대차 대조표(balance sheet)
경영의 일정시점에 있어서의 재무 상태를 나타내는 보고서. 빌리는 쪽(左)에는 자산이 빌려주는 쪽(右)에는 부채와 자본이 표시된다. 차변과 대변의 금액이 일치하고 자산 = 부채 + 자본이라는 등식이 성립하므로 balance sheet라고 불려진다.
-
독점가격(monopolistic price)
시장지배에 의해 독점화한 소수의 대기업이 고이윤을 얻도록 형성된 비자유 경쟁적인 가격. 소수의 유력 기업에 의한 이익협정, 기업연합, 기업합동등의 방법에 의한 시장지배력의 강화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
마진(margin)
생산자 가격과 소비자 가격과의 차액. 유통 마진, 배급비용, 판매 비용, 보관비용, 운수비용 등의 유통 비용과 도매상과 소매상의 상업이윤으로 된다. 소비자 가격에 차지하는 마진의 비율은 그 유통 경로가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요사이 유통 혁명(대량 유통)은 유통비를 절약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가공 식품과 임금 수준의 상승에 의해 식료품 가격에 차지하는 마진의 비율은 높아지게 된다.
-
매상원가(cost of sales)
일정기간내의 매상고에 대응하는 정미의 생산원가. 낙농경영에서는 일정기간 (예를 들면 1∼12월)에 발생한 사료비와 수도 광열비등의 비용에 기수(이 경우는 1월 1일)의 사료와 육성우등의 재고정리를 더하여 기말(12월 31일)의 재고정리고 및 성우진찰고(기중에 육성으로부터 경산우가 된 소의 평가액)를 공제한 것에 의해 구할 수 있고 산식은 다음과 같다.
매상원가 = 생산원가 + 기수재고정리고 - 기말재고정리고.
-
매상총이익(profit sales, gross profit)
유대(乳代)와 개체 판매고등의 매상고로부터 매상원가를 공제한 잔액. 생산활동에 의해 득(얻어진) 이익을 나타내고 [조이익]이라고도 불려진다.
매상총이익 = 매상고 - 매상원가.
-
매상총이익율(sales profit ratio, gross profit margin)
매상고에 대한 매상총이익의 비율로 생산과정에 있어서의 수익효율을 나타낸다. margin율이라고도 불리고 다음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매상총이익율 = 매상총익 ÷매상고 ×100. 이 비율이 낮은 경영은 비용이 바싼가 판매단가
가 싼가 또는 그 어느 것이든 혹은 그 양방에 원인이 있다.
-
모수효과(fixed effect)
분산분석 등에 있어서 Sub class마다 고정한 어떤 일정한 값을 가진다고 가정한 효과. 계절과 농가 혹은 처리의 종류로 한 환경의 효과를 모수효과라고 하는 것이 많다. 모수효과만의 수학모델을 모수모델, 모수효과와 변량효과의 쌍방을 포함한 모델을 혼합모델이라고 한다.
-
목양력(grazing capacity)
방목초지의 생산력을 나타내는 지표. 초지의 식생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일정기간, 단위면적당 방목가능한 가축수. Cow day(CD), 초지생산단위(GPU) 등으로 나타낸다. 또 보다 정확하게 가축생산력을 나타내기 위해서 면적당 유생산량과 육생산량으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 Cow day, GPU.
-
무가격물(non-price goods)
생산자재로서 이용되면서 상품으로서 생산되지 않고 자급비료와 같이 판매사례가 거의 없고 시장가격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가르킨다.
-
변동비(variable cost)
일정의 조업도 혹은 규모를 전제로 한 경우 생산량의 증감에 응하여 변화하는 비용. 변동비
에는 사료비, 농약비 등이 포함된다. 매상고에서 변동비를 뺀 것을 한계이익이라고 부른다.
-
보완관계(complementary relation)
경영내부에 있어서 2개의 작목이 일방적 혹은 상호적으로 다른 생산 증가를 낳는 관계. 예를 들면 수전(水田) 낙농에 있어서 볏짚의 사료로서 이용과 쇠두엄의 시용에 의한 지방의 유지·향상 등이 더해진다.
-
보합관계(supplementary relation)
경영내부에 있어서 2개의 작목이 토지, 노동력, 자본의 이용에 있어서 경합하지 않고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관계. 예를 들면 여름작물의 Dent corn과 겨울 작물의 이탈리아 라이그라스등.
-
복합경영(diversified farming)
2개 이상의 생산부문이 합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영방식. 토지이용(지력유지), 노동배분, 기계시설이용, 위험분산 등의 점에서 합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래 농업생산은 복합적으로 운영되어 왔지만 기술 진보와 시장대응 등에 따라서 전문화가 되고 복합경영의 유리성은 약해져 왔다. 낙농을 포함한 복합경영으로서 혼동(混同)과 수전낙농이 있다. → 수전 낙농, 노동배분.
-
부가가치(附加價値: value added)
순생산이라고도 한다. 생산에 의해 새롭게 산출된 가치부분. 생산액으로부터 생산과정으로 투입된 물재비와 시설·설비의 감모분(減耗分)을 뺀 액.
-
부족지불제도(不足支拂制度)
생산자를 대상으로 한 가격지지 정책의 일종. 사전에 보정 가격을 정해 두고 그것과 실세
가격과의 차액을 보전(補塡)하는 구조이다. 현재 가공원료유와 육용 자수 및 유용 숫송아지
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다. 보정가격은 매년도 축산진흥심의회에게 자문하여 농림수산대거
가 정한 것이 되고 있다.
-
부채(liability)
제3자에 대하여 빌린 것을 돌려주지 않으면 안 되는 모든 채무. 반제(返濟)기한의 장단(長短)에 의해 고정부채와 유동부채로 구분한다. 타인자본이라고도 한다. → 타인자본.
-
분산 착포(分散 錯圃)
경영지가 각소(各所)로 분산하고 농지의 소유자 혹은 이용자가 뒤얽혀 있는 상태. 그와 같은 상태가 사회적으로 일반적인 농지의 소유·이용 상황을 가르킨다.
-
분산비(variance ratio)
BLUP법의 혼합모델 방정식에 있어서 계수 행열의 변량효과의 대각 요소로 더한 값. 통상 (오차분산/변량효과의 분산)의 값을 이용하기 때문에 분산비라고 한다. 개체간의 혈연관계를 고려할 경우에는 분자 혈연 행열의 각 요소에 분산비를 곱하여 계수 행열로 더한다.
-
분자혈연행열(numerical relationship matrix)
대각요소를 (근교계수 + 1), 비대각 요소를 해당 2개체간의 혈연계수의 분자부분의 값으로 하는 행열. BLUP법에서 종모우 또는 개체간의 혈연을 고려할 경우에 이 행열에 분산비를 곱한 것을 혼합모델 방정식의 계수 행열의 변량 효과부분에 더한다. Animal model의 경우에는 계산량이 팽대해지기 때문에 우군을 걸친 개체간의 비대각 요소를 제로로 두는 등의 간편법이 이용되고 있는 것이 많다.
-
비육차익(gross margin of fattening)
비육축의 앞마당 판매 가액으로부터 소축비와 사료비를 뺀 잔액. 자급조사료비의 견적이 어렵기 때문에 보통 조사료비는 구입분만을 뺄 경우가 많다. 산식(算式)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비육차익 = 비육축 앞마당 판매가액-(소축비+농후사료비+구입조사료비)
-
소축비(feeder livestock cost)
비육 또는 육성의 재료인 소축(素畜)을 입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총비용. 입수방법은 여러 가지이지만 구입의 경우는 소축 그것의 가격으로 소축을 구입하기 때문에 필요한 시장 경비와 운임 등의 경비를 가산한 것으로 자가산의 경우는 비육 또는 육성종료시의 총육성비 혹은 그 지방의 시가로 평가한다.
-
소파동(beef cattle cycle)
육용우에 관한 가격의 순환변동. 주기는 육우의 생산기술에 규정되고 화우에서는 7∼8년, 유
자우에서는 3∼4년이다. 화우의 경우 지육가격의 상승으로 반응한 번식소우의 도입을 기점
으로하고 번식소우의 육성·분만, 비육소우의 육성·출하까지 26개월, 비육기간이 22개월로
계 4년후에 비육우가 출하되고 지육가격이 하락하기 시작한다. 이후 번식우으로의 종부정지
로부터 동일한 과정을 더듬고 비육우의 출하가 감소하는 것은 30개월후가 되고 합계 78개월
이 된다.
-
손익계산(profit and loss accounting)
일정기간의 경영성적을 파악하기 위해서 행하는 계산. 수익-비용=이익이라는 식으로 나타나고 손익계산서로 표현된다. 이익은 기수의 재산과 기말의 재산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서도 구할 수 있다. 이것을 재산법이라고 하고 수익과 비용에 의한 손익법과 구별한다.
-
손익분기점(break-even point)
수익과 비용이 일치하는 영업량을 말하고 그것 이상 영업량이 증가하면 이익이 생기고 그것 이하라면 손실이 발생한다. 영업량은 일반적으로 매상고과 생산비 또는 판매량 등으로 나타나게 된다. 고정비와 변동비로의 비용의 분해와 변동비의 증감이 영업량에 비례하는 것을 전제로 도해 또는 공식에 있어서 계산에 의해서 손익분기점을 구하고 영업량에 응한 이익 혹은 일정의 이익을 올리기 위해서 필요한 영업량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 손익분기점분석이라고 불리는 경영분석방법이다
-
수입할당제도(import quota system)
비자유화 품목에 대하여 통산성의 수입승인을 얻은 자에 대하여 일정한 수입수량을 할당 수입제한을 행하는 제도. IQ제도라고도 한다. 그것은 수입량이 증가하고 국내산업이 타격을 받지 않기 위한 제도이지만 가트(GATT)에서는 이 수입수량제한을 원칙적으로 금지되어 있고 수출국으로는 철폐요구가 나오게 되고 의론되고 있다.
-
안테나 숍(antenna shop)
소비자 Needs(손님이 원하는 것, 손님이 요구하는 것, 필요한 것: 수요)와 판로(販路) 근상품(筋商品)등의 소비동향을 파악하고 자사의 경영전개에 유용하게 쓰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한 점포의 것. Pilot shop라고도 한다. 시장조사와 정보수집을 본래의 목적으로 하고 있고 apparel(어패럴)업계와 fashion(패션)업계에서 많이 볼 수 있지만 최근은 농축산물에도 농가측이 대소비지로 개설할 움직임이 있다.
-
앞마당 가격(ek-farm price)
농가의 앞마당에서 판매될 때에 형성되는 가격. 농가와 가축상등의 상대 거래에 의한 것이 많고 개별적, 폐쇄적이고 종종 공정(公正)함이 부족할 경우가 있다.
-
앞마당 거래(ek-farm trade)
시장을 경유(經由)하지 않는 농가의 앞마당에서의 거래. 농가와 가축상등의 상대 거래의 한 형태이다. 현재에도 가축의 생체 거래등으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
영농집단(group farming)
집락(集落) 또는 지연(地緣)적 범위의 농가로 구성된 농업생산을 위한 기능집단을 가르킨다. 지역에 있어서의 농가를 조직하고 농지의 계획적 이용과 농업 기계의 효율적이 이용에 의해 지역전체로서 농업생산 비용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바램으로 하고 있다. 후계자난과 고령화가 나아가는 중에 이후의 농업의 담당자로서 가족농업경영과 함께 주목되고 있다.
-
영업외 비용(non-operating expense)
지불이자, 지불지대등 낙농의 생산활동이외에 발생하는 비용. 기계와 경산우등의 고정자산매각손해(경산우 사고를 포함한다)도 [특별 손실] 계산을 하지 않을 경우는 이것에 포함된다.
-
영업외 수익(non-operating rerenue)
수취이자, 할인료등 낙농의 생산활동이외로부터 수익. 농업용기계와 경산우등의 고정자산매각익도 [특별수익] 감정(勘定)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는 이것에 포함된다.
-
영업이익(operating profit)
매상 액수로부터 매상원가를 공제한 잔액(영업총이익). 더욱이 판매비, 일반관리비를 공재한 액(금액). 낙농의 생산, 판매활동에 의해 얻어진 이익을 의미하고 있다. 판매비에는 생유의 판매수수료, 운임등 또는 일반관리비에는 사무비, 교통통신비, 교제비등을 포함한다. 다음식에 의해 계산한다.
영업이익 = 매상총이익 - 판매비 ×일반관리비.
-
예탁육성·매입육성(kep raising · purchase raising)
공공육성 목장의 사업방식. 예탁 육성은 낙농가에서 일정기간 자우를 보관하고 이것을 육성하고 대가로서 예탁료를 징수한다. 매입육성은 낙농가로부터 자우를 매입하고 이것을 초임우까지 육성하여 판매하는 것으로 매입·판매가격은 시장가격을 참고로 하는 경우가 많다. 공공 육성 목장의 경영관리에 있어 예탁 육성에 있어서의 예탁료 수준의 낮음이 경영 주지적자의 요인중 하나가 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매입 육성은 가격 변동의 위험성을 가진 반면 이 적자 요인으로부터는 면할 수 있지만 그 공정성에는 의문이 남게 된다. → 공정 육성 목장.
-
외상매입금(trade creditors account payable)
자우·육성우, 사료, 약품등의 원재료의 구입대금의 미불분. 원재료이외의 미불분에 대해서는 미불금으로서 구별된다.
-
외상매출금(trade debtors account receivable)
유대와 자우, 육성우등의 생산물 판매대금의 미수분. 미수금은 생산물이외의 유폐우와 수취이자등의 미수분을 가르키고 외상매출금과 구별된다.
-
우루가이라운드(UR: uruguay round)
가트(GATT: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에 기초로 한 다각적 무역교섭을 가르키고 현재의 교섭이 1986년에 우루가이에서 최초로 행해진 것부터 이렇게 불려진다. GATT는 1947년 제 1회 교섭으로부터 계산하고 이번회는 8회째의 교섭에 해당하고 과거 최다의 108개국이 참가하고 있다. 교섭분야는 농업, 관세, 지적소유권과 금괴, 건설, 통신등 서비스무역등 15개에 이른다. 농업분야에서는 수출보조금, 국내지대, 국경 조치의 삭감(削減), 철폐(撤廢)등이 교섭대상으로 되어 있다.
-
우회생산(迂回生産: round-about production)
생산물을 직접판매하지 않고 그것을 원료로서 보다 가치가 높은 생산물을 생산할 경우 우회생산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사료작물을 재배하여 그것을 가축에게 공급하고 축산물로서 판매하는 경우이다.
-
원금균등상환(equal annual payment of principal)
차입금의 상환(償還)에 대하여, 원금 부분을 균등하게 지불하는 방법. 이 방식의 경우는 지불이식(이자)과 합계액은 당초 많고 원금의 지불에 따라 임의 부분이 적어지기 때문에 원리(元利)를 합친 지불액은 서서히 감소하게 된다.
-
원리균등상환(equal annual payment for principal and interest)
차입금의 빚을 갚는 것에 처하여 원금과 지불 이식(利息)의 합계액이 매년균등하게 되는 빚을 갚는 방법, 빚을 갚는액의 내역으로는 처음 때는 이식분이 많고 후가 됨에 따라서 원금상환분이 많아진다. 계산방식은 차입액을 연금(年金)현가계수로 나누어 구한다. 이 계수의 산출방법은 아래와 같다.
연금현가계수 = [(1 + r)n - 1] / [r(1 + r)n]
r = 이율, n = 상환연수.
-
유동부채(current liability)
1년이내에 반제하지 않으면 안되는 채무 혹은 정상인 영업 순화 기간내에 속하는 부채. 이것에 포함되는 것으로 외상 매출금, 미불금, 지불어음, 전수금, 단기 차입금 등이 있다.
-
유동부채(current liability)
1년이내에 반제하지 않으면 안되는 채무 혹은 정상인 영업 순화 기간내에 속하는 부채. 이것에 포함되는 것으로 외상 매출금, 미불금, 지불어음, 전수금, 단기 차입금 등이 있다.
-
유동비율(liquidity ratio)
경영의 지배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의 한가지. 현 예금 등의 당좌 자산과 사료와 육성우 등의 재고 자산을 합계한 환금성이 높은 유동 자산으로 단기 차입금등 1년 이내에 지불할 필요가 있는 유동부채를 어느 정도 조달할 수 있는가를 본다. 200%이상이면 이상적으로 할 수 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유동비율(liquidity ratio)
경영의 지배 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의 한가지. 현 예금 등의 당좌 자산과 사료와 육성우 등의 재고 자산을 합계한 환금성이 높은 유동 자산으로 단기 차입금등 1년 이내에 지불할 필요가 있는 유동부채를 어느 정도 조달할 수 있는가를 본다. 200%이상이면 이상적으로 할 수 있다. 유동비율 = 유동자산 ÷ 유동부채 × 100.
-
유동자본(liquid capital)
원재료와 노동 등을 위해서 투하된 자본. 생산물의 판매에 의해 비교적 단기간에 자본이 회수되기 때문에 유동자본이라 한다.
-
유동자본(liquid capital)
원재료와 노동 등을 위해서 투하된 자본. 생산물의 판매에 의해 비교적 단기간에 자본이 회수되기 때문에 유동자본이라 한다.
-
유동자산(current assets)
년이내 혹은 경영이1 정상인 영업 순환기간내에 현금화 또는 매각내지 소비되는 자산. 유동자산은 현금, 예·저금, 외상 매출금등의 현금 및 즉각 현금화할 수 있는 당좌 자산과 그것이외의 원재료, 제작중인 물건, 제품, 비육축 등의 재고 자산으로 구분된다.
-
유동자산(current assets)
1년이내 혹은 경영이 정상인 영업 순환기간내에 현금화 또는 매각내지 소비되는 자산. 유동자산은 현금, 예·저금, 외상 매출금등의 현금 및 즉각 현금화할 수 있는 당좌 자산과 그것이외의 원재료, 제작중인 물건, 제품, 비육축 등의 재고 자산으로 구분된다.
-
유사비(feed cost milk receipt ratio)
유대에 차지하는 사료비의 비율. 자급 사료비의 산출이 곤란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구입사료비로 대체(代替)하고 있다. 유대, 사료비는 낙농 경영의 비용·수익 중에서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간이한 수익성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
유육복합경영(乳肉複合經營)
착유부문에 특화(特化)한 낙농단일경영이 아니라 착유부문과 육우부문을 결합한 낙농 복합경영의 한가지 형태. 생유의 과잉 기조(基調)와 생산 조성의 기반으로 유량증가에 의한 소득확대를 기대할 수 없고 그래서 육우부문을 도입하여 소득확대를 도모하려고 추장(推奬)되어 왔다. 육우부문에는 유웅우(乳雄牛)의 육성, 비육과 유폐우(乳廢牛)의 비육등이 있다.
-
유축농업(有畜農業)
경종부문(耕種部門)과 가축사양부문이 유기적으로 결부되는 농업경영 방식. 토지이용과 노동이용, 기계와 시설의 이용이 효율적으로 되고 경종부문의 부산물과 가축의 분뇨가 유효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이점이 있다. 서구의 윤재농법이 그 전형.
-
유통 기능(distribution function)
유통기구가 완수하는 역할. 물적기능과 상적 기능의 2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물적기능이란 생산으로부터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연결시키는 기능이고 집하(集荷), 중계(中繼), 분산의 과정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적 기능이란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고, 가격 형성을 행하는 것.
-
유통 기능(distribution function)
유통기구가 완수하는 역할. 물적기능과 상적 기능의 2가지 측면을 가지고 있다. 물적기능이란 생산으로부터 소비에 이르는 과정을 연결시키는 기능이고 집하(集荷), 중계(中繼), 분산의 과정을 담당하는 것이다. 상적 기능이란 상품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고, 가격 형성을 행하는 것.
-
육성차익(gross margin of rearing)
육성축의 정선판매가액부터 소축비와 사료비를 뺀 잔액. 자급조사료비의 견적이 어렵기 때문에 보통 조사료비는 구입분만을 빼는 경우가 많다. 산식(算式)을 보면 다음과 같다.
육성차익 = 육성축정선판매가액 - (소축비 + 농후사료비 + 구입조사료비)
-
이윤(profit)
기업경영의 경영성과로서 받아 들이게 되는 수익. 가족경영에서는 농업소득부터 가족노동비견적을 뺀 액에 상당한다. 자기자본이자, 자작지지대 및 기업이윤에 의해 구성된다.
-
이익잉여금(Earned surplus)
손익거래의 결과 생기는 이익의 유보(留保)액. 이익잉여금은 처분제 이익잉여금과 미처분 이익잉여금으로 크게 나눈다. 처분제잉여금에는 잉여준비금과 임의 적립금이 있고 각각 대차대조표상으로 [법정준비금]과 [잉여금]의 부로 기재된다. 미처분이익잉여금은 손익계산상으로 [당기말 처분이익]으로서의 전액이 표시되고 또 대차 대조표의 [잉여금]의 부에도 기재된다.
-
인터그레이션(integration)
Integration는 [통합]을 의미하고, 농업분야에 있어서는 자재공급, 생산, 판매, 유통의 과정의 일부 내지는 전부의 기업과 농협등의 의해 통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양계와 양돈의 중소가축을 대상으로 한 축산 integration이 전형적 형태이다. integration에는 수평적 통합, 수직적 통합, 순환적 통합의 3가지의 형태가 있고, 일반적으로 수직적 통합이 행해지고 있다.
-
일본농림규격(Japan agricultural standard)
농림수산가공품의 규격의 표준화와 품질의 개선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농림물자의 규격하 및 품질표시의 적정화에 관한 법률] (1950년제정)에 기초를 두고 정한 것. JAS규격이라고 칭하고 광공업 제춤의 JIS규격과 대비된다. 원료유에 있어서는 특등·1등·2등의 가격 차이의 기준이 되고 있다.
-
임대 농장(lease farm)
신규로 농업을 시작한 사람(신규취농자)을 받아들이기 위한 농장으로 평성(헤이세이)원년경보다 농수성의 사업으로서 제도화되었다.
-
장기평균 지불제도
농협등이 농가에 대하여 판매대금으로부터 약정(約定)에 의한 일정한 액을 지불하고 일정기간후에 청산지불하는 제도의 것. 농가는 흑자, 적자를 불문하고 평균적인 소득액을 얻는 구조로 되어 있다. 축산물은 주기적인 가격변동을 되풀이 하지만 거기에 발생하는 위험을 최소한으로 하고 농가경제의 안정화로 유용하게 사용하도록 한 것.
-
정액상각(正額償却: straight line method depreciation)
감가상각계산의 하나. 고정자산의 가치가 매년 일정액씩 직선적으로 감소해 간다. 정액상각에 의한 매년의 감가상각비는 다음과 같게 된다.
감가상각비 = (취득가액 - 잔존가액) ÷ 내용연수.
상각대상의 가축은 정액상각에 의한 계산을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
정율상각(fixed percentage method depreciation)
감가상각계산의 하나. 고정자산의 가격의 감소가 어느 기(期)에 있어서도 각 기(期)의 장부 가격에 대하여 동율(정율)이다는 생각이 앞선다. 따라서 상각율을 정율로 하여 년 감가상각은 다음과 같이 된다.
감가상각비 = 장부가액 × 상각율
(상각율 = 1 - n은 내용연수)
정액법에 비교하면 상각개시초지의 상각비가 많아 진다.
-
제 1종 겸업농가
농업이외에 취업부문을 가진 겸업농가의 형태중 하나이고 농가수입의 절반이상을 농업수입이 차지하고 있는 농가를 말한다. 이것에 대하여 농업이외의 수입이 농업수입을 상회하는 농가를 제 2종 겸업농가로서 구분하고 있다.
-
제 1차 생산비
농축산물의 생산에 이용한 원재료비, 노동비, 감가상각비, 임차료 및 요금등의 비용 합계로부터 부산물가액을 뺀 액. 원가가 되는 비용만을 내용으로 해두고 이것이 본래의 생산비에 해당한다.
-
제 2차 생산비
제 1차 생산비로 자본이자와 지대를 더한 액. 농림수산성의 생산비 조사에 의하면 자본이ㅏ는 자기자본과 차입자본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되는 자본액으로 연이자 4%을 곱한 것이다. 지대는 실제로 지불한 임차료 또는 소작료, 소유지의 경우는 조건이 동등하다고 생각되는 농지의 임차료 또는 소작료 평가로 산정된다. → 제 1차 생산비.
-
조합금융(組合金融: co-operative finance)
계통농협에 의한 금융사업. 농가조합원으로부터 모인 자금을 기초로 운용하고 있지만 조합원으로의 융자비율은 단위농협에서는 낮고 기타의 자금은 현신용연(기관)과 농림중앙금고에서 운용되고 있다. 농가로의 융자에는 농협 proper 자금외에 농업근대화자금등의 제도자금의 원자에도 사용되고 있다.
-
중간생산물(intermediate products)
농업경영에 있어서 내부에서 생산되는 각각 재차 농업생산에 투입되는 자급사료. 퇴비, 종묘등을 가르킨다. 우유등의 최종생산물에 대하여 중간 생산물이라고 말한다. 농가경제 조사에 있어서 농업소득으로는 계상(計上)하지 않지만 생산비(원가) 계산을 할 때는 비용가 계산을 행하고 그 소비한 액을 생산비로 계상한다.
-
중핵농가(full-time family farm)
60세미만에서 연간 150일 이상 농업에 종사하는 기간. 남자농업전종자가 있는 농가를 가르킨다. 이것에는 농업기본법에 있어서 육성을 목표로 한 도시근로자의 농업소득을 얻는 자립경영 또는 다른 가족원이 겸업하고 있는 농가도 포함한다. 1973년도의 농업백서에서 처음으로 이용되었다.
-
지대(rent)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의 경제적인 실현형태. 구체적으로는 토지를 사용할 때에 토지 소유자가 받는 잉여. 자본주의 사회에 있어서 형성된 지대의 기본적인 형태로서는 절대지대와 차액지대가 있다. 더욱 회계용어로 지불지대라고 하는 경우는 차지료를 의미하고 내용으로서는 절대지대와 차액지대의 양방을 포함한다. → 절대지대, 차액지대.
-
지대부담력
차지료부담능력, 경영소득의 내용을 구분하면 자본 보수(報酬)(자본이자), 노동보수(노임), 토지보수(지대)로 나눈다. 응분의 자본보수, 노동보수를 공제하여 남은 토지보수가 많으면 차지료의 부담능력이 높아진다. 토지보수는 토지순수익이라고도 표현된다.
-
지역간 분업(division of labour among area)
어떤 생산물의 생산 과정을 분할하고 이것을 몇 개인가의 지역으로 분담하고 전체로서 한 개의 생산을 행하는 것. 분업은 노동생산력의 증진을 초래한다. 낙농에 있어서 북해도에서 육성된 유용우가 도부현에서 구입되는 것은 지역간 분업의 하나이고 여기에서는 양 지역에 있어서의 낙농경영의 성립이 전제가 된다.
-
지역복합(diversified production in area)
일정의 지역내 다른 경영방식·경영형태의 개별농가와 농협영의 시설등의 사이에서 토지, 노동, 기계, 시설과 쇠두엄, 볏짚등의 상호 이용을 하고 생산력을 증대시키는 것. 도시 근교에 있어서의 전업농가와 겸업농가로의 분화, 농업지역에 있어서의 전구조화의 진행을 배경 쌍방의 단점을 보충하기 위해 생겼다.
-
진찰제공(production medicine)
축산가의 경영에 대하여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 수의사가 Consultation(진단, 상담)을 제공하는 것. 축산 기술의 발전과 축산을 둘러싼 경제 환경의 변동으로 종래의 우군위생관ㄴ 다르고 종합적·장기적인 시점으로 소의 영양과 관리기술에 관한 정보를 농가에게 제공하고 그 번영(繁榮)을 원조(援助)하는 것.
-
천연 목야(natural grassland)
목야의 이용상과 행정상으로 구분한 하나. 이용상으로는 잔디, 참억새, 조릿대(작은 대나무류)등의 자연초(야초)를 대상으로 하고 아무런 개량도 가하지 않은 목야이다. 행정상으로는 지방공공단체등이 관리하는 목야의 하나이다. 자연의 초자원지로서의 이용과 이후의 개량에 의한 사초 자원의 확대에 기대되는 목야이다.
-
청색(녹색)신고(Income tax return system on the blue form)
나라에 대한 세무 신고의 방법 중 하나. 신고에 따라 복식부기등의 일정한 장부를 사용해 청신신고서로 처리하는 것이므로 청색신고라 불려지고 있다. 이 신고를 취급하는 것에 따라 ①전종자 급여의 필요 정로의 참가 ②청색신고 특별 공제(35만엔 : 정규부기 이외는 10만엔) ③가사관련 경비의 필요경비로의 참가 ④순손실의 편입, 되풀이등의 특전을 받을 수 있다.
-
최저한의 수입의무(minimum access)
Minimum access로서 외무규정을 배제(排除)하고 모든 무역 품목에 최저한의 수입제한을 설치한 것을 말한다. 가트(GATT)의 우루과이 라운드(Uruguay round-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s)의 농업교섭에 있어서 예외 무관세화 제안이 나왔지만 거기에서는 수입수량제한 등의 비관세 조치를 관세화함과 동시에 국내 소비의 일정량에 대해서는 저율세 제한으로서 최저한의 수입제한(Minimum access)을 설정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
축산관련산업(agribusiness)
축산물 산업에 관한 생산 자본재 공급, 연구개발, 가공, 유통등 주변의 관련부문에 있어서의 산업 분야를 가르키고 광의로는 agribusiness라고도 한다. 특히, 사료, 종자, 품종, 농업기계, 시설, 농약등에서부터 식품가공, 발효, 외식산업등까지 넓은 범위에 이르고 최근은 Biotechnology(생물공학)와 automation기술등의 첨단 기술을 활용한 부문의 참여가 활발화되고 있다.
-
커드(curd)
렌네트(rennet)를 첨가한 우유와 요크루트등 우유가 한결같이 단단한 상태의 것을 말한다. 우유의 주요 단백질인 카제인이 산(pH저하) 또는 단백질 분해효소키모신(chymosin)의 작용을 정치상태에서 받으면 curd가 형성되지만 curd가 흐트러지는 것은 홀로 되는(카제인의 것)침전이다.
-
타인자본(borrowed capital)
총자본중에서 자기자본이외의 부분. 자본외 몫으로서 경영주 이외의 제 3자로부터의 조달원천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타인 자본이라고 한다. 부채의 것. → 부채.
-
토지순수익(land profit)
농업경영을 토지 이용체라고 간주할 경우의 경영목표로 토지에 귀속(歸屬)하는 보수(報酬)이고 지대로서 지불하고 얻는 한계수준이라고 간주할 수 있고 지대부담력의 지표가 된다.
순생산가치 대신으로 생산량을 이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토지 생산성은 경지의 자연적 풍
부한 정도와 기술의 발전 단계에 의해 규정되고 농업생산력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된
다. → 자본생산성, 노동생산성.
-
투자한계
수익성으로 보아도 유효가 되는 투자의 분기점을 투자한계라고 부른다. 유효성을 검토하는 방법으로서는 원가비교법, 자본회수법, MAPI법등이 있다. 더욱 낙농경영에서는 차입금으로의 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투자한계는 재무안전성의 면으로 부채한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
특화(特化)계수(location quotient)
지역의 생산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문화 계수라고도 불린다. 농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전국평균의 농산물의 부문 구성비로 각 현 혹은 시, 읍, 촌의 부문별 구성비를 뺀 값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A현의 낙농의 특화계수 = 〔(A현의 낙농 조생산액)/(A현의 농업 조생산액)〕/〔(전국의 낙
농 조생산액)/(전국의 농업 조생산액)〕
-
특화(特化)계수(location quotient)
지역의 생산구조의 특징을 나타내는 지표로 전문화 계수라고도 불린다. 농업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전국평균의 농산물의 부문 구성비로 각 현 혹은 시, 읍, 촌의 부문별 구성비를 뺀 값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A현의 낙농의 특화계수 = 〔(A현의 낙농 조생산액)/(A현의 농업 조생산액)〕/〔(전국의 낙
농 조생산액)/(전국의 농업 조생산액)〕
-
평균생산비(average cost)
생산에 필요한 총비용을 총생산량에서 뺀 값. 생산물 일단위당 평균비용. → 한계생산비.
-
한배 착유
1비유기만 착유하고 그 후 육우로서 판매하는 유우의 사양방식. 경영내에서는 번식되지 않
고 경산우를 외부로부터 구입한다. 오래부터 박류의 사료이용으로 결부되어 도시근교에서
볼 수 있는 방식. 건유우가 없기 때문에 경영으로서는 효율적. 다만 갱신우가 비교적 싸고
조달할 수 있는 것이 조건이 된다. 우육자유화후 폐용우가 싸지고 이전보다는 유리성이 저
하해 가고 있다.
-
혁신(innovation)
innovation이란 본래 [혁신]을 의미하고 통상 공업에 있어서의 기술혁신을 기초로 한 신제품 개발등 구래(舊來)에 없는 새로운 것이 등장하는 것을 가르키고 있다. 또는 넓은 의미로는 새로운 시장개척과 신조직의 등장등도 포함하여 사용된다. 최근은 농업에서도 컴퓨터와 생력화 기술등의 신생산방식의 도입에 의한 경영혁신을 가르켜 사용되어 오고 있다.
-
협업(協業: cooperation)
동일의 생산과정. 혹은 서로 관련이 있는 생산과정에 있어서 다수자가 계획적으로 동시에 혹은 상호 협력하고 노동하는 생산형태. 협업엔느 단순협업과 분업에 기초를 둔 협업이 있다. 사료작의 수확·조제를 조작업으로 실시하는 것은 분업에 기초를 둔 협업의 일례(一例)이다.
-
협업(協業: cooperation)
동일의 생산과정. 혹은 서로 관련이 있는 생산과정에 있어서 다수자가 계획적으로 동시에 혹은 상호 협력하고 노동하는 생산형태. 협업엔느 단순협업과 분업에 기초를 둔 협업이 있다. 사료작의 수확·조제를 조작업으로 실시하는 것은 분업에 기초를 둔 협업의 일례(一例)이다.
-
확대재생산(expansion of reproduction)
생산의 반복계속에 따라서 취득한 잉여를 추가투자하여 새로운 기술, 가축등의 생산수단과 노동력을 조달하고 이전보다도 생산규모를 확대하는 것. 축소재생산의 대어.
-
확장계수(expansion factor)
종자우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통상 자우의 검정종료의 완성기록을 이용하지만 기타의 검정경과중 미완성인 비유기록으로부터 유기유량을 추정하여 이용하는 것이다. 그때 이용되는 보정계수.
-
낙농 및 육용우 생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
낙농진흥법의 일부가 개정된 법률(쇼와 58년). 개정 배경은 우육수요의 신장에 대응한 육용우의 국내 생산증대의 필요성과 국내 산우육이 많은 유용종에 의해 점유된 것에 있다. 주로 개정점은 육용우 생산 근대화계획이 가해지게 된 것과 육용자우의 가격안정제도가 법률화된 것이고 종래부터의 규정으로서는 낙농근대화계획제도, 집약낙농지역, 생유등의 거래, 국내육의 우육·유제품의 소비증진이 있다.
-
농업기준법(Basic Law of Agriculture)
농업정책의 목표와 농업의 기본 방향을 나타내는 법률. 1961년(쇼와 36년)에 제정되었다. 농가와 노동자 세대(世帶)와의 소득의 균형(均衡)을 내세우고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선택적 확대를 내용으로 한 생산정책과 노동생산성의 향상과 경영규모의 확대를 지향하는 구조정책, 농산물가격대책에의한 소득격차의 시정(是正)를 목표로 한 소득정책의 3가지정책을 기둥으로 하고 있다.
-
농지법(Law of Farm Land)
농지개혁에 의해 만들어진 농민에 의한 토지소유와 그 권리의 유지를 목적으로 한 법률. 1952년 (쇼와 27년)에 제정되었다. 농지는 경작하는 것이 자기가 소유하는 것이라고 하는 소위 자작농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지만 농지의 유동화를 필요로 하는 그 후의 상황변화에 대응하여 조금씩 개정이 더해져 가고 있다. → 농지개혁.
-
농진법(農振法)
농업진흥지역의 정비에 관한 법률. 농업진흥지역을 설정하고 토지자원의 합리적인 이용과 농업지역의 보전을 모적으로 하고 있다. 신도시계획법의 제정에 대응하여 1969년(쇼와 44년)에 제정되었다. → 농업진흥구역.
-
유등성령(ministerial ordinance concerning comositional standards, etc, for milk and milk products)
우유 및 유제품 및 그것을 주원료로 한 식품에 관하여 식품위생법 제 5조에 규정되고 있다. [유(乳)·육(肉)·골(骨)·장기(臟器)·혈액(血液)을 식품으로 할 수 없는 동물의 질병], 제 7조의 [성분규격 및 제조 등의 방법의 기준], 제 10조의 [기구·용기포장 또는 이것들의 원재료의 규격과 제조방법의 기준], 제 11조의 [식품의 표시]에 있어서 후생성이 쇼와(昭和) 26년에 정한 [우유 및 유제품의 성분 규격등에 관한 성령]이 정식 명칭이다.
-
육용자우 생산안정 특별 조치법(肉用子牛 生産安定 特別 措置法)
우육의 수입자유화에 대응하여 육용자우 생산의 안정과 식육 생산에 관련한 축산의 건전한 발달을 목적으로서 제정된 법률. 육용자우와 유용 수컷 자우의 가격을 보증(保證)하고 실세 가격이 보정기준가격을 하회(下回)한 경우는 생산자에 대해서 그 차액을 보전(補塡)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다. 자우에 대한 소위 부족지불의 근거법 → 부족지불제도.
-
축산물의 가격안정등에 관한 법률.
주요한 축산물의 가격 안정을 도모하고 축산 및 그 관련 산업의 건전한 발달과 국민의 식생활 개선을 목표로 하고 1961년(쇼와 36년)에 제정된 법률. 가격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서 정부는 수급조작의 목표 가격으로서 안정기준 가격과 안정 상위가격을 정하고 축산 진흥사업단에 의한 매입, 매도하는 수급조정에 의해 가격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지정 유제품, 우육과 돈육의 지정 식육이 대상으로 되어 있다.
-
토양개량제(soil conditioner)
용성인비, 중소인, 약토석회등은 토양 개량제로 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토양의 통기·통수성을 개선하는 합성 고분자계 개량제와 토양의 보비력 및 보수력의 증대, 산성 토양의 개량제로서의 가공 유기질계와 무기질계의 토양개량제의 것을 가르킨다.
-
농사조합법인(農事組合法人)
농업형동조합법에 기초를 두고 설립된 농업법인. 행하는 사업에 의해 1호법인과 2호 법인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농업용 시설 기타 공동이용과 작업의 공동화, 후자는 농업을 경영할 경우. 규정한 조항(제 72조의 8의 1호 및 2호)이 틀리므로 이와 같이 구분된다.
-
농업생산법인(agricultural legal person)
농지법에 의해 농지 및 채초방목지의 소유권과 사용권을 인정되고 있는 농업법인. 농사조합법인·합명회사·합자회사·유한회사의 4법인으로 제한된다.
-
낙농 Halper 제도
낙농가의 휴일확보와 관혼장제등 때문에 사양우의 관리와 착유작업을 대행하는 제도. 전국 300이상의 Halper조합에 1,500명이상의 Halper가 소속하여 활략하고 있다. 1990년에 전국협회가 설립되고 Halper요원의 연수등을 행하고 있다. Halper의 이용형태는 약 7할이 정기적인 이용이지만 월 1회가 가장 많다.
-
DHIA(Dairy Herd Improvement Association)
미국의 유용우군 개량협회의 약칭. 그 역사는 오래되고 활동은 80년이상에 미치고 그 광법위한 사업을 통하여 미국의 낙농으로서 기술적인 발전을 짊어지는 중핵적인 존재이다. 주 혹은 군의 조직이 활동의 중심이고 전미 본부에 해당하는 기관은 오하이오(Ohio)주에 있고 각 주의 조정기능을 다하고 있다. 사업의 운영에는 주립대학과 농업시험장의 연구자도 참가하고 있고 낙농가는 DHI사업에 가입하는 것에 의해 자우의 능력검정, 조사료분석, 경영분석등 다양한 제공(提供) 메뉴를 선택하고 기술지도을 받을 수 있다. 미국의 유우의 능력향상은 DHI사업에 의한 공헌(貢獻)이 크고 미국농무성은 DHI사업의 자우검정 date의 약 반수를 이용하고 BLUP법에 의한 종모우 증명 가격를 행하고 있다. 일본의 우군검정의 추진을 위해서 참고가 되고 있다.
-
등록협회(breed society, registration association)
일반적으로 등록협회는 가축의 품종별로 설립되어 있고 일본의 유우에서는 홀스타인과 wu지의 등록이 80년이상에 걸쳐 일본 홀스타인등록협회에서 곗ㄱ 실시되고 있다. 등록업무의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도도부현별로 지부승인단체가 원숙해 지고 있다. 혈통 등록과 심사의 사무가 더해지고 전국 규모의 육종사업, 공진회와 광보(廣報) 활동등을 통해서 가축개량사업단과 제휴(提携)하고 일본의 유우개량에 공헌하고 있다. 또 홀스타인은 국제적으로 공유되는 품종이고 그 활발한 국제거래에 따른 모든 문제에 대처하는 업무도 크게되고 있는 중이다.
-
유업(乳業: dairy industry)
우유를 원료로 한 유·유제품을 제조하는 업계를 말한다. 일본에서는 대기업, 중소기업, 개인, 농협 플랜트(plant)등 모든 경영 형태가 있고 식생활의 향상에 공헌해 왔다. 국제화가 요구되는 가운데 이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 발본적(拔本的) 시책이 요망되고 있다.
-
유통기구(distribution structure)
상품이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거치기까지의 기구를 가르키고 상품이 그 가치를 실현하는 기구이다. 광의로는 도매시장, 가축시장, 소매점등의 물적 유통시설과 그것들을 잇는 유통경로, 거래형태, 유통 담당자, 유통 기능 등이 포함된다. 농축사물로는 대량생산 = 대량유통이 일반적이 되고 변모해 왔다. 그러나 영세 분산적인 생산과 소비를 특징으로 한 농축산물의 경우 전기적인 상인이 개재한 여지가 남게 되고 또 그것에 대항하여 농협공판이 발달하고 있다.
-
유통기구(distribution structure)
상품이 생산자로부터 최종 소비자에게 거치기까지의 기구를 가르키고 상품이 그 가치를 실현하는 기구이다. 광의로는 도매시장, 가축시장, 소매점등의 물적 유통시설과 그것들을 잇는 유통경로, 거래형태, 유통 담당자, 유통 기능 등이 포함된다. 농축사물로는 대량생산 = 대량유통이 일반적이 되고 변모해 왔다. 그러나 영세 분산적인 생산과 소비를 특징으로 한 농축산물의 경우 전기적인 상인이 개재한 여지가 남게 되고 또 그것에 대항하여 농협공판이 발달하고 있다.
-
유당 부내증(lactose intolerance)
일본인을 처음 아시아 민족으로는 일반적으로 소장의 유당가수 분해효소(락타아제: lactase)의 활성이 낮고 또 가령(加齡)과 함께 활성의 저하속도가 뚜렷하다. 그 때문에 우유를 마시면 복부 팽만(膨滿), 연변, 하리등의 증상을 보인다. 이것을 유당 부내증등이라고 하지만 일본인의 경우 성인성 저락타아제증이라고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유당의 부하(負荷)시험에 의해 판정한다.
-
후산정체(retention of placenta)
태반정체
-
아드레날린(adrenalin)
아드레날린(adrenalin)은 부신수질에서 생성하고 분비된다. 생체내에는 2종류의 아드레날린 수용체(α,β)가 있다. 아드레날린의 작용에 의하고 α수용체가 있는 혈관소(vlqndhk 내장)은 수축하지만 β수용체가 있는 혈관소는 확장한다. 착유시 흥분은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재촉하고 유선에 분포하고 있는 혈관소를 수축한다.
-
림프구(lymphocyte)
백혈구의 일종으로 액성 항체의 산생과 세포성 면역 등의 특이적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골수에서 유래. T세포와 B세포로 분류되고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호중구와 매크로파지(몸안의 이물질이나 노폐물 등을 거두어서 소화하는 대형 아메바 모양의 세포의 총칭. 대식세포)등과 함께 생체의 면역 응답에 중요한 세포.
-
미각(tast sense)
척추동물의 미각기관이 구강내의 미뢰(味 )에 화학물질이 자극하여 생기는 감각을 말한다. 단맛, 짠맛, 신맛, 쓴맛의 4가지의 기본 맛으로 나누어지고 이것들이 혼합·융합하여 여러 가지의 맛을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는 단맛을 좋아하고 쓴맛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
반추(rumination)
제 1위내의 주로 섬유질로 되는 먹이를 입으로 되씹고 수십회 저작하는 행동. 반추 때에 알카리성의 타액(唾液)이 분비되고 제 1위 발효로 저하한 내용물의 pH가 중화되고 위내 환경의 항상성이 유지된다. 반추는 제 1위와 제 2위의 위벽에 대한 조사료의 물리적인 자극으로 반사적으로 일어난다. 그 대문에 물리성을 가진 조사료를 항상 일정정량급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
반추행동(rumination)
반추행동은 엄밀하게는 반추동물의 소화활동의 일부이고 동작으로서 제 1위 내용물의 되씹음, 재차 저작, 연하(嚥下)를 말한다. 반추는 선 자세 내지는 횡와자세에서 행하게 되고 방목우에서는 1일 9∼11시간으로 볼 수 있다.
-
열수용기(thermoreceptor)
동물이 체표에서 온도를 감수하는 기관을 말한다. 기온의 변화를 가축의 피부가 우선 감지하고 체내에 둘러친 온·한수용기에 의해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로 전달된다.
-
체온 조절(기능): (thermoregulation)
동물은 외부온도 환경의 변화에 대하여 체내온도를 항상적으로 유지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이 안정한 일정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생리적 및 행동적인 조절기구를 말한다. 더욱 동물에게는 체온 조절중추로서 시상하부에 방열중추 및 산열중추가 존재한다.
-
체온(Body temperuture)
동물체의 온도를 체온이라고 한다. 항온동물이라도 체온이 모든 부위에서 일정하지는 않고 몸의 심부로부터 외표로 향함에 따라 저하한다. 그러나 몸의 심부온도는 거의 일정하고 핵심온도라고도 한다. 이 핵심온도를 표시하기 위해서 직장온도가 이용된다.
-
후각(嗅覺:smell sense)
한 개 혹은 복수의 물질의 확산한 분자를 냄새로서 느끼는 감각. 가축의 후각(嗅覺)은 계(鷄)를 제외하고 예민하고 그 중에도 돼지의 후각이 가장 예민하다고 할 수 있다.
-
거짓 승가(false mounting)
올라타는 것. 정액채취할 때에 사정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의빈대로의 승가만으로 그치고, 사정하게 하게 않는 조작을 말하고 일반적으로 종웅우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 조작을 1회 수회 반복하는 것으로 종웅가축의 성욕이 항진(亢進)하고 정액량과 정자수가 증가하고 정액성상이 양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또 교미 혹은 정액채취때에 웅축이 암컷에게 승가하고 질 또는 인공질에 음경을 삽입하여도 사정을 수반하지 않는 경우도 거짓 승가라고 칭한다.
-
군행동(group behavior)
가축을 군에서 일정기간 사양한 때에 개체끼리 조직하여 행하도록 보여주는 일련의 행동. 각개체의 행동형의 제일화와 개체간의 일정한 사회적 관계, 군내의 개체의 공간적 분포의 규칙성등에 의해 정의 된다. 이 군의 사회행동 및 공간행동은 그것 자체가 구조성을 가진다고 생각되어 지고 군구조라고 불려지고 있다.
-
기질(temperament)
동물본래의 체질, 성질 혹은 강한 습관 경향을 말한다. 가축의 기질에 있어서 유전적 해명은 충분히 되고 있지 않지만 기질은 유전에 의해 나타나는 동시에 환경 - 사육, 훈련 - 등의 영향을 받고 생겨지는 것이다.
-
떨림(trembling)
근육의 불수의(不隨意)적으로 급속적이고 간결적인 수축·이완을 되풀이 하는 운동을 말한
다. 떨림은 한냉에 대한 응급적 반응으로 중추 및 말초의 온도 변화에 의해 생기기 때문에
이것에 의해 열생산량은 보통의 2∼3배로 증가한다고 말할 수 있다.
-
루멘바이페스(rumen bypass)
자우가 우유와 대용유 등을 마실 때 식도구가 조건 반사로 관상(管狀)으로 닫히고 우유가 제 1위, 2위를 거치지 않고 제 3위에서 4위로 직접 유입되는 것. 우유를 계속하여 주는 것으로 성우까지 이 식도구 반사를 유지할 수 있다. 영양가가 높은 유(乳)등이 루멘에서 분해, 발효되는 것을 막는다. Bypass 단백질과 Bypass 아미노산 등의 용어가 있지만 이 경우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Rumen을 Bypass하는 것이 아니라 분해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
루멘바이페스(rumen bypass)
자우가 우유와 대용유 등을 마실 때 식도구가 조건 반사로 관상(管狀)으로 닫히고 우유가 제 1위, 2위를 거치지 않고 제 3위에서 4위로 직접 유입되는 것. 우유를 계속하여 주는 것으로 성우까지 이 식도구 반사를 유지할 수 있다. 영양가가 높은 유(乳)등이 루멘에서 분해, 발효되는 것을 막는다. Bypass 단백질과 Bypass 아미노산 등의 용어가 있지만 이 경우는 단백질과 아미노산이 Rumen을 Bypass하는 것이 아니라 분해하지 않고 통과하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
모성행동(maternal behavior)
모친이 그 보호하에 있는 자축에게 나타나는 행동의 총칭으로 수유와 자식에 대한 몸단장 등이 포함된다. 고등동물에서는 시작으로부터 완성되고 있는 행동이 아니고 자축의 존재와 수유를 반복하는 것에 의해 발달하고 경험을 쌓을수록 완성도가 높다. 따라서 분만직후에 모자를 떼어 놓은 유우에서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고 자연포유의 육용우군 등에서는 잘 발달하고 있다.
-
몸단장 행동(body care behavior)
가축이 몸을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또는 환경의 변화에 적응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행하는 행동으로 몸이나 털을 깨끗이 하는일(grooming), ?는 일(licking), 긁는 일(scratching)등이 있다. 호신 행동적인 면도 있고 또 개체간의 사회적 친화 행동으로서 발현하는 경우도 있다.
-
발한(發汗: sweating)
동물이 피부한선의 기능을 항진(亢進)시켜 땀의 분비를 촉진하는 것을 말한다. 땀은 한선으로부터 분비되는 수분이고 이 증발에 의해 방열한다. 발한은 가축이 체내에서 발생한 열을 방산(放散)시키는 작용의 하나이고 한선은 말, 소, 면양, 돼지의 순으로 빈약하게 된다.
-
방목습성(grazing habit)
가축의 한가지 종(種) 또는 개체·군이 방목시에 나타내는 행동양식. 타고나는 것과 경험과 훈련에 의해 습득하는 것이 있다. 유목민은 이와 같은 방목습성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가축을 관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
방목행동(grazing behavior)
방목지에 있어서 가축이 나타내는 행동. 채식반추, 음수, 몸단장, 이동, 놀거나 걷기, 서열다툼, 배세, 소금?기(지염), 횡와휴식·수면 등의 행동형이 관찰된다.
-
배뇨행동(urinating behavior)
생리학적으로는 대사활동의 일종으로 대사의 노폐물이 있는 오줌을 방광으로부터 요도를 거쳐 체외로 배출하는 것. 개와 토끼등에서는 오줌에 의해 세력범위의 선언과 구애행동등 사회행동에 관여한다. 종 및 성에 의해 각각 독특한 자체로 행해지지만 암소에서는 사지를 동체(胴體)아래로 모으고 등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위로 들고 행한다. 수컷소는 사지가 약간 모이지만 거의 통상의 정립(停立)자세에서 배뇨를 한다.
-
배분행동(defecating behavior)
생리학적으로는 소화활동의 일종으로 소화관내용물을 직장말단의 항문을 거쳐 체외로 나오게 하는 것. 개, 말에서는 배설물이 시각·후각을 통해서 세력범위의 선언등 사회행동으로 관여하지만 소는 분을 여기저기 흩어 뿌리는 동물이라고 할 수 있고 그 점에서의 의의는 인정되고 있지 않다. 배분행동은 종에 의해 각각 독특한 자세로 행하고 소에서는 사지를 거의 체하부로 바싹 붙이고 등을 구부리고 엉덩이를 쳐들고 행한다.
-
불감성 발한(insensible perspiration)
동물은 표피와 호흡기의 점막상피를 통해서 증기압 경사에 의해 확산(擴散)의 형식으로 체액수분을 이동시키고 늘 증발되고 있다. 발한과는 무관계이고 발한만큼은 외계습도의 영향은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형식의 발한은 단시간내에서는 체중감소로서 감지할 수 없기 때문에 불감성 발한이라고 한다.
-
습관(habituation)
습득행동의 일종으로 보수(報酬) 혹은 벌이 없는 상태로 어떤 반응을 일으키는 자극을 되풀이 될 때 그것이상의 반응이 일어날 가능성 내지는 그 반응의 진폭(振幅)이 감소하는 것.
-
우성순위(dominance order)
군내에서 볼 수 있는 사회적 관계의 일종으로 체격, 연령, 경험 등에 기인하는 조우시의 적대행동의 우열관계로부터 추정되는 순위. 사회적 순위라고도 불리는 것도 있지만 사회적이라는 용어는 의미가 넓기 때문에 우열순위의 쪽이 적절. 우군의 우열순위는 비직선형으로 삼자 혹은 사자가 서로 견제하여 셋이나 네명이 다 꼼짝 못하는 관계를 포함한다. 우군내에는 다른 사료 우선 순위가 있고 우열 순위와 일치할 경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
울음소리(vocalization)
동물의 울음소리는 감정의 표현인 동시에 무리와의 유력한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의 수단이다. 최근에는 음향분석기의 발달에 의해 각 가축의 울음소리 해석도 진행되어 말에서는 8종류, 소에서는 4종류, 돼지에서는 20종류 및 닭에서는 19종의 울음소리가 해석되고 있다.
-
적대 행동(agonistic behavior)
군사상의 개체간에서 볼 수 있는 사회적 관계 중에서 우위-열위 관계로 관련하여 보여지는 행동. 우위의 개체가 열위(劣位)의 개체를 물리적으로 공격하는 머리박치기와 밀어내기, 비물리적인 공격인 위협과 회피, 양자가 거의 대등하게 서로 싸우는 투쟁 등이 있다. 적대행동의 관찰에 의해 군내의 우열(優劣) 순위을 추정할 수 있다.
-
적응(adaptation)
내적 및 외적 자극에 대하여 동물이 생잔(生殘)하기 위해서 유전적, 생리적 및 행동적으로 반응하는 변화를 말한다. 유전적 적응은 자연 혹은 인위적 도태(淘汰) 선발에 의해 일어나고 불가역적으로 장기적인 것이고 생리적 적응은 개체중에 일어나는 단기적 변화의 능력 혹은 과정에서 가역적인 면을 가진다. 행동 적응은 생리적 적응과 동양(同樣)으로 단기적이지만 개체뿐만 아니라 군 레벨에서도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포유류등 항온동물의 적응은 조절적이고 변온 동물에서는 종합적이고 후자를 순응할 경우도 있다.
-
탐색행동(exploratory behavior)
새로운 환경에 조우한 개체가 주위를 둘러보고 각 감각기로부터 정보를 거두어 들이는 행동을 말한다. 고등 동물일수록 또는 미경험한 약령(어린나이)개체일수록 왕성하게 볼수 있는 것이므로 노는 행동과 매우 대단히 비슷하다.
-
투쟁(fighing)
적대행동의 일종으로 우열순위가 확정되지 않는 개체간, 처음으로 조우한 개체끼리 및 순위가 가까운 개체간등으로 행해지는 머리와 머리를 서로 대고 서로 미는 행동. 육성우등 어린 연령 개체의 군내에서는 노는 행동이 투쟁행동으로 보이고 이것들을 통하여 순위가 확립되어 가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
플레멘(flehmen)
말과 소에서 볼 수 있는 구애행동의 하나. 소와 말 등이 성적인 흥분으로 머리를 쳐들고 윗입술을 치켜 올리는 동작을 말한다. 발정한 암컷의 오줌과 외음부의 냄새를 맡고 발정을 확인하는 수컷의 행동. 수컷은 오줌과 외음부에 비공(鼻孔)을 가까이 대고 흡기(吸氣)를 충분히 들이마시고 머리를 위로 목을 펴고 윗입술을 치켜 올리는 특징적인 자세를 취한다. 그리고 비강(鼻腔)과 구개(口蓋)의 사이에 있는 야콥슨기관으로 암컷이 교배 가능한 상태에 있는가 어떤가를 확인한다.
-
헐떡거림(panting)
발한기능이 약한 동물의 방열반응으로 초기는 엷고 깊은 호흡에 의해 주로 기관, 기관지의 수분을 증산(蒸散)시킨다. 이 운동은 흉낭(胸廊)과 공진(共振)하기 때문에 에너지의 소비는 적고 열생산도 적다. 열성 다호흡은 체온의 상승에 따라 호흡수를 감소시키는 깊은 노력형으로 변화한다.
-
휴식행동(resting behavior)
운동을 중지 또는 적게하고, 피로로부터의 회피 혹은 회복을 위해서 몸의 에너지의 소모를 저감(低減)시키는 상태의 행동. 휴식은 수면을 포함한다. 또 휴식행동에는 선자세로 행하는 경우와 횡와자세로 행하는 경우가 있다. 반추는 소화활동의 일종이지만 동시에 일종의 휴식행동이라도 있으면 풀어 놀 수 있다.
-
흡유행동(suckling behavior)
자우가 유즙을 섭취하는 일련의 행동을 말한다. 인공포유의 경우는 유두부의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와 물통등으로부터 직접 마시게 하는 경우에는 그 행동의 양상(樣相)은 약간 다르다. 인공포유에서 단시간에 필요량이 섭최되어 버리면 자우끼리 서로 ?거나 목책을 핥거나 하는 Intersucking이 보이는 경우도 있다.
-
림프구(lymphocyte)
백혈구의 일종으로 액성 항체의 산생과 세포성 면역 등의 특이적 면역 반응에 관여하는 세포. 골수에서 유래. T세포와 B세포로 분류되고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다. 호중구와 매크로파지(몸안의 이물질이나 노폐물 등을 거두어서 소화하는 대형 아메바 모양의 세포의 총칭. 대식세포)등과 함께 생체의 면역 응답에 중요한 세포.
-
밀어내기(displacement, pushing)
적대행동의 하나로 우열순위의 상위개체가 하위에 나타내는 물리적 공격. 상위개체는 하위개체를 두부이외의 부위로 밀어내고 상위개체를 그 본래의 위치로부터 배제한다.
-
위하,위협(Threat: 위력으로 으르고 협박함)
적대행동의 일종. 의식화한 공격행동이고, 우열순위의 상위 개체가 하위로 나타낸다. 직접 육체적 접촉은 없고 비물리적 적대행동이다. 상위개체는 두부를 쭉 내밀고 안면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우는 것 같은 자세를 취한다. 하위개체는 두부를 숙이고 안면을 지면에 평행하게 펴든가 경부(頸部)측면을 내밀던가 이것들을 행하면서 달아난다. 상위개체의 협박은 그대로 머리박치기로 이행하는 것도 있다.
-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
어떤 동물이 그 본래의 기능과는 일견 무관계로 발현하는 상태. 예를 들면 소가 혀를 쑥 내밀고 공중을 구석구석까지 골고루 ?는 Tongue rolling은 본래는 채식행동이고 자우가 다른 개체의 귀, 코, 목책, 자신의 음부를 흡인(吸引)하는 Intersexing은 본래는 수유행동이다. 이것들은 부적절한 사양환경이 야기한다고 할 수 있다. 더욱 여기에서 말하는 이상행동은 질병과 약물등에 의해 운동실조·장해를 포함하지 않는다.
-
회피(avoidance)
적대행동의 일종으로 우위한 개체에 접근한 것에 깨달은 열위(劣位)한 개체가 우위한 개체가 무언가의 행동을 일으키기 전에 그곳을 떠나는 행동. 도피(逃避)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일도 있지만 엄밀하게는 도피는 개체의 위협(위하)에 의해 그 곳을 달아나는 것을 가르킨다.
-
횡와행동(橫臥行動: lying behavior)
직접 동체(胴體)하부에서 지표면에 가로로 누워 휴식, 수면, 반추등을 행하는 자세를 말한다. 소의 횡와는 전구는 양 앞다리의 바로 위에 있지만 후구(後軀)의 좌우 어느쪽인가에 비틀어진 후지를 가지런히 하여 측방으로 뻗는다. 횡와행동는 일주성의 변화를 나타내고 방사에서는 1일 12∼14시간이다.
-
엽부병(summer blight)
화본과와 두과의 대부분의 목초에게 발생하는 식물병해. 전국 각지에 발생하지만 특히 관동이남의 지방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이른 여름부터 늦은 가을에 걸쳐서 다습시에 현저한 발생을 보이고 목초의 하고의 원인이 된다. 지표에 가까운 부분에서 발병한다. 피해엽은 회 녹색으로 변하고 이윽고 연화하여 익은 것처럼 되고 부패하여 고사한다.
-
경관점액(cervical mucus)
자궁경관내에 존재하는 점액을 자궁경관점액이라부르지만 본점액은 경관분비물만이 아니라자궁내의 분비물도 포함하고 있다. 점액의 성상은 Estrogen과 Progesterone등의 성스테로이드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고 황체기에는 점조농후로 자궁경관을 가로 막고 자궁을 외계로부터 차단하지만 발정기에는 연화(軟化)하여 질 밑에 저류하고 일어나고 앉을 시에 외음부로부터 누출(漏出)한다. 발정기의 점액은 염류의 농도가 높고 슬라이드 글라스(slide glass)에 있어서 건조시키면 독특한 고사리 모양의 결정상이 나타난다. 또 repeat breeder 소의 중에는 경관점액의 정자수용성이 낮은 것도 있다.
-
질(膣: vagina)
암컷의 부생식기의 일부로 전방은 자궁으로 연결되고 후방은 음문으로 밖으로 개구하는 원통상의 기관. 암컷의 교미기관인 동시에 분만때에는 현저하게 확장하여 산도가 된다. 질은 점막의 주름(질막 또는 처녀막이라고 불린다)에 의해 협의의 질과 질전정으로 나누어진다. 질의 길이는 25∼30cm로 내부는 넓고 벽은 두껍다. 질전정에는 요도가 열려 있다.
-
황체(corpus luteum (pl. corpora lutea))
발정종료후의 난소에 볼 수 있고 난포가 파열한 흔적으로 형성된 황색의 구형∼난원형 조직
덩어리, 배란후 대략 7∼8일에서 최대(직경20mm이상)이 되고 난소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부
분의 중앙에 구덩이를 가진 개화기 황체가 된다. 임신하면 임신황체라 부르고 이상태가 지
속하여 분만의 2∼3일전부터 급속히 퇴행하기 시작한다. 분만후는 회백색의 작은 백체가 된
다. 임신하지 않을 경우는 발정황체라 한다. 그대로 위축(萎縮) 퇴행(退行)하여 적갈색의 적
체가 된다. 황체로부터는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이 분비된다.
-
이발정(estrus in gestation, estrus during pregnancy)
임신중에 볼 수 있는 발정으로 임신발정이라고도 한다. 소에서는 임신 35일이내의 초기에 볼 수 있는 것이 많고 발정징후는 약하고 발정기간도 짧은 것이 많다. 임신한 소의 3∼6%로 볼 수 있다. 원인은 난포의 발육에 의한다고 할 수 있지만 배란하는 것은 드물다. 수태불성립에 의한 발정의 재귀와 잘못된 교배와 인공수정이 행해지고 유산등을 초래하는 것도 있다.
-
발정(estrus, estrum, heat)
암컷 동물의 성욕의 발현을 가르키고 수컷을 받아 들이고 교배동작인 승가를 허락하는 상태를 말한다. 정확하게는 수컷의 시험에 의해 판정하지만 통상은 발정기에 특유의 거동과 외음부의 변화에 의해 판정한다. 발정은 난포발육에 따른 에스트로젠(estrogen)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지만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도 일정한 비율로 관여하고 있다.
-
발정기(estrus, estrous stage, estrous phase, estrous period)
성주기중 수컷을 허용하는 시기를 가르킨다. 통상 특징적인 거동의 변화와 외음부의 충혈, 종창(腫脹)등에 의해 발정을 판정하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질검사 혹은 직장검사를 한다. 발정기에는 난포는 급속하게 발육하여 성숙난포가 되고 난소의 표면에 융기(隆起)하게 된다.
-
발정주기의 동기화(estrous synchronization)
한군의 자축에 처치를 행하여 일제히 발정을 유기하는 것. 프로게스테론작용을 가지고 있는 약제를 주사, 경구 매몰(埋沒)등에 의해 투여 혹은 약제를 포함시킨 것을 질내에 삽입한 후 제거하는 방법과 프로스타글란딘(PGF2α) 혹은 그 유연(類緣) 물질을 투여하여 성주기 황체를 일제히 퇴행시키는 방법이지만 최근에는 후자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발정지속기간(duration of estrus)
발정의 시작으로부터 끝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 기간은 발정을 점검하는 방법과 판정기준에 의해 다르고 또 개체차도 있기 때문에 꽤 차이도 있지만 대개 16∼21시간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이 기간은 연령이 나아감에 따라 길어지는 경향이 있고 또 영양상태가 좋은 것은 짧고 나쁜 것은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더욱 계절, 비유등의 요인에도 영향을 받는다.
-
발정징후(estrous sign)
발정한 암컷 동물은 발정기에 특유한 행동상 혹은 외견상의 변화를 타나낸다. 이것들의 변화를 발정징후라고 한다. 소에서는 발정이 가까워지면 눈이 예민해지고 울음소리를 내며 침착성이 없어지게 되고 돌아다니는 것이 많아진다. 또 외음부는 충혈, 종창(腫脹)하고 외음부로부터 투명한 점액을 다량으로 배출하게 된다. 더욱 방목우에서는 다른 자우에게 승가하거나 비비거나 한다.
-
발정회귀(return of estrus, recurrence of estrus)
성숙한 암컷이 정기적으로 발정을 되풀이 하는 것. 임신하면 발정이 회귀하지 않게 되고(non-return이라고 부른다), 임신진단의 한가지 방법이 된다. 또 분만후의 제 1회의 발정을 분만후의 발정회귀라고 하고 빈번히 착유 혹은 포유하고 있는 것으로는 일반적으로 발정회귀가 가 늦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벌정휴지기(diestrus)
성주기의 4구분중에 가장 긴 기간이고 발정후기로부터 다음의 발정전기까지의 대략 13일간이고 발정징후가 보이지 않는 기간을 말한다. 난소에서는 배란의 흔적으로 형성된 황체가 성숙하여 있고 프로게스테론를 왕성하게 분비하고 있다. 자궁경관은 긴축(緊縮)하고 호상(糊狀)의 점액에 의해 막히게 되고 질점막에는 충혈이 보이지 않는다. 이 기간이 마칠 쯤에 황체가 퇴행한다.
-
시정모(試精牡:teaser)
시정모. 암컷 가축의 발정유무. 혹은 교배적기를 판정하는 목적으로 발정강도가 양호한가 어떤가를 조사하기 위해 자축에 접근하는 웅축의 짓. 특히 발정기간이 긴 말에서 잘 이용되고 있다. 또 방목중 자우군과 면양군중에서 발정가축을 발견하기 위해 정관을 결찰하거나 복부에 apron을 장착해 사정할 수 없도록 한 시정모(teaser)도 사용된다.
-
공태(空胎: non-pregnant condition)
준비중임
-
무관혈 거세(無觀血 去勢)
거세적기의 소에서는 무혈거세기(좌절거세기)를 이용하여 정계(精系)와 혈관을 피부의 위에서 좌절(挫折)하는 무관혈 거세가 악영향도 적고 간편하고 소요시간도 짧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생후 2개월까지의 자우(子牛)에서는 고무밴드에 의한 무관혈 거세법도 있다. 또 거세적기와 연령이 된 소에서는 수술 도(刀)에 의해 음낭(陰囊)을 절개하여 정소를 제거하는 관혈거세도 행해지고 있다.
-
무발정 배란(quiet ovuation)
난포성숙기에 외부발정징후를 수반하지 않는채 배란하는 것으로 각 가축에서 꽤 높은 율로 발생한다. 이 경우의 발정을 Silent heat(둔성발정)이라고 한다. 소에서는 성성숙 도달후 혹은 분만후의 초회(初回) 내지 2회째의 배란은 무발정인 것이 많고 난소기능이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일어나는 생리적인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그것 이후의 배란시에 무발정 배란의 경과를 취할 경우는 병적으로 해야한다. → 둔성 발정.
-
무배란발정(anovulatory estrus)
난포가 발육하여 발정징후를 보이는데 배란에 이르지 않고 폐쇄 퇴행하는 것으로 이상 발정의 일종이다. 거짓발정이라고도 한다. 하수체로부터의 성선자극 호르몬(LH와 FSH)의 분비량과 분비시간의 불균형이 원인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주로 난소의 구조상에서 말에게 발생하는데 소에게도 볼 수 있다. 난포의 발육 상태를 조사하여 배란을 유발시키는 처치가 필요하다.
-
무작위 교배(random mating)
번식집단 중 어느 수컷의 개체와 어느 암컷의 개체를 교배시킬 때에 완전히 무작위로 결정하는 교배법.
-
임신진단(pregnancy disgnosis)
교배후 암컷 가축이 임신했는지 어떤지를 알기 위해서 행해지는 진단. 암컷 가축이 임신하면 성주기가 소실하기 때문에 야외에서는 가장 간편한 방법으로서 발정회귀의 유무를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 진단이 행해지고 있다. 수정후의 진단의 시기에 의해 30일-, 60일-, 90일-NR등이라고 부른다. 적중율은 수정후의 일수가 길수록 높지만 발정을 못 보고 마는 등도 있고 정확성은 부족하다. 소에 있어서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직장 검사법이고 직장검사에 의해 자궁내의 태막의 존재를 조사한다. 본법은 임신 40일 이후 진단이 가능하고 적중율도 높다. 최근은 혈중과 우유중의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농도의 측정에 의한 진단법도 개발되고 있고 측정 키트(Kit)도 시판되고 있다. 측정재료는 교배후 20일 전후의 것을 이용하고 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태아를 확인하는 방법이고 초음파 화상 장치를 이용하여 진단을 행한다. 20일 전후에서 진단이 가능하고 적중율은 높다.
-
임신징후(sign of pregnancy)
임신에 의해 모체에게 일어나는 여러 가지의 징후를 말한다. 태아의 존재에 의해 나타나는 징후를 확실한 징후라고 하고 반드시 직접 태아의 존재에 의한 것이 아닌 징후를 불확실 징후라고 한다. 예를 들면 태동이라든가 태아 심음, 태아의 초음파 화상등은 확실한 징후이고 임신이 확실하지만 성주기의 정지와 복부의 팽대(膨大), 유방의 발육등은 불확실 징후이다.
-
핵이식(nuclear transfer)
어떤 세포로부터 핵을 발취하여 사전에 무핵으로 한 세포에게 옮긴 조작을 말한다. Clone개체를 만드는 방법의 하나이다. 소에서는 말수정란의 핵을 미세한 피펫으로 흡출(吸出)하고8∼16세포기배의 할구를 난세포질에 접촉시켜 집합면에 직류펄스를 주어 서로 격리시켜 그 후의 배양으로 배반포에 발육한 배를 이식하고 자우생산에 성공하고 있다.
-
계절분만(seasonal calving)
소는 주년번식동물이므로 분만도 주년(周年)이 된다. 그러나 농업경영상과 사육관리의 문제로 계절분만을 하는 것도 있다. 계절분만을 하는 주요 이유는 유가, 방목초, 사료, 노동력과 기후(우기(雨期)와 건기(乾期), 서열(暑熱), 한냉)등이다. 모든 소를 봄에 분만시키면 하(夏)는 유가가 높고 방목사양을 할 수 있으므로 사료대가 싸진다. 그 밖에도 겨울은 착유작업으로부터 해방된다. 계절번식이라고도 한다.
-
기(귀)태(mole)
태막의 이상의 하나로 융모막이 이상하게 증식하는 것에 의해 발생한다. 태막의 일부가 포상으로 커지고 포도알과 같은 외관을 나타내는 포상기태가 있다. 가축에서는 일반적으로 양성이고 태아만출후에 태막과 함께 배출된다. 원인은 불명확하다. 가축에서는 드물지만 소에서의 보고가 있다.
-
난산 시중듦(dystocia)
분만이 개시됨에도 불구하고 출산까지에 장시간을 요하고 태아가 만출되지 않는 경우의 도움. 태아의 실위, 자궁념전, 과대태아, 중복기형등의 이상이 없는 경우, 도움은 태아의 전지와 두위를 정상위로 한 후 소독한 산과 포승을 양 전지관부에 장착하고 진통에 맞쳐서 모우와 태아의 태축 방향으로 견인(牽引)한다.
-
난산(dystocia)
분만의 경과시간이 지연되고 인공적으로 조산을 하지 않으면 태아의 만출이 곤란 혹은 불가능한 상태를 말한다. 난산의 원인은 태아측(태아의 실위, 과대, 기형)과 모우측(자궁의 실위, 진통 및 산도의 이상)으로 크게 나누게 된다. 처지로서는 그 원인에 따라서 태아실위의 정복, 산도의 확장 또는 절개, 절태술(切胎術) 혹은 제왕절개술(帝王切開術)이 행해진다.
-
동복아(同腹兒: litter mate)
다태 동물로 동일 분만시에 태어난 새끼들. 동산아라고도 한다. 동복아의 수를 한배 산자수라 한다.
-
미경산우(heifer, replacement heifer)
분만을 경험하지 않은 소의 호칭. 경산우와 대조하여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육성이 끝나고 교배후 임신하고 나서 초산분만 전까지의 소를 말하는 경우가 많다.
-
미이라 변성태아(mumification of fetus)
태아가 임신 중기경에 사망한 후 자궁내에 오랜 시간 체류하고 그 사이에 태아, 태수, 태막의 수분이 흡수되어 건조, 위축한 상태를 말한다. 태반에서의 출혈에 의한 혈액 유래의 색소로 태아의 피부는 초콜렛색을 보이고 있다. 원인은 유전, 감염, 제대 염전, 중독등이다. 처치로서는 프로스타글란딘 F2α(PGF2α)주사가 행해지고 있다.
-
번식 적령(breeding age)
번식공용에 적당한 연령. 통상 번식공용개시적령이라고 한다. 가축에서는 성성숙 도래직후에서는 신체의 발육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자축을 이 시점에서 임신시킨 경우는 분만시에 난산을 초래하는 것이 있고 또 자축에서는 성행동과 정액성상이 안정하지 않는 것등을 고려하여 더욱더 적당한 발육시기를 둔 후 실제의 공용를 개시한다. 자우에서는 14개월령, 수컷우에서는 12개월령이 번식공용적령이다.
-
번식검진(repoductive examination)
가축의 건강관리와 번식장해의 방제, 질병의 치료효과를 내기 위해서 적확(的確)한 검사를 행하고 진단을 내리는 것. 축주 또는 가축의 관리자로부터도 개체 내지는 군전체의 사양관리 상태, 번식경력, 병력(病歷)을 청취(聽取)하고 기록을 조사한다. 통상 자우에서는 전신 및 외음부의 시진(視診)·촉진(觸診), 질검사, 직장검사, 생화학검사 등을 행하고 종합적으로 진단한다. 1회의 검사로 판정 곤란한 경우는 수일의 간격을 두고 더욱더 재검사한다.
-
번식기간(breeding season)
번식계절. 번식기. 많은 야생동물은 식물의 입수(入手)가 용이하고 포육에 최고 조건이 좋다. 어떤 특정의 시기(계절)에 분만이 집중하도록 생식활동을 행한다. 말, 면양, 산양, 고양이등이 이것에 해당하고 이와 같은 동물을 계절 번식동물이라고 하고 생식활동의 휴지기를 비번식계절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소, 돼지, 닭등에서는 이와 같은 계절 번식성은 불명료하고 주년 번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
번식능력(reproductive activity)
번식할 수 있는 능력. 즉 다음 세대에 자손을 남길 수 있는 능력. 암컷에서는 발정, 배란, 교배, 수태, 임신유지, 분만, 포유등이라는 일련의 기능을 영위하는 능력. 수컷에서는 수정능력을 가진 정자의 생산과 교미, 사정이 가능한 것이 조건이 된다. 더욱더 가축에서는 조숙성, 다태성, 안산성, 항병성, 포육성, 내용연수, 산자에 미치는 유전형질의 영향등도 번식능력에 관여하는 요인으로서 중시된다.
-
번식률(reproductive efficiency)
번식성적. 교배한 암컷중 임신한 수텃의 비율(수태율) 및 분만모두수에 대한 산자수(생산율)을 말하지만 돼지와 같이 다태동물의 경우는 일복평균산자수로 나타내는 것이 많다. 또 수태까지에 필요한 교배회수(수정회수), 유산·사산, 초생아의 손모(損耗), 분만간격, 내용연수등을 고려한 종합성적에 대해서 가르키는 것도 있다.
-
분만(parturition, delivery, labo(u)r, calving(牛))
태아와 그 부속물이 모체외로 배출되는 것으로 정규의 임신기를 경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정규분만이라고 한다. 분만전 징후로서는 외음부의 종창(腫脹), 골반 인대의 느슨해짐, 유방의 비대 등이 있다. 분만의 경과는 개구기(3∼6시간), 산출기(평균 3시간), 후산기(3∼6시간)의 3기로 나눈다. 초산우와 태아의 태위가 미위의 경우는 태아의 만출이 약간 오래 걸린다.
-
분만간격(birth interval)
분만에서 다음의 분만까지의 간격을 말한다. 소에서는 분만후의 초회발정일수는 30∼50일이고 자궁의 수복기간 및 건유기간을 고려하여 분만후 85일이내 수태를 꾀하면 경제적으로 가장 효율적인 1년 1산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발정회귀의 지연, 저수태율, 난소·자궁질환에 의한 번식장해의 발생 등에 의해 현재의 일본 유우의 분만간격은 400일전후가 되고 있다.
-
분만지연(delayed birth)
장기재태. 동물은 그 종류, 품종, 계통에 의해 거의 일정한 범위의 임신기간(소280일, 말 335일, 면양·산양 150일, 돼지 114일)을 가지는데 정규의 범위를 현저하게 넘어서 분만이 지연될 경우을 분만지연이라고 한다. 태아의 측에서는 이것을 장기재태라고 하며 재태일수가 소에서 300일, 말에서 350일을 넘을 경우에 해당된다. 원인은 모체측과 태아측의 양자가 있지만 유전적 요인의 관여도 알려져 있다.
-
신생송아지(new born calf)
분만직후의 자우. 모우의 체내로부터 외계로 생존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자우 자체도 저항력은 약하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잘 적응시키도록 사양관리가 필요하다. 초유를 조기에 충분히 먹이는 동시에 그 후의 포유에도 유의한다. 또 축사의 위생, 환기, 건조한 상면(床面)등 환경으로의 배려도 중요하다.
-
악로(惡露: lochia)
분만후의 산욕(産褥)시에 자궁, 질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의 것으로 자궁 내막의 분비액, 혈액, 태막, 태반조직등의 변성분해물의 혼합인 것. 처음은 적갈색∼초콜렛색을 보이지만 다음 차례에 투명한 glass(유리)성 점액이 되고 이것으로 회백색의 서상(솜모양)의 물질이 혼입하여 양도 감소하고 드디어 소실한다.
-
양수(amniotic fluid)
태막중에 첫 번째 내측에 있는 양막낭을 가득 채운 액으로 요막낭을 가득 채운 요막수와 합쳐서 태수라고 한다. 태아는 양수중에 부유하고 외계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분만시에는 자궁 경관의 확장을 돕고 양수의 유출(제 2파수라고 부른다)에 의해 산도를 끈쩍 끈쩍하고 미끄럽게 하여 태아의 만출을 용이하게 한다.
-
양수과다증(hydroamnion)
태내막에 다량의 양수(羊水)와 요수가 이상하게 저류된 상태. 양막(羊膜)과 요막(尿膜)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비후(肥厚)하여 실제의 임신월수 이상으로 복위가 팽대하다. 태수가 이상하게 증량한 것을 태막 수종(水腫)이라 총칭하고 양수가 증량한 것은 양막수종이라고 한다. 원인은 불명. 아카바테병에 의한 기형 태아의 임신우에게 보이는 것도 있다. 경증의 예로는 분만에 영향이 없는 것도 있지만 분만 유발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중증의 예로 예후 불량이 된다.
-
위임신(pseudopregnancy)
배란후의 황체가 불임의 경우에 있더라도 임신과 거의 동일기간 지속하고 기능을 영위하고 유선, 자궁에 황체상 혹은 임신하고 있는 것과 같은 모양의 변화가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위임신(거짓임신)의 경우의 황체를 거짓임신황체라고 하고 일반적으로 임신황체보다도 형상이 작다. 개, 고양이, 토끼, 쥐등에 보인다.
-
유산(abortion)
태아가 모체 밖으로 살아 나올 수 있는 능력을 몸에 지니기 전에 살은채로 혹은 죽어서 만출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태아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기에 달한 것을 가르키고 소에서는 8개월전의 것을 말한다. 세균, 바이러스, 원충의 감염에 의한 감염성 유산과 감염에 의하지 않는 산발성 혹은 돌발성 유산이 있다.
-
유산(abortion)
태아가 모체 밖으로 살아 나올 수 있는 능력을 몸에 지니기 전에 살은채로 혹은 죽어서 만출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태아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크기에 달한 것을 가르키고 소에서는 8개월전의 것을 말한다. 세균, 바이러스, 원충의 감염에 의한 감염성 유산과 감염에 의하지 않는 산발성 혹은 돌발성 유산이 있다.
-
유산율(rate of abortion)
임신한 총두수에 대한 그 중의 유산한 두수의 백분율을 말하며 유산의 발생 상황을 아는 목표가 된다. 임신 조기의 유산은 못 보는 것이 많고 유산율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본에 있어서 최근 조사료는 유우가 2.5%, 육우가 1.7%라고 말할 수 있다
-
유산율(rate of abortion)
임신한 총두수에 대한 그 중의 유산한 두수의 백분율을 말하며 유산의 발생 상황을 아는 목표가 된다. 임신 조기의 유산은 못 보는 것이 많고 유산율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본에 있어서 최근 조사료는 유우가 2.5%, 육우가 1.7%라고 말할 수 있다.
-
임신기간(gestation length)
최종의 교배 혹은 정액일로부터 분만까지의 일수. 임신기간은 가축의 종류, 품질에 의해서 거의 일정한 범위에 있고 소에서는 대강 280∼283일, 말은 335∼338일, 돼지는 112∼115일, 면양은 144∼153일, 산양은 150∼155일이다. 소에서는 유우에 비하여 육우의 쪽이 길고 태아가 수컷일 경우에는 암컷에 비하여 1∼2일 길다. 또 쌍태의 경우에는 3∼6일 짧다.
-
제왕절개(帝王切開: cesarean section)
분만할 즈음해서 태아를 산도로부터 인출(引出)할 수 없을 경우에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구출하고 모우도 구조하는 방법. 태아 잘못된 위치의 정복(整腹)이 불가능한 경우, 과대 태아, 기형태아, 기종태, 자궁염전, 골반협착, 진통 미약등의 경우에 행해진다.
-
제왕절개수술(帝王切開手術: caesarean operation)
임신하고 있는 모우의 선천적인 산도 협착, 심한 정도의 자궁염전, 과대태아, 정복곤란한 태아 실위(失位), 태아의 기형 등으로 정상인 분만이 불가능한 경우에 모우의 자궁을 절개하여 태아를 적출(摘出)하는 수술.
-
조기 검진(early check)
조기 검진. 분만후의 자축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 자우에서는 1회째의 검사는 분만후 25일경에 자궁의 수복(修復) 상황 및 악로(惡露)의 좋고 나쁨을 비교한다. 자궁수복이 불량하고 혹은 악로(惡露)와 농즙(濃汁)의 배출을 알 경우는 치료한다. 2회째는 45일전후에 행동, 발정회귀상태와 난소활동등에 대해서 검사하고 건강관리의 적정화(滴定化)를 나타낸다.
-
태막(fetal membrane)
태아를 둘러싸고 보호하며 태아와 모체사이를 연락하는 막. 외측으로 융모막(맥락막), 내측에 양막이 있고 이 2중막 사이에 요막이 대상으로 되어 있다. 융모막은 태반을 개재하여 태아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양막은 양수를 가득 채우고 그 중에 직접 태아를 넣고 요막은 요막수를 가득 채우고 태아의 방광과 연결되어 있다. 요막중에도 암갈색의 덩어리가 보이는 것이 있고 태병이라고 불리고 있다.
-
태막수종(Dropsy of fetal membrane)
태막강내에 다량의 태수가 저류하는 것을 말한다. 양막수종과 요막수종이 있다. 양막수종은 유전적 혹은 선천적 이상 태아에 따라 보인다. 본증의 모우의 복부는 쌍태와 삼태임신을 의심하게 할 만큼 팽만해 있고 중증의 예로는 기립불능이 된다. 모우를 구조하기 위해서 인공유산 처리가 행해지지만 요막수종에서는 일반적으로 예후는 좋지 않다.
-
태반(placenta. (pl)placentae)
태아측의 융모막과 모체의 자궁점막이 밀착한 부분에 생기는 특수한 조직을 말하며 모체측에 생기는 것을 모태반, 태아특의 것을 태아태반이라고 부른다. 후자는 분만후에 후산으로서 배출된다. 여기에서는 태아의 발육에 필요한 물질, 혹은 노폐물의 교환이 행해지는 것외에 임신의 유지, 분만과 비유의 준비를 위한 여러 가지의 호르몬이 분비된다. 소의 태반은 볼록한 상태로 융기하여 80∼120개가 생기기 때문에 다태반 혹은 궁부성 태반이라고 불린다.
-
태반정체(retenion of placenta)
소의 정상분만에서는 태아 만출후 6∼8시간이내에 태아 태막·태반이 배출되지만 12시간을 경과하더라도 배출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쌍자 만출, 난산 혹은 분만을 유기할 경우에 발생빈도가 높다. 처치로서는 태아 만출후 4∼5일에 손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 태아 태반과 모태반을 박리하여 배제한 후 항균성 약제를 자궁내에 삽입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
태변(胎便: meconium = 배내똥, 태시, 산분)
출생후의 자축이 최초에 배설하는 분변. 모축의 태내에 있는 시기의 소화관내 잔사의 것으로 태변이라고 한다. 그 외관, 성상은 그 후의 분과 다르고 검은 빛을 띄는 녹색으로 점성이 있다. 태변이 배설되는 것은 출생후 1∼2일 상이에 포유하는 초유의 양과 방법에 의해 다르다. 태변이 배설되기까지의 시간은 초유중의 면역글로블린을 흡수할 수 있는 시간과 거의 동일하다.
-
태세(胎勢: attitude)
자궁내에서의 태아의 자세를 나타내는 것으로 태아의 몸에 대한 머리와 사지의 관계를 말한다. 임신말기의 태아는 등을 구부린 자세이고 머리와 사지를 복측(배쪽)으로 굴곡해 있다. 문만시에는 전지(앞다리)를 펴고 그 위에 머리를 얹고 만출된다.
-
태아(fetus: foetus)
수정란이 발육하여 입, 얼굴, 귀등 몸의 각 기관과 사지가 각 동물종에 특유한 외형의 윤곽을 나타나게 될 때부터 출생에 이르기까지의 것을 말한다. 소에서는 임신 2개월 이후의 것을 가르킨다. 태아의 체장에서부터 임신 월령을 추정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머리, 꼬리길이가 이용되고 있다. 태아의 발육은 임신 전반에는 완만하지만 후반이 되면 급속하게 진행된다.
-
태아침지(maceration of fetus)
태아가 자궁내에서 사망하고 부패균의 작용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융해하고 점조한 크림상태의 액과 골격이 자궁내에 잔유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발생초기에는 자궁경관은 폐쇄하고 있지만 시일의 경과에 따라서 느슨해져 세균이 침입하고 태아(胎兒)의 부패가 일어난다. 영구황체를 수반하기 때문에 발정을 보이지 않는다. 태아의 골편(骨片)을 완전히 꺼내기 위해서는 개복수술(開腹手術: operation on the abdomen)이 행해진다.
-
태위(胎位: presentation)
자궁내에서의 태아 몸의 종축(縱軸)과 모체의 종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서로 평행할 때는 종위(縱位), 교차할 때는 횡위(橫位) 또는 사위(斜位)라고 한다. 종위의 경우 태아의 머리가 산도(골반입구)로 향한 것을 두위(頭位), 엉덩이가 산도로 향한 것을 미위(尾位)라고 한다. 임신 말기우에서는 팽대한 위가 압박되고 태아는 바른 종위를 취하지 않고 간신히 사위를 취하며 두위의 것이 많다.
-
태향(胎向: Position)
자궁내에서의 태아의 등과 모체의 등,배의 위치관계를 말한다. 태아의 등(背)이 모체의 등으로 향하는 것을 상태향, 모체의 하복(下腹)으로 향하는 것을 하태향, 횡복(가로배)으로 향하는 것을 측태향이라고 한다. 임신말기우에서는 제 1위 때문에 태아의 등이 모체의 우복(오른쪽 배)에 가까운 측태향을 보이지만 분만직전에 태향을 바꾸어 상태향으로 되어 만출된다.
-
파수(破水: rupture of bag)
분만할 때 진통에 의해 포상으로 팽팽한 태막이 음문밖으로 인두대로 돌출하고(태포라고 부른다) 파열에 의한 요막수의 유출을 제 1파수, 양막의 파열에 의한 것을 제 2파수라고 하지만 소에서는 종종 동시에 일어나는 것이 있다. 파수에 의해 산도를 미끄럽게 하고 태아의 만출이 용이하게 된다.
-
후산(after birth)
태아 만출후에 배출된 태막의 것. 태아의 만출에 의해 태반으로의 혈액이 정지하기 때문에 융모는 위축하고 후산기 진통에 의한 자궁수축에 의해 모자태반은 후산으로서 배출된다. 소에서는 자궁소구에 근섬유가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수축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산 배출에 시간을 요하고 분만후 12시간 이내에 배출하지 않는 것을 후산정체(태반정체)라고 한다.
-
후산(after birth)
태아 만출후에 배출된 태막의 것. 태아의 만출에 의해 태반으로의 혈액이 정지하기 때문에 융모는 위축하고 후산기 진통에 의한 자궁수축에 의해 모자태반은 후산으로서 배출된다. 소에서는 자궁소구에 근섬유가 분포되어 있지 않아서 수축하기 어렵기 때문에 후산 배출에 시간을 요하고 분만후 12시간 이내에 배출하지 않는 것을 후산정체(태반정체)라고 한다.
-
후산정체(retention of placenta)
태반정체
-
하계불임증(summer sterility)
하계의 고온다습환경하에서 일차적으로 수컷의 조정기능이 저하하여 정액성상이 불량하게 되고 수태성적이 저하하는 현상, 주로 종자우에서 문제가 되고 돼지, 면양, 양등에도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외기온이 30℃를 넘는 날이 지속되면 발생하고 정자수의 감소, 정자활력의 저하, 기형정자의 증가, 성욕의 감퇴를 나타낸다. 사양환경온도를 25℃이하로 하든가. 음낭에 물을 뿌려 냉각하는 등의 대책을 취할 수 있다.
-
경관겸자법(頸管鉗子法: Cervical forceps method)
인공수정의 방법중 하나. 질경에서 질을 열어 경관겸자를 삽입하여 자궁질부의 좌상쪽을 좁혀 다음으로 질경과 함께 겸자를 당겨 자궁질부을 가능한 한 외음부근처까지 가까이 끌어당겨 정액주입기의 취관부를 자궁경관의 심부 또는 자궁체내까지 삽입하여 정액을 주입한다. 질, 자궁경부의 상태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
공란(배)우(donor)
수정란 채취를 위해서 이용되는 암컷소. 이식을 위한 수정란(배)를 제공하는 소로 일반적으로는 유전적인 능력은 떨어지고 일정의 질병과 유전적 불량형질이 없는 우량우가 선택되고 수정란채취를 위한 과배란 처리(호르몬투여)와 자궁세정등이 행해지고 있다.
-
공태(non-pregnant condition, open cow)
비임신상태. 공태. 성자우에서 임신하지 않는 것의 총칭. 공태에는 생리적 공태(분만후 3개월이내의 것), 병적 공태(발정이상과 생식기질환으로 종부할 수 없다. 혹은 종부하여도 수태하지 않는 성우), 인위적공태(축주의 경우에 의해 고의로 종부하지 않는 것)이 있다.
-
과배란(superovulation)
과잉배란이라고도 한다. 동물에 호르몬을 투여하고 자연상태에서의 배란수를 증가시켜 배란시키는 것. 단태동물의 소에서는 배란수는 통상 1개이지만 과배란 처리에 의해 배란수는 수개∼30개에나 미친다. 사용되는 호르몬은 일반적으로 하수체의 조유출제제, PMSG, hCG등이지만 최근은 하수체로부터 유출된 정제 FSH제제도 이용되고 있다. 최근 수정란(배)이식의 보급에 따라 공란(배)우로부터 다수의 수정란을 회수하기 위해 본처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과임신(super pregnancy)
동기복임신. 동일발정기에 복수배란하여 다른 웅친의 정자에 의해 복수의 태아를 수태하고 있는 것. 첫발정기에 2개 이상배란하고 발정기가 길어 복수의 수컷과 교비를 행한 개에서는 드물게 볼 수 있다. 소에서는 인공수정후 배수정란이식
-
동결난자(frozen ovum(embryo)
액체질소중에 보존된 배. 소에서는 최근의 기술적 개선이 진행되고 신선배와 동결배의 이식에 의한 수태성적은 차이가 없어지는 중이므로 총이식 두수의 약 75%는 동결 배이식이 되고 있다. 반영구적인 보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소의 배(胚) 유통시장, 특히 국제적인 수출입의 수단으로서 유효하다. 희소품종의 유전자원보존에도 활용되는 중이다.
-
동결정액(frozen semen)
일반적으로는 액체 질소증기(-196℃)중에서 동결된 정액을 말한다. 동결정액의 보존은 액체 질소중에서 행해지고 20년이상 보존되는 정액이라도 수태율의 저하는 없고 196℃하에서는 반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정액은 동결용 희석액으로 희석후 0.5 또는 0.25ml의 플라스틱 스트로로 밀봉하여 동결된다.
-
둔성발정(silent heat)
난포(卵胞)의 발육(發育), 배란(排卵), 황체(黃體) 형성은 주기적으로 일어나고 성주기는 정상적이지만 황체의 퇴행(退行) 및 난포의 발육에 따라 발정(發情) 징후가 완전히 발현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의 배란을 무발정 배란이라고 한다. 분만(分娩)후 1∼2회째의 배란시에 많이 보인다. 무발정 때문에 수정할 수 없고 공태(空胎) 기간의 연장을 초래한다. 치료에는 PGF2α의 주사가 행해지고 있다.
-
모성효과(maternal effect)
표현형값에 미치는 모체의 영향으로 모체효과라고도 한다. 생시체중은 태내 환경에 강하게 영향을 받고 있고 육용우와 돼지의 이유시 체중은 수유(授乳)를 통해서 모체의 영향을 받고 있다. 모체의 영향은 분만후와 이유후도 당분간 계속되기 때문에 그 사이의 측정형질로는 모성효과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특히 쌍자의 경우는 보통의 태내 환경에서 자란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발육(growth)
난자가 수정하여 발생을 개시한 시점으로부터 성축에 이르는 과정의 몸 크기의 증가(양적증가, 성장)과 체의 구성, 기능의 변화(질적변화, 발달·분화)를 맞쳐 발육이라고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체크기의 증가를 중심으로서 성장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하는 것도 많다. 또 발육을 질적변화로 한정하여 정의하는 사람도 있다.
-
배(胚: embryo)
개체발생의 초기단계로 난할로부터 각 기관의 원기(原基)가 분화하기까지의 것을 가르키고 기관이 형성된 태아와는 구별된다. 수정난(배)이식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자와 난자가 합체융합하여 생기는 수정난 더욱더 그것보다도 발생이 나아간 상실배(桑實胚), 배반포, 확장(擴張) 혹은 신장한 배반포까지의 단계를 가르키는 것이 많다.
-
배간세포(embryonic stem cell)
ES세포라고 약칭된다. 초기배에 유래되고 체외 배양에도 미분화한 상태에서 증식하고 동결 보존도 가능하다. 생식 세포를 포함하는 대부분의 모든 정상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래 유전자를 도입한 형질 전환 물질을 효율적으로 만드는 데 이용할 수 있다. Mouse에서 ES세포는 수립(樹立)되고 있다. 가축을 포함하여 타의 동물에서는 아직 수립되어 있지 않다.
-
배란(ovulation)
성숙난포가 파열하고 난자가 난포 밖으로 배출되는 것. 배란은 발정종료후 10∼14시간에 일어나고 직장검사에 의해 그 시기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 배란의 수는 한번 발정에 통상 1개이지만 드물게 2개 혹은 그것 이상의 것도 있다. 또 오른쪽(右)의 난소로부터 배란빈도는 왼쪽의 그것보다도 약간 높은 경향이 있다. 배란은 성선자극호르몬, 특히 황체형성호르몬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
배란기(ovulation phase)
부인과학에서 통상 이용되는 용어로 기초체온이 저온상으로부터 고온상으로 이행하는 시기를 말하고 가축에서는 발정기가 이것에 해당한다. 소에서는 발정기에 외견상 특징적인 변화가 있고 또 직장검사에 의해 배란의 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지만 인간에서는 발정기에 해당하는 시기가 판별하기 어렵고 배란일을 추정하기 위한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서 기초체온을 측정하고 있다.
-
배란지연(delayed ovulation)
난포가 발육하여 성숙난포의 크기에 이르러 오래 존속하든가 혹은 난포의 발육, 퇴행을 되풀이하여 결국 배란하지만 배란까지에 장시일을 요하는 것을 말한다. 발정이 3∼5일 또는 그것이상 계속되고 수정적기의 파악이 곤란하기 때문에 수정하여도 불수태로 끝나는 것이 많다. 치료로는 배란유기 호르몬제제 투여 후에 수정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
배란확인(confirmation of ovulation)
성숙난포의 난포벽이 파열하고 난자가 난소외로 방출되는 현상을 배란이라고 하고 대가축에서는 직장검사에 의한 난포의 촉진(觸診) 혹은 초음파 화상진단에 의한 난포의 형상 변화로부터 배란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때로는 배란후 수시간의 사이에 난포벽으로부터의 출혈등에 의해 난포강이 가득 차게 되기 때문에 관찰의 시기를 벗어나면 배란의 유무의 확인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 있다.
-
배반포(blastocyst)
상실배(桑實胚)로 이어지는 배의 발육으로 집괴(集塊)내로 포배강을 인지한 시점에서부터 초기배반포를 말한다. 강의 확대와 함께 영양막이 위란강내에 얇게 펴지고 내부 세포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배반포, 그 후에 포배강의 확장이 되면서 배의 외경이 커지게 되는 것을 확장 배반포, 더욱 투명대의 균열로부터 탈출한 것을 탈출 배반포라고 한다. 소에서는 발정후 6.5∼8일째의 배로 배이식에 적당하다.
-
배사망(embryonic death, embryonic loss)
배아가 사멸하는 것으로 배사멸 혹은 배아 사망이라고도 한다. 많게는 착상전 혹은 그 직전에 발생하고(배조기사망이라고 부른다), 사망한 배는 일반적으로 흡수된다. 이 원인으로는 자궁의 경도(輕度)의 세균감염,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의 부족, 난자, 정자, 배의 선천적 혹은 후천적 이상등이 있다. 배조기사망은 Repeat breeder에 있어서 수태장해의 원인중 하나가 되고 있다.
-
배의 이분할(bisection of embryo)
초기배를 현미경 조작에 의해 2개로 분리하는 것. 소에서는 상실배, 배반포, 탈출배반포등의 초기배를 금속칼, 유리침등으로 절단하고 반절 배를 각각 이식하고 일란성 쌍생아를 생산할 수 있다. 배반포에서는 내부 세포덩어리를 2등분할 필요가 있다. 일란성 쌍생아의 생산 성공률은 아직 낮고 본 기술은 고가인 배의 유효이용목적으로 응용되고 있다.
-
배조작(embryo manipulation)
광의로는 체외에 있어서 배의 배양과 보존, 난자의 체외 수정등의 조작의 모든 것을 포함한다. 협의로는 현미경하에서의 배와 난자에 대한 조작을 가르키고 현미경 조작이라고도 한다. 배의 성판별, 이분할, 핵이식 등은 배이식에 의한 산자의 자웅(雌雄)생산을 구분하고 k일란성 쌍생아·다생아(clone개체)의 만들어 내는 것에 관계가 있고 새로운 자우생산기술로서 주목되고 있다.
AA
-
사람(인)융모성 성선자극호르몬(human chorionic gonadotrop(h)in: hCG)
임신초기의 부인의 오줌속에 출현하는 성선자극호르몬. 태반융모의 영양세포로부터 분비된
다. 분자량은 약 36,000의 당단백이고 생리학적 작용은 LH와 거의 동일하다. 즉 성숙산 난
포에 작용하여 배란을 유기하고 황체 자극작용을 나타낸다.
-
시정모(試精牡:teaser)
시정모. 암컷 가축의 발정유무. 혹은 교배적기를 판정하는 목적으로 발정강도가 양호한가 어떤가를 조사하기 위해 자축에 접근하는 웅축의 짓. 특히 발정기간이 긴 말에서 잘 이용되고 있다. 또 방목중 자우군과 면양군중에서 발정가축을 발견하기 위해 정관을 결찰하거나 복부에 apron을 장착해 사정할 수 없도록 한 시정모(teaser)도 사용된다.
-
유기다태(induced multiple pregnancy)
인공적인 방법에 의해 쌍자우를 생산하는 기술중 수정란 이식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하수체성 난포자극 호르몬(FSH)와 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PMSG)등의 약제를 투여하고 난소에 1번에 2개이상의 난포를 발육시키고 발정시에 종부를 하는 것에 의해 쌍자를 생산하는 기술. 호르몬 작용의 제어가 어렵고 아직 안정적으로 쌍자를 생산하기까지에 이르고 있지는 않다. 2개 배란시키기 위해 스테로이드 호르몬등의 이용과 초음파 화상진단기를 이용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
이란성 쌍생아(dizygotic twin)
쌍자 중 2개의 수정란으로부터 발육한 태아가 만출되는 경우를 말한다. 태막은 각각 따로 따로이고 태아는 유전적으로 다르다. 자연발생의 2란성 쌍자의 경우는 발정시에 2개의 난이 배란되고 각각 수정·착상하여 발육하지만 근래는 수정란(배)이식에 의해 2개의 수정란을 이식하여 인공적으로 2란성쌍생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2란성 쌍생아가 동성의 경우에는 문제는 없지만 자웅이성의 경우에는 프리마친이되고 암컷은 성숙후 불임이 되는 것이 많다.
-
저수태(Repeat breeder)
성주기가 정상 또는 거의 정상으로 영위되고 임상 검사 소견으로도 난소와 부생식기에 특히 이상을 인지할 수 없는 암컷 가축으로 번식기능이 정상인 수컷과 소에서는 3회 이상, 돼지에서는 2회 이상의 교배 내지는 인공수정을 행하여도 수태되지 않고 또한 교배후의 발정이 거의 정상으로 회귀하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 해부학적 이상, 수정 장해, 배의 조기사멸, 내분비 장해 등이 고려되고 있다.
-
저수태(Repeat breeder)
성주기가 정상 또는 거의 정상으로 영위되고 임상 검사 소견으로도 난소와 부생식기에 특히 이상을 인지할 수 없는 암컷 가축으로 번식기능이 정상인 수컷과 소에서는 3회 이상, 돼지에서는 2회 이상의 교배 내지는 인공수정을 행하여도 수태되지 않고 또한 교배후의 발정이 거의 정상으로 회귀하는 것을 말한다. 원인으로서 해부학적 이상, 수정 장해, 배의 조기사멸, 내분비 장해 등이 고려되고 있다.
-
직장질법(recto-vaginal method)
소의 인공수정법의 하나. 사전에 정액 주입기를 질내에 삽입해 두고 한쪽의 손을 직장내에 넣어 직장벽을 통하여 자궁경관을 파악하면 주입기를 경관내로 유도(誘導)하여 경관심부 또는 자궁내에 정액을 주입한다. 이 방법은 경관 겸자법보다 심부에 정액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수태율도 우수하다.
-
착상(Implantation, nidation)
수정란이 자궁내로 내려가고 자궁벽의 일정 부위에 정착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임신 1개월 경에 배자를 둘러 싼 막과 모체의 자궁소구와의 사이에 최초로 접착이 보이고 수일에 배는 모체와 긴밀하게 접합하고 모체로부터 영양을 받게 된다. 소에서는 배가 자궁강의 중앙에 넓어져서 착상하기 때문에 중심착상이라 불리고 있다. 착상 과정으로는 난소 호르몬이 관계하고 있다.
-
체외수정(In vitro fertilization: IVF)
난자와 정자를 체외에서 배양하여 수정시키는 것. 소에서는 체외배양에 의한 난자의 성숙, 수정, 수정후의 초기배 발생이 가능하게 되고 이것들을 포괄하여 체외 수정기술이라고 한다. 도축시의 난소와 동결정액을 재료로 하여 배양으로 배이식 가능한 발육배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저비용화에 관계가 있고 주로 화우배 생산에 활용되기 시작했다.
-
프로게스테론(progesterone)
자궁내막에 착상성 증식을 일으키는 물질을 총징하여 황체호르몬(Progestine)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것으로서 프로게스테론이 있다. 주로 황체로부터 또는 동물에 의해서는 태반으로부터도 분비된다. 주로 생리작용은 수정난 착상을 위한 준비 외에 자궁운동의 억제, 자궁경관의 긴축(緊縮), 임신유지, 유선포계의 발육,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조절 등이 있다.
-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s, PGs)은 어떤 특정 조직에서 분비되는 것이 아니고 신체의 여러 국소조직에서 생성되고 작용범위도 다른 호르몬들에 비하여 생성조직을 중심으로 좁기 때문에 조직호르몬(tissue hormones)이라고도 불린다. PGs는 사이클로펜탄환(cyclopentane ring)을 갖고 있고 탄소수 20개의 불포화 지방산의 형태이며 필수지방산인 아라키도닉 산이 PGs의 전구물질이다. 여러 가지 종류의 PGs중 번식과 관련이 밀접한 것은 프로스타글란딘F2α(PGF2α)와 프로스타글란딘 E2(PGE2)이다. PGs의 생합성 저해제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을 처리하면 소와 면양에서 LH의 방출은 영향을 받지않는데 배란이 차단되는 것으로 미루어 PGs는 배란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PGE2는 자궁이완에 관여하고 혈관을 팽창시키나 황체퇴행(luteolysis)기능은 없다. 그리고 PGF2α는 배란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반면에 PGF2α는 자궁수축을 자극하고 혈관을 수축시키며 황체퇴행 작용을 한다. 암컷이 임신을 하면 자궁으로부터 PGF2α는 소와 면양에서는 배란후 5일, 돼지의 경우 12일까지는 황체퇴행을 유기하지 않다가 그 이후에 황체퇴행 작용을 한다. 가축에서 에스트로젠의 증가는 PGF2α의 합성과 방출을 증가시킨다. 그리고 PGF2α는 소와 면, 산양에서 발정주기동기화(synchronization of estrus) 또는 유산유기에 사용된다.
-
프리마친(freemartin)
프리마친(freemartin)
소의 이성 다태에서는 암컷 태아와 수컷 태아가 상호간에 태생기의 초기에 태막혈관이 문합
(吻合)하는 일이 많고 혈액의 교류가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수컷 태아의 90%이상으로 생식
기의 분화가 정상으로 되지 않게 되고 불임이 된다. 이와 같은 개체를 프리마친이라고 한다.
원인은 수컷 태아의 호르몬 작용설과 세포이동설 혹은 Y염색체상의 웅성 결정 유도물질인
H-Y항원이 관여하고 있다라고 하는 설이 있다.
-
일란성 쌍생아(一卵性雙生兒: mono zygotic twin)
쌍자중 1개의 수정란이 개체발생의 도중에 2개로 분할하여 2개체로 되어 태어나온 것. 본래 두개체는 1개의 수정란에서 유래한 것이기 때문에 가지고 있는 유전자는 동일하다. 따라서 2개체라도 외모(外貌)초기 여러 가지 형질이 대단히 닮고 있다. 최근에는 1개의 수정란을 인공적으로 2개로 분할하여 수정란(배) 이식으로 인해 일란성 쌍생아를 만들어 내는 것도 가능하다.
-
이기복 임신(異期腹 妊娠:Superfetation)
과수태. 이미 임신하고 있는 동물이 시기를 달리하여 배란하고 웅친(雄親) 혹은 태령(胎齡)이 다른 복수의 태아를 동시에 임신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고양이에서 종종 볼 수 있고 드물게 소, 말, 돼지에서의 보고가 있다. 시기를 달리하여 정상 발육송아지 복수분만, 혹은 동일시 예로 정상발육아와 미숙아가 태어난 예가 있다. 동일 발정기에 복수배란하여 다른 웅친의 정자에서 수태하고 있는 것을 동시복 임신이라고 한다.
-
과비우중후군(fat cow syndrome)
건유기에 과비 상태를 도모하는 유우가 분만후에 유열, 태반정체, 유방염 및 제4위변위등의 후산질병을 병발(倂發)하는 증후군, 이것들의 소에서는 고도의 지방간을 수반하고 식욕부진과 유량감소등의 중독된 임상증상을 나타내어 급속히 여위게 되고 분만후의 번식성적도 저하하는 것이 많다. 예방대책으로서는 비유후기에서 건유기에 있어서의 과잉한 사료급여를 피하는 것이 중요.
-
기종태(emphy sematous fetus)
태아가 자궁내에 사망하고 부패균의 오염에 의해 피하 및 내장에 가스를 축적하고 산도를 통과하기 어려워 지는 만큼 팽창하는 것을 말한다. 모우는 식욕이 없어지고 체온은 상승하고 중독증상을 도모하고 음문부터 적갈색의 악취가 있는 불결한 누출물을 배설한다. 태아를 산도부터 적출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절태술(切胎術) 또는 제왕절개술(帝王切開術)이 행해지고 있다.
-
번식장해(breeding disorder)
일시적 혹은 지속적으로 번식이 정지 또는 장해되는 상태를 말한다. 원인은 사양관리의 실의, 영양장해, 유전적 결함, 감염병, 전신성 질환, 교배의 실의등 지극히 다기(多岐)에 미친다. 더욱더 생식기의 이상 및 질환에 기초를 둔 것을 불임증, 배와 태아의 단계로 사망하고 흡수 또는 유산하는 것을 불육증과 구별하는 것이 있다.
-
불임증(sterility)
번식장해중 생식기의 이상 및 질환에 의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불임증 중 프리마친와 같
은 생식기의 기형이상, 내측성의 난소 폐쇄에의한 생식기의 결함에 의해 완전히 임신의 가
능성이 없는 것을 절대적 불임증, 난포발육장해, 자궁내막염 등에 의해 일시적으로 임신의
성립이 방해되고 있는 상태의 것을 상대적 불임증이라고 한다.
-
황체(黃體)유잔(retention of corpus luteum)
임신하고 있지 않은데도 난소에 황체가 오래 존속하는 상태를 말하고 그와 같은 황체를 영구황체라한다. 황체호르몬의 분비가 지속하기 위해 변성태아, 태아침지가 존재하거나 농, 점액등이 저유하고 있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치료로는 프로스타글란딘 F2α(prostaglandin F2α)의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
황체낭종(luteal cyst)
발육한 난포가 배란하지 않고 난포벽의 일부 또는 전면이 황체화한 것으로 중심부에 강이 있어 내용액을 저유하고 오래 존속하는 것을 말한다.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난포낭종으로 병발(倂發)하고 있는 것이 많다. 난포의 발육이 억제되기 때문에 무발정의 상태가 지속된다. 치료에는 Prostagladin F2α의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Thyrotropin releasing hormone, TRH)
갑상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의 갑상선자극호르몬(TSH)의 방출을 조절하며 소에서는 프로랙틴의 방출도 유도한다.
-
갑상선자극호르몬(TSH)
갑상선자극호르몬은 LH와 같이 화학적 본태는 당단백질로서 소의 경우 분자량은 26,000이다. TSH는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호르몬(thyroxine)의 분비를 조절하는데 이 갑사선호르몬은 대사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고있기 때문에 번식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임신시 태아의 발달에도 영향을 미친다.
-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 stimulating hormone: FSH)
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일종. 암컷에서는 난소중의 소난포에 작용하고 발육을 촉진한다. 수컷에서는 정세관에 작용하여 정자형성과정의 전단개를 촉진한다., 돼지의 하수체로부터의 추출정체표품이 시판되고 이용되고 있다.
-
릴랙신(relaxin)
릴랙신은 난소에서 분비되지만 스테로이드호르몬이 아니고 분자량이 5,700인 폴리펩타이드로 인슐린과 구조가 비슷하나 기능은 다르다. 릴랙신은 임신기간중 주로 황체에서 분비되나 어떤 종에서는 태반이나 자궁에서도 분비된다. 이호르몬의 특징은 에스트로젠과 협동으로 유선의 발육을 돕는다.
-
성장호르몬(bovine somatotropin: bST)
성장호르몬(growth hormone)이라고도 말하여지고 하수체전엽에서 합성되어 분비되는 단백질 호르몬이다. 191개의 아미노산(amino acid)으로부터 이루어지고 분자량은 약 22,000이다. 성장촉진 작용, 세포의 증식·분호의 촉진, 단백질동화작용, 지방이화작용, 글루코스(glucose)보존작용, 인슐린 두성장인자의 생성·분비의 촉진등 다양한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유우로 외부로부터 bST를 투여하면 유량의 증가를 볼 수 있다. 유전자 조합의 기술로 인해 bST의 대장균에 의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
에스트로겐(estrogen)
암컷동물의 발정을 유발하고 부생식기의 발육과 그 기능을 촉진하는 물질의 총칭. 주로 난포로부터 분비되는 것으로 난포호르몬 혹은 발정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또 많은 동물에서 황체와 태반등으로부터도 분비된다. 발정기의 소에 있어서 외음부의 충혈종창은 이 작용으로 의한다. 특히 유선에 대하여 유관계의 발육과 촉진하고 동물의 체형을 자형으로 하는 동시에 시상하부 하수체로 피드백(feedback)하여 성선자극호르몬의 분비를 조절하는 작용이 있다.
-
엔드로겐(androgen)
자동물의 부생식기의 발육과 그 기능을 촉진하고 2차 성징을 발현하게 하는 물질의 총칭으로 대표적인 것으로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있다. 주로 정소의 간질세포(Leydig cells)부터 분비되지만 소량은 부신 피질에서도 분비된다. 정자형성의 촉진, 웅형성(雄型性) 행동의 자격(刺激), 단백동화작용에 의한 체중의 증가, 더욱더 시상하부를 개입해서 성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조절등의 작용도 있다.
-
옥시토신(oxytocin)
옥시토신은 시상하부에서 합성되어 뇌하수체 후엽으로 이행, 저장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방출된다. 옥시토신은 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타이드로 자궁근의 수축을 유발하여 분만시 태아와 태반의 만출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난관의 수축빈도를 증가시켜 난관내에서의 난자와 정자의 이송에 관여하는 것으로 믿어지나 옥시토신이 자궁과 난관의 수축에 작용하는 기전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그리고 유선에서의 유즙의 배출을 돕는다.
-
옥시토신(oxytocin)
시상하부의 방실핵(傍室核) 및 시색상핵에서 생성되고 하수체 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호르몬. 흡유 혹은 착유자극에 의해 분비하고 혈액을 경유하여 유선포의 근상피세포에 도달하여 이것을 수축한다. 이 반응으로 인해 유선포에 축척되어 있는 유즙이 배출된다. 또 자궁경으로의 자극에 의해서도 분비하고 자궁평활근을 수축한다.
-
인히빈(inhibin)
인히빈은 수컷 정소의 세르토리세포와 암컷 난소의 과립막세포(granulosa cell)에서 생성된다.인히빈은 뇌하수체로부터 LH의 방출에는 변화가 없이 FSH의 방출을 억제시키는데, 그 정확한 기작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임마혈청(pregnant mare's serum)
임신한 말의 혈정으로 임신초기 40일경부터 다량의 PMSG가 포함되게 되고 60일경에 최고치에 달하고 170일경에 소실한다. PMSG는 혈청중에 출현하고 hCG와 같이 요중에는 배출되지 않는다. PMSG제제는 임마혈청으로부터 추출 정제한 호르몬이다.
-
임마혈청성 성선자극호르몬(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h)in:PMSG)
임신한 말의 혈청으로부터 추출 정제한 호르몬으로 임신 초기의 말의 자궁내막에 형성되는 내막 배(杯)로부터 분비된다. 생물학적 작용은 FSH와 유사하고 LH성 작용도 가지고 있다. 난포 발육을 촉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분자량은 약 70,000의 당단백질.
-
태반성락토젠(placental lactogen, PL)
태반성락토젠은 프로랙틴과 GH와 유사한 화학적 성질을 지닌 펩타이드로 분자량은 22,000∼23,000이다. PL은 사람, 흰쥐, 산양, 면양 및 소를 포함한 여러 동물의 태반조직으로부터 추출된다. PL의 정확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프로랙틴유사기능 보다 GH유사기능이 강한 것으로 보여지는데, 태아의 성장에 필요한 모체 영양물질의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젖소에 있어서는 유즙분비를 촉진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
프로랙틴 방출 및 억제인자(prolactin releasing factor, PRF 및 PIF)
프로랙틴 방출 및 억제인자의 화학적 성질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저분자량의 폴리펩타이드(polypetide)로 추정된다. 이것은 뇌하수체 전엽내의 프로랙틴 분비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이 호르몬의 합성과 방출을 동시에 억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프로랙틴(prolactin, PRL)
프로랙틴은 면양의 경우 19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분자량은 24,000이다. PRL은 유선(mammary glands)에 작용하여 유즙분비를 자극하는 기능과 쥐에서는 황체를 자극하여 기능을 유지시키므로 최유(催乳) 호르몬(lactogenic hormone) 또는 황체자극호르몬(LTH)이라고도 불린다. 그리고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모성행동(maternal behavior)을 유기한다.
-
화학거세(chemical castration)
estrogen, progesterone 혹은 androgen과 같은 성호르몬을 장기간 연속하여 투여하며 난소와 정소의 기능을 억제시켜 거세한 것과 동일한 상태로 하는 것. 약제의 지속효과를 가지게 하기 위해서 펠렛모양으로 피하에 매몰하는 것도 있다. 호르몬이외의 화학물질도 사용되고 있다.
-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Luteinizing hormone-releasing hormone, LH-RH)
황체형성호르몬 방출호르몬은 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분자량은 1,183이다. 뇌하수체 전엽에서의 LH의 방출 뿐만 아니라 FSH의 방출도 이것에 의해 조절되므로 성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gonadotrophin releasing hormone, GnRH)라고도 불린다. 소에 있어서 난포낭종(follicular cyst)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
황체형성호르몬(luteinizing hormone: LH)
하수체 전엽으로부터 분비되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일종. 발육난포에 작용하여 난포를 완숙하게 함과 동시에 배란을 유기하고, 황체의 형성에 관여한다. 발정주기중의 혈중LH농도는 황체기에는 낮지만 발정기에는 일과성으로 급상승하고 배란서지(surge) 또는 LH서지(surge)라고 불려지는 최고조(peak)를 형성한다. 이 발정기에 일과성으로 급상승한 LH는 성축난포에 작용하여 배란을 유기한다.
-
계절번식(seasonal breeding)
1년 중에 일정한 계절에 번식하는 것. 통상 야생동물의 대부분은 계절번식동물로 가축화된 말 또는 많은 산양과 면양에서도 계절번식성을 잃고 있지 않다. 열대지방의 물소는 계절번식동물이지만 온대이북의 소와 돼지는 주년번식가능하다. 또 소에 있어서 유생산과 유가 혹은 산자의 쉬운관리성등과의 관련으로부터 어떤 특정계절에 분만을 집중시킨 사례도 계절번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 계절분만.
-
멸강나방(army worm)
성충으로는 체장18mm, 날개를 좌우로 펴면 폭 43∼69mm의 회황갈색의 누에나방. 1년 2∼4세대를 반복한다. 옥수수, 화본, 두과류, 화본과류 목초를 충해(蟲害)한다. 야간에 활동하는 것이 많다. 폭식성이 있어 크게 발생한 경우는 피해가 크고, 문자그대로 빡빡 깎은 머리의 상태가 된다. 긴급 처치로서 농약으로 방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
조명충나방(옥수수의 해충: corn borer)
성충에는 체장 13∼15mm, 날개를 좌우로 펴면 폭 25∼35mm의 암자갈색의 누에나방. 조, 옥수수, 기장(수수), 보리(밀)등의 화본과 작물의 줄기 안을 파먹고 가지 끝에 자라는 싹(눈)을 먹어 버린다. 줄기는 그 부분부터 마르기 시작하고 바람에 부러지기 쉬워진다. 연 2∼3회 발생하지만 난지(暖地)만큼 발생회수가 많다.
-
그레스페드(grass fed)
육우의 비육을 할 즈음해서 곡류를 사용하지 않고 조사료로 끝내는 급사방식, 내지는 이 방식으로 생산된 육우. 지방 부착(付着)이 적은 육질로 지육격부등급으로는 평가가 낮아진다. grain fed의 대의어. 이 방식에서의 육우생산은 일본에서는 대부분 행해지고 있지 않다.
-
낙농육우(Dairy beef)
유용 암컷 송아지를 거세하여 14∼18개월 전후 비육 성공을 한 것을 말한다. 초유를 주고 후에는 대용유, 인공유, 건초, 농후사료등을 비육메뉴에 따라서 주어 일반적으로 생체중이 550∼650kg으로 완성된 우육의 것.
-
비육소우(feeder cattle)
우육생산을 위해서 영양가가 높은 사료를 주고 육량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지방축적을 촉진시키는 것을 비육이라고 하지만 이 단계에 들어가기 전의 소를 말한다. 대상이 되는 소의 종류와 비육체계에 의해 연령, 체중이 다르다. 사육소우의 선정에 대해서는 유전적 능력, 발육, 건강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적육 생산(Lean meat production)
비육우 생산에 있어서 과도한 색대를 넣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육을 단기간에 생산하는 것. 적육 생산을 목표로 할 경우는 증체중심으로 비육할 수 있기 때문에 비육기간이 단축되고, 생산비용이 싸졌지만 식육 시장에 있어서의 평가는 그것에 대응할 것이 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적육 생산으로 적합한 젖소의 수컷 비육등이라도 요사이, 화우같은 비육 기간의 연장이 증진되고 있다.
-
그레인페드Grain fed
육우의 비육사료로서 곡류를 주체로 하는 농후사료를 다용하여 주는 급사 방식 또는 이 방식으로 생산된 육우. 일본을 포함해 육우의 비육일 때에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급사방식. Grass fed의 대의어. 현재 일본에서 유통하고 우육의 대부분은 이 방식으로 생산된 것으로 오세아니아 지역으로 부터의 수입우로 일부 Grass fed의 것이 있다.
-
육성(rearing)
어린 가축을 성축까지 기르는 것. 유생산을 위한 갱신용자자우의 육성, 육생산을 위한 자자우의 육성, 종자우의 육성등 목적에 의해 사고방식이 다르다. 갱신용자자우의 경우 출생시까지 초산분만시까지가 육성기간에 해당한다. 소가 유전적으로 가지고 있는 능력을 장래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육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알팔파 밀(alfalfa meal)
알팔파를 예취한후 건조시켜 분쇄한 것. 인공건조한 것은 디하이(dehy)라고 불려지고 있다. 조단백질이 많고 섬유함량이 적은 만큼 품질은 좋다. 각 가축의 배합사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알팔파 펠렛(alfalfa pellet)
알팔파 밀(alfalfa meal)을 Pellet한 것으로 기호성이 좋다. 일본에서 이용되고 있는 것은 미국에서 대량 생산된 것이다. 알팔파 건초에 비해 반추 비분해 단백질 비율이 많다.
-
박낙농(dairy farming based on by-products of industry)
급여사료의 주체를 제조박류에 의존할 낙농경영. 두부박, 맥주박등 공장부산물로 의존하고 도시근교로 입지한다. 착유전문으로 일복착유를 행하는 경영도 볼 수 있다. → 일복착유.
-
(ipil-ipil meal)
열대성의 두과의 일종. 긴넴의 엽(葉)을 건조한 것. 필리핀에서는 ipil-ipil meal이라고 부르고 약 25%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알팔파밀(alfalfa meal)과 같은 정도의 사료가치가 있다. 크산토필(xanthophyll)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색조강화을 위해 계용사료에 배합하고 이용되고 있다. 미모신이라고 하는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대량으로는 급여할 수 없다.
-
Corn gluten feed
옥수수 전분제조의 부산물. 조단백질 함량은 20%전후이지만 필수아미노산의 리신(lysine)과 트립토판(tryptophan)이 적다. 섬유함량은 6∼10%이고 주로 유우용 배합사료의 원료로서 이용된다.
-
Corn gluten meal
옥수수 전분제조의 부산물. 글루텐(gluten)과 소량의 섬유로부터 된다. 조단백질 함량은 60∼70%로 높지만 이미노산 조성은 한쪽으로 치우쳐 리신(lysine)과 트립토판(tryptophan)이 적고 류신(leucine)이 많다. 유우의 단백질 사료로서 이용되지만 반추비분해성 단백질로서 유효하다.
-
가열대두(heated soybean)
대두를 압편후 가열처리한 것으로 반추비분해성 단백질이 높아지기 때문에 고비유우등의 단백질원으로서 이용된다. 보통은 140℃에서 단시간 가열처리하지만 그것이상의 온도에서는 단백질에 함유된 리진(lysine)과 메티오닌이 많이 파괴된다. extruding처리대두도 가열대두의 일종이다.
-
건조 유청(dried whey)
치즈 또는 카제인을 제조하는 공정에서의 부산물로서 얻을 수 있는 whey를 건조한 것. 주로 성분은 유당 약 70%이고 그외 약13%의 조단백질과 약 10%의 조회분을 함유한다. 유축 및 닭의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고수분 옥수수(High moisture shelled corn)
옥수수의 종실을 입상(粒狀)체로 건조하지 않고 고수분상태로 저장한 것. 기밀사일로등에 밀봉하여 혐기적으로 저장하는 방법과 프로피온산등의 산을 첨가하여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약간의 유산발효를 일으키고 발생한 에스테르(ester)류에 의해 방향(芳香)을 보이는 것이 있다.
-
고수분 이삭 옥수수(high moisture ear corn)
건조에 필요한 경비와 노력을 절약하기 위해서 싹(눈)이 붙어 있는 옥수수를 건조하지 않고 고수분채로 저장한 것. 기밀사일로 등에 밀봉하여 혐기적으로 저장하는 방법과 프로피온산등의 산을 첨가하여 미생물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 있다.
-
귀리(oat)
귀리는 구미에서는 생산량도 많으만 우리나라에서는 강원도 일부지역에서만 재배할 따름이다. 단백질의 함량이 12%정도이고 겨층이 두터워 조섬유 함량이 10% 이상이며 TDN은 70%정도이다.
-
그레스밀(grass meal)
생초를 적기에 수확하여 인공건조한 후 분쇄한 것이고 단백질함량이 많고 조섬유 함량이 적은 두과목초를 이용하는 것이 많다. 일반적인 것으로서 알팔파밀(alfalfa meal)이 있고 주로 돼지와 닭의 사료로 배합이용되고 있다.
-
낙화생박(ground nut meal, peanut meal)
탈곡한 낙화생의 종실로부터 기름을 채취한 박. 약47%의 조단백질을 함유하지만 메티오닌과 리신(lysine)의 함량은 낮다. 저장중에 유독물질의 아플라톡신(aflatoxin)이 생성하는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일본의 착유우 및 우용배합사료로는 낙화생박의 배합비율을 각각 2% 및 4%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
농후사료(concentrate)
곡실류, 유박류, 겨류, 제조박류, 동물성 사료등의 가소화 양분이 많은 사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용적이 작고 조섬유가 적은 것으로 조사료에 대응하는 명칭. 성분함량에 의한 구별은 명확하지 않다.
-
단미(single feed)
단미사료의 것. 사료를 그 배합에 의해 분류하면 옥수수와 대두와 같은 단미사료와 그것들을 원재료로서 혼합한 배합사료로 나누어 진다. 낙농에서는 사료비의 저감을 위해 소의 비유능력에 응하여 배합사료에 각종의 단미를 가하여 급여하는 것이 많다.
-
단체사료(single feed)
배합사료와 혼합사료의 원료가 되는 개개의 사료. 단미사료라고도 한다. 곡류(옥수수, 대맥등), 조강류(쌀겨, 탈지쌀겨, 밀기울), 식물성 유박류(대두유박, 괌핵유박등), 동물성 사료(어분, 혈분, 탈지분유등)와 기타 사료로서 사료용 효모, 알팔파밀, 전분박, 장유박등이 있다.
-
당밀(molasses)
사탕무우와 사탕수수로부터 사탕(砂糖)을 제조할 때에 생기는 부산물로 점성이 높은 액상의 제품. 어느 것이나 당분이 많고 섬유는 대단히 적다. 당밀은 유우에 의한 기호성이 높고 소화성도 좋지만 액상이므로 농후사료등과 혼합하여 급여하는 것이 많다. 단백질 함량은 제조방법에 의해 다르며 3∼14%정도이다.
-
대두박(soybean meal)
대두로부터 기름을 취하고 남은 것은 박으로 추출박과 압착박으로 구별된다. 추출박은 헥산(Hexane)등의 용제로 기름을 추출한 박으로 일본에서는 주로 추출박이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추출박의 단백질 함량은 44∼48%이지만 껍질을 제거한 탈피 대두박의 단백질 함량은 약 50%로 높아진다. 대두바근 식물성 단백질 중에서는 단백질의 영양가가 가장 높고 소, 돼지, 닭등의 사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대용유(milk replacer)
우유의 대신에 자우에게 급여하는 액상사료. 탈지분유를 주체로 건조 Whey외 양질의 분쇄곡실과 단백질 사료를 배급한 것. 분말상의 제품으로 이것을 온탕에 녹여 급여하지만 온탕과의 비율은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동물질 사료(animal by-product feed)
동물 및 그 생산물 혹은 부산물에게 유래된 사료. 도축 부산물, 수산업, 유가 공업등으로부터 공급되고 양질의 단백질이 다량으로 함유된다. meat bone meal, 어분, whey등이 있다.
-
두부박(tofu cake)
비지. 대두로부터 두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잔사. 생두부박은 약 85%의 수분을 함유하고 변질하기 쉽지만 사일리지 또는 건조시키면 저장성은 높아진다. 건조두부박은 약 35%의 가용성 무질소물과 약 25%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사료가치는 높다. 주로 소 및 돼지의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마이로(milo)
Grain sorghum 혹은 가오량(고량(高粱): 수수 주로 중국 동북부에서 재배하여 식용, 사료 양조용)라고도 불리는 사료용 곡류의 일종. 미국에서 대량으로 수입되고 배합사료의 원료로서 옥수수 다음으로 이용되고 있다. 주성분은 전분이고 유우에 대해서는 옥수수와 거의 동등의 영양가이다. 카로틴(carotene)과 크산토필함량은 대단히 적다. 타닌(Tannin: 오배자, 몰식자등의 식물에서 수액을 추출해서 만든 누른 빛깔의 가루, 잉크제조, 매염제, 의약등에 쓰임)함량이 많은 품종이고 기호성은 떨어진다.
-
매쉬(갈아서 빻은 사료: Mash)
분쇄기에 의해 분말 상으로 한 사료. 배합원료를 모두 분말로 하여 혼합한 것이 All mash. 필요한 양분을 균일하게 배합한 사료급여가 가능. 가늘게 분쇄할수록 산화·변폐하기 쉽고 흡습(吸濕)하면 굳어지고 저장탱크로부터 끄집어 내기 어렵게 될 경우도 있기 때문에 여름 장마에 있어서의 저장시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펠렛(pellet)과 비교하여 채식 속도는 늦어진다.
-
맥주박(brewers' grain)
맥주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대맥맥아의 당화액의 착즙(窄汁) 잔사. 주로 대맥의 껍질과 배아
(胚芽)의 부분이고 생것은 고수분(80%전후)이지만 일본에서는 그대로 유우의 사료로서 사용
되는 것이 많다. 건조한 것은 고단백(20%이상)으로 조섬유함량은 낮고(15%), 밀기울과 같은
정도의 사료가치가 있다.
-
맥주박(brewers' grain)
맥주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대맥맥아의 당화액의 착즙(窄汁) 잔사. 주로 대맥의 껍질과 배아
(胚芽)의 부분이고 생것은 고수분(80%전후)이지만 일본에서는 그대로 유우의 사료로서 사용
되는 것이 많다. 건조한 것은 고단백(20%이상)으로 조섬유함량은 낮고(15%), 밀기울과 같은
정도의 사료가치가 있다.
-
메밀(buckwheat)
메밀의 껍질은 두꺼운 과피로서 알곡중량의 18∼20%나 되나 사료가치는 거의 없다. 단백질의 함량은 귀리보다 낮고 지방의 함량은 귀리의 절반 정도이나 TDN은 비슷하다. 메밀의 질소화합물은 대부분이 글루텐으로서 소화가 잘 되며 다른 곡류단백질과는 달리 별도의 아미노산 첨가 없이도 가축 사육이 가능하여 양질의 동물성 단백질과 대등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
면실박(cotton seed meal)
면실로부터 기름을 짠 박으로 보통은 압착추출법에 의한다. CP(조단백질)는 35%, 조섬유는 13%(NDF28%) 정도이다. 단백질원으로서 유우용 사료에 이용된다.
-
밀기울(Bran)
곡물을 식용으로 가공할 때의 부산물로 주로 곡실의 피(皮) 부분. 일반적으로는 소맥 밀기울
(wheat bran)을 가르키고 사료로서 이용되는 곡물부산물의 대표적인 것이다. 일본에서는 보
통의 밀기울과 소맥분의 혼합율이 높은 전관(專管) 밀기울이 있다. 모두 기호성이 좋기 때문
에 소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보리(barley)
보리는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식용으로 생산되고 있으나 구미각국에서는 주요한 곡류사료로 사용되고 있다. 보리도 역시 가축의 에너지사료로 쓰이고 있는데 옥수수에 비하여 단백질의 함량이 약간 높으며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도 옥수수보다 우수한 편이나 옥수수의 약 90∼95%의 사료적 가치가 있다.
-
비트탑(beet top)
사탕대근, 사탕무우의 뿌리는 사탕제조을 위해 짜고 엽과 뿌리의 하단부는 부산물로서 남는
다. 기호성은 좋고 조단백질함량도 높다. 생것은 하리하기 쉽지만 예건 또는 사일리지로 하
면 악영향이 경감한다. 수산이 많고 다급할 경우는 Beet top 1kg에 탄칼륨 1∼1.5g을 보급
하면 좋다.
-
비트펄프(beet pulp)
사탕제조를 위해 사탕대근, 사탕무우를 세절하고 온수에서 추출한 잔사. 생으로는 수분이 많
고 공장 근변(近邊)에서만 이용되고 일반적으로는 건조한 것이 시판되고 있다. 주성분은 세
포벽(섬유)이지만 소에서는 잘 소화되고 양질의 에너지원이 된다. 추출로 수용성 성분이 제
거되었기 때문에 단백질과 무기물 특히 인이 적다.
-
사탕수수의 설탕 짜낸 찌끼(sugar cane bagasse)
사탕수수를 짜낸 잔사. 조섬유가 주성분이고 소화율은 약 28%로 낮지만 섬유원으로서 소의 사료로 이용된다. 당밀을 가하면 호기성이 좋아지고 에너지가도 높아진다. 또 200℃, 5∼10분간 증기처리에 의해 소화율은 증가한다.
-
수수(indian millet)
수수는 우리나라에서 생산량이 극히 적어 사료용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수수는 영양소 함량이 옥수수와 비슷하여 가용무질소 함량이 약 70%인데 그 대부분이 전분이며 섬유소 함량이 적오 TDN가가 옥수수만큼 높으나 지방과 비타민A의 공급능력이 적고 Ca과 비타민D함량도 매우 낮다. 한편, 옥수수와 비슷한 정도의 비타민B복합체를 함유하고 있지만 수수의 가장 큰 결점은 탄닌이 높은 것인데 이것은 수수의 기호성을 떨어뜨리는 원인물질이다.
-
쌀(rice)
벼는 세계적으로 재배되며 동양인의 주식으로 이용되고 세계인구의 50%가 쌀을 먹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쌀이 가축의 사료로 쓰이는 일은 거의 없고 다만 소량의 등외품과 싸레기등이 사료로 이용되고 있을 뿐이다. 벼에서 왕겨부분(20∼25%)만이 제거된 현미와 여기에서 다시 겨층을 제거한 백미는 에너지가가 가장 높은 곡류사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쌀의 단백질 함량은 옥수수보다 낮으며 카로틴도 거의 함유하지 않고 있다. 쌀단백질의 제한 아미노산은 Lysine과 threonine이며 조섬유와 지방의 함량은 매우 낮다. 한편, 가용무질소물의 함량은 80%이고 TDN은 75∼85%가 된다.
-
아마인박(Linseed meal)
아마(삼의 한가지)의 씨(아마인)으로부터 채유후의 박. 조단백질을 약 36%, 조섬유를 8∼10% 함유하고 반추가축의 기호성과 소화성은 좋으므로 다량 급여할 수 있다. 점착성 물질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정장(整腸) 작용도 있다.
-
압편(rolling)
대맥, 옥수수등을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며 납작하게 하는 처리. 열 룰러(roller)로 가볍게 눌러 으깨는 Dry 압편, 곡물을 단시간 증기처리하는 Steam(증기) 압편, 증기처리 시간이 긴(수십분) 증저압편, 1∼2분간 3∼5kg/㎠로 고온 가압처리한 후에 압편하는 가압압편등이 있다. 증저압편과 가압압편에서는 전분(녹말)이 알파화되기 때문에 소화성이 좋아진다.
-
어분(fish meal)
어(魚)를 증자(찌고 삶는 것)후, 압착(壓搾)하여 유분을 제거한 고형부를 건조한 것. 보통 단백질함량이 60∼65%있고 아미노산 Balance도 떨어진다. 반추의 분해율이 낮고 대표적인 반추비분해성 단백질이다. 그러나 불포화지방산이 함유되고 다급하면 유지율의 저하를 초래하기 때문에 5%정도가 급여한계라고 할 수 있다. 무기물, 비타민함량도 높다.
-
어즙(fish soluble)
어류의 주입제조의 공정에서 나오는 고기의 자즙(煮汁). 또는 어분제조의 공정에서 나오는
어유(魚油)를 분리한 잔액등을 농축한 것. 일본에서는 이것을 겨류등에 흡착시킨 fish
soluble흡착사료로서 이용되는 것이 많고 사료의 조단백질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
옥수수(corn)
곡류사료중 가장 많이 배합되는 원료사료(배합사료의 50∼70%)이며 우리나라는 사료용 옥수수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옥수수는 가용무질소물의 함량이 높고 지방의 함량도 비교적 높으며, 조섬유의 함량도 낮기 때문에 TDN, DE, ME, NE 등으로 표시되는 에너지도 높으며 모든 가축에 대하여 기호성도 좋다. 그러나 단백질은 다른 곡류에 비하여 낮을 뿐 아니라 아미노산 조성에 있어서도 라이신과 트립토판이 부족하고 Ca과 P의 함량도 다른 곡류보다 낮은 것으로 되어있다. 특히 황색옥수수는 프로비타민A의 모체인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어서 비타민A의 효과도 높은데, 옥수수 색소에는 이것 이외에도 크산토필도 있으나 이것은 비타민A의 전구물질은 아니며 단지 가축 생산물의 착색효과만 갖는다.
-
옥수수(corn, maize)
대표적 사료작물의 하나. 화본과 작물로 Dent corn, flint corn, sweet corn, pop corn등의 품종군이 있다. 사료용으로서 이용되는 것은 Dent corn, Flint corn 및 양자의 잡종이고 고수량의 Hybrid종(일대잡종)이 육종되고 있다. 종실은 전 가축 가금의 사료로 전 알갱이 또는 압편, 곡식을 타는 일(것), 분쇄(粉碎)하여 다용된다. 주성분은 전분으로 에너지가가 높고 조단백질은 8%정도로 낮다. 소에게는 경엽을 주로 한 정예와 Whole crop silage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또 종실 이용후의 옥수수 속(corncob)와 줄기도 섬유질 사료로서 이용된다.
-
우모분(feather meal)
가금의 우모를 고압, 가열처리하여 가수분해한 후 건조하여 분말로 한 것으로 우모분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조단백질 함량은 80%이상으로 높다. 시스틴, 루이신을 많이 함유하지만 라이신, 메티오닌, 트립토판이 부족하다. 이미노산의 Balance가 나쁘기 때문에 다른 양질의 단백질 사료와 병용할 필요가 있다.
-
유박류(油粕類: oil meals)
곡실(穀實)등으로부터 유지(油脂)를 채취한 후의 잔사(殘渣). 채유(採油)에는 압추법과 용제추출법이 있다. 영양 성분은 원료 및 채유법에 의해 다르지만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가축사양에 있어서의 중요한 단백질원이 되고 있다. 대두박, 유채박, 면실박, 낙화생박, 아마인박등이 넓게 사용되고 있다.
-
유채(forage rape)
사초용 유채는 풋베기 작물로 주로 이용되며 늦가을까지 소에 급여할 수 있는 기호성이 높은 사초이다. 생육이 빠르기 때문에 8∼12주 동안에 수량이 높고 품질이 좋은 사초 생산이 가능하다. 농가에서 호밀과 같은 다른 사료작물을 겨울이 되기전에 파종하기 위해서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10월 20일부터 30일 사이에 예취 이용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유채를 늦게 까지 이용하고 그 이듬해 사일리지용 옥수수를 적기에 파종하는 것도 한 좋은 방법이다. 수확시의 건물함량은 약 11%이고 조단백질 함량(건물기준)은 약 25%에 달한다.
-
유채박(rape seed meal)
유채 기름의 제조박. 대두박에 비하여 조단백질은 35∼38%정도로 낮고 조섬유는 14%정도로 높고 에너지가는 낮다. 고이토린등의 갑상선(甲狀腺) 기능을 억제하는 물질을 함유하지만 함량은 유채의 품종에 의해 꽤 차이가 있다. 소에게의 독성은 비교적 적고 기호성은 좋은 편은 아니지만 농후사료에 10%정도까지라면 배급하여도 좋다.
-
조(Italian mellet)
조는 생산량도 적고 주로 식용으로 쓰이며 일부 애완동물의 사료로 이용될 정도이다. 조섬유의 함량이 높고 TDN도 낮은 편(55.7%)이며 단백질에 있어서는 라이신의 함량이 낮으나 트립토판의 함량은 높아서 나이아신의 결핍증을 치료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한다.
-
카사버(cassava)
열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는 서류(庶類)의 일종으로 타피오카(tapioca)라고도 부르고 이 근괴(根塊)를 사료로서 이용하고 있다. 생(날) 것은 약 70%의 수분을 함유하지만 건조한 Cassava meal은 주성분이 전분으로 곡류의 대신으로 된다. 소와 돼지의 배합사료에 약 30%가지 이용할 수 있다.
-
크럼블(crumble)
사료의 형상의 일종으로 펠렛(pellet)상의 사료를 crumbler라고 불리우는 기계로 조쇄(粗碎)한 것. 급여할 가축에 있어서 본래의 펠렛(대로 보다 ) 크기와 형상이 채식하기 쉬워지는 경우와 최초부터 채식으로 가장 적당한 크기의 펠렛을 만드는 것이 곤란할 경우등에 이용한다.
-
탈지분유(사료): dried skim milk
자돈과 자우의 대용유의 원료로서 이용되는 탈지유를 건조한 것. 건물당 단백질을 약 35%, 유당을 약 50%함유한다. 칼슘등 다종의 무기물, 비타민도 많다.
-
호밀(rye)
맥류에서는 가장 내한성이 강하고 다른 곡류가 생기지 않고 한냉에서 토질이 좋지 않는 토지에서도 생육한다. 청예이용이라면 더욱이 한냉한조건(조춘, 초동)에서도 가능하다. 품종으로서는 페토쿠저가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조생품종, 참밀과의 잡종인 rye참밀등도 이용되어 왔다. 종실의 성분은 소맥에 가깝지만 기호성은 꾀 열악하다. 전체입자보다도 곡식을 탄 것또는 분쇄하여 타 곡류와 ?여 주는 방법이 좋다.
-
호프박(spent hop)
백주의 제조공정에서 생기는 Hop의 침출(浸出) 잔재(殘滓)로 건조하여 사료로 이용되고 있다. 20%이상의 조단백질을 함유하지만 사료가치는 낮고 소의 조섬유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고미(苦味)가 있기 때문에 기호성은 좋지 않고 유축(幼畜), 임신중의 가축, 돼지 등의 사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
흡착사료(吸着飼料)
당밀, fish soluble등 수분이 많고 점조도(粘稠度)가 높은 액상의 사료로 밀기울, 쌀겨, 비트(beet)분말등의 흡착성이 높은 사료를 혼합한 것. fish soluble 흡착사료 및 당밀흡착사료가 있고 사료원료로서 유통하고 있다.
-
Foggage, fog
여름 이후에 생장한 일정지역의 목초류를 이용하지 않고 서서 마른 상태로 비축해두고 늦은 가을에서 초겨울의 방목용 사료로 하는 것. 뉴질랜드의 일부 더욱 중국의 동북부와 서북부의 겨울용 초지로 이용되고 있다. 일본에서는 방목기간의 연장방법의 하나로서 도입되고 있다
-
레드 클로버( Red clover)
일본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한지형 두과 목초.
많은 수확으로 영영 생산성이 높고, 보통 티모시와 오처드 그라스와 혼파하고 채초용으로 이용된다. 북해도(훗카이도), 동북같은 차갑고 서늘하고 습윤한 기후에 가장 적당하고 그곳에서는 2∼3년 이용할 수 있지만 고온, 건조에 약하므로 하고(夏枯)기 발생하는 것 처럼 온난 지역에서는 1년생이든가 월년생이 된다.
-
메도페스큐(meadow fescue)
톨페스큐(tall fescue)와 닮은 초형을 가르키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톨페스큐보다 환경적응성은 작지만 양질인 사료를 많이 생산한다. 오처드그라스와 티모시를 주체로한 혼파초지로 보조 초종으로서 이용된다. 재생력이 왕성하고 가을 늦게까지 생육하기 때문에 채초용보다는 방목용으로 적당하다.
-
볏짚(rice straw)
일반적으로 곡류의 탈곡후의 줄기의 부분을 주체로한 부산물의 총칭을 짚(straw)이라고 하고 벼의 그것이 볏짚이다. 규산(硅酸)을 많이 함유하고 또한 리구닌함량도 높기 때문에 다른 화본과 목초에 비하여 영양가는 낮지만 알카리 처리한다(석회짚등)면 TDN이 높아지고 반추가축의 사료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
불경운초지조성(no plowing)
초지조성법의 하나. 삼림(森林), 원야(原野) 등을 경운 반전하지 않고 전식생을 억압하면서 서서히 초지화하는 방법. 급경사지의 방목지조성법으로 제경법, 중방목법, 파구법, 불을 지른 후 직파법 등이 있다. 전식생의 처리를 가축의 도입, 불을 지름, 제초제살포 등으로 행하기 때문에 빨리 목초지화할 수 없지만 조성비의 경감, 토양보전 등의 효과가 있다. 이 조성의 장점은 경사가 심하고 장애물로 인한 농기계의 사용이 어려운 곳도 가능하고 인력과 비용이 절약되고 따을 갈지 않고 조성하므로 토양유실의 위험이 적으며 땅 표면이 단단해서 비온 직후와 토양 수분이 많을 때도 파종할 수 있다. 단점으로는 가뭄때는 종자의 발아가 불량하고 늦으며 2∼3년의 계속적인 관리를 하여야 만 생산성이 높은 초지가 되고 조성후 관리가 소홀하면 야초가 우점되어 부실 초지가 되기 쉽다.
-
소루쟁이(dock)
(버들)여뀌과의 다년생 잡초. 전국의 방목지에 침입이 인정되고 있는 최강해 잡초중 하나. 퇴비와 질소를 다량으로 시용한 목초지로 현저한 발생을 보는 일이 많다. 목초지의 조성시에 매토 종자로부터 발아·정착한다. 일주당 수만의 종자를 생산한다. 방제에 따라 목초지로의 종자공급을 근절하는 것이 중요.
-
소루쟁이(sorrel)
버들여뀌과의 다년생 잡초. 개체에 의해 암수는 다르다. 개화시의 화분(花粉)의 유무로 암수
를 판별할 수 있다. 부정근으로 영양번식한다. 목초지의 식생이 황폐(荒廢)되고 토양의 pH
가 저하된 장소에 침입하고 무성하게 자란다. 낮은 pH의 토양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와 같
은 토양환경의 지표식물로 되고 있다. 목초의 생육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방제는 가
능.
-
알팔파(alfalfa)
Lucerne라고도 불려지는 다년생 두과 목초. 고단백·고미네랄로 영양생산성이 지극히 우수하고 다수인 것부터 목초의 여왕이라고도 불린다. 보통 단파 혹은 화본과 목초와 혼파하고 채초용 특히 Silage(사일리지)로서 이용될 경우가 많다. 습윤(濕潤)기후, 산성토양에 약하고 또는 조성에 실패한 예도 많다. 재배가 조금 어렵고, 일본에 있어서의 재배는 기대한 만큼 증가하고 있지 않다.
-
연맥(oats hay)
본주의 일부로 hay oats라고 하는 야생종 연맥의 품종을 재배하여 건조조제하고 있지만 일반적이지 않다. 오히려 whole crop silage로서의 조제가 많은 것 같다.
-
연맥(燕麥: oat)
주성분은 전분이지만 곡류의 비율이 많고(23∼35%), 맥류로는 조섬유함량이 가장 많다(10%). 에너지가는 비교적 낮고 다급하여도 해는 적다. 유육우와 말의 사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온전한 입자보다 멧 돌로 타는 쪽이 소화가 좋다.
-
오처드 글라스(orchardgrass)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내서성, 내건성등 환경 적응성이 크고 북해도에서 큐슈(九州)의 산지가지 혼파초지의 기간초종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재생력은 지극히 왕성하고 채초에도 방목에도 이용된다. 또 시비반응이 크므로 다비다회예취의 다수재배에도 적당하다. 반면 기호성과 내한성은 거의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
일년생 또는 월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생육이 왕성하고 시비반응도 크고 조성후 단기간에 많은 수확을 얻기 쉽다. 온난지에서는 늦은 가을과 이른 봄에도 왕성하게 생육하기 때문에 옥수수등의 사료밭과 수전의 이작(裏作)으로서 가을에 단파시키고 널리 재배되고 있다. 다른 한편 한냉지와 설지에서는 겨울에 마르는 것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목초와 혼파하여 춘파(春播)되는 경우가 많다.
-
일년생 초본(一年生草本: annual grass)
종자로부터 발아하여 거의 1년이내에 개화, 결실하여 고사(枯死)하는 초본식물. 유식물이 저온을 경과하지 않더라도 개화하는 춘파형과 저온에 사는 것에 의해 개화하기 쉬워지는 추파형이 있다. 후자를 특히 월년생이라고 한다. 청예옥수수, 청예대두(콩)등은 춘파형으로 하작(夏作), 추작(秋作)으로 이용된다.
-
일번예(一番刈: first cutting)
목초의 파종시기에는 일반적으로 춘파(春播)와 추파(秋播)가 있고 춘파는 1년내에 예취할 수 있지만 추파는 익년(翌年)이 될 경우가 많다. 어느 파종시기도 제 1회째에 예취할 목초를 말한다. 더욱이 조성 2년째 이후의 초지에서는 1번초의 수확을 말한다.
-
일번초(一番草: first crop)
채초지(採草地)에서는 년간 수회 예취하지만 제 1회째에 예취된 목초. 목초의 생산량은 기온, 일조, 강수량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계절적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년간 생산량을 높여 동시에 영속성(永續性)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경엽량(莖葉量)이 최대이고 사료가치가 높은 출수(出穗)초기에 예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는 방목지에서도 일번초를 예취하여 Silage와 건초로 하는 것이 있다.
-
추파성 정도(degree of winter habit)
가을에 파종하는 소맥은 저온에 어느 정도 맞지 않으면 꽃눈을 형성하고 출수(出穗)하지 않는다. 저온을 필요로 하는 정도는 품종에 의해 다르고 대부분 필요로 하지 않는 춘파성에서 많이 필요로 하는 것까지 있다. 그 정도를 추파성 정도라 부르고 겨울에 재배하는 보리류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grass)의 품종 특성으로서 중요하다.
-
피복작물(cover crop)
지표면을 피복하고 수식(水蝕), 풍식(風蝕) 등에 의한 토양침식으로부터 토양을 보전하기 위
해서 재배되는 작물. 과수원과 상원(桑園)의 초생재배에서는 침식방지외에 잡초방제, 토양의
비배(肥培), 사료생산등을 목적으로서 목초가 재배된다. 피복작물로서는 목초류외 연맥등의
일년생 작물과 경사지에서는 칡, 톨페스큐등이 이용된다.
-
한지형 목초(temperate grass)
일본에서의 한냉지, 고표고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목초류로 티모시, 오처드글라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레드클로버, 화이트클로버, 알팔파등 거의 목초가 포함된다. 많은 것이 유럽, 근동(近東)에 기원을 가지고 냉랭한 기후를 좋아한다. 생육적온은 15∼20℃이지만 화본과는 5℃로 두과는 10℃에서 생육을 개시하고 내한성은 크다. 그러나 내서성은 작다. 관동이서에서는 하고를 일으킨다.
-
화본과 잡초(grass weeds)
바랭이, 강아지풀, 비름, 소비름, 명아주, 돌피등의 밭지대로 침입하는 일년생잡초와 소리쟁이, 씀바귀, 쑥등의 목초지로 침입하는 다년생 잡초가 있다. 전자는 종자에 의해 번식하기 때문에 초기생육의 수단으로 제초제에 의한 방제가 효과적이다. 후자는 지하경과 포하경으로 영양번식하는 것이 많고 예취와 시비관리로 생육을 억제하지만 근절(根絶)은 곤란하다.
-
아마인박(Linseed meal)
아마(삼의 한가지)의 씨(아마인)으로부터 채유후의 박. 조단백질을 약 36%, 조섬유를 8∼10% 함유하고 반추가축의 기호성과 소화성은 좋으므로 다량 급여할 수 있다. 점착성 물질이 포함되고 있기 때문에 정장(整腸) 작용도 있다.
-
알콜박(alcohol by product feed)
곡류, 당밀, 서류(감자, 고구마, 토란)등을 원료로서 알콜을 제초할 직전에 얻을 수 있는 알콜 증류잔액의 총칭. 원료와 제조공정에 의해 성분에 차이가 있다. 증류잔액으로부터 주로 고형물을 분별한 것을 distiller's grains, 남은 여액(濾液)을 농축한 것을 distiller's solubles라고 부른다.
-
유박류(油粕類: oil meals)
곡실(穀實)등으로부터 유지(油脂)를 채취한 후의 잔사(殘渣). 채유(採油)에는 압추법과 용제추출법이 있다. 영양 성분은 원료 및 채유법에 의해 다르지만 조단백질 함량이 높고 가축사양에 있어서의 중요한 단백질원이 되고 있다. 대두박, 유채박, 면실박, 낙화생박, 아마인박등이 넓게 사용되고 있다.
-
가금처리 부산물(poultry by-product meal)
가금의 식용으로 되지 않는 두부, 족부 및 내장등을 가열처리하여 건조하고 분말로 한 것으로 chicken meal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조단백질은 50%이상, 조지방은 10%이상 함유되고 영양가는 높고, 닭 및 돼지의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대맥(barley)
대표적 사료곡물의 하나. 품종이 많고 껍질을 베끼기 쉬운 것을 나맥(裸麥)이라고 한다. 사료용의 대맥은 약15% 곡피를 함유한다. 에너지가는 소맥보다 낮지만 연맥(燕麥)보다 높고 소, 돼지의 사료로서 이용된다. 단백질(7∼15%)의 아미노산 조성으로는 Lysine이 부족하다. 압편 또는 멧돌로 곡식을 타서 급여하는 것이 좋다.
-
대맥겨(barley bran)
식용대맥의 정백부산물로 종피(種皮)의 부분. 정백(精白)의 처음으로 나온 부분이 [황(荒)겨] 또는 [일번겨]로 곡피가 많고 그 후에 나온 [마무리겨] 또는 [2번겨]는 외배유와 호분층(胡粉層)을 포함한다. 양자를 혼합한 것을 [대맥혼합겨]라고 한다. 우용사료로서 탈지미겨와 밀기울과 동일하게 이용되지만 기호성은 밀기울보다 떨어진다.
-
위스키박(distiller's grains, distiller's solubles)
알콜증류박의 일종으로 위스키 제조의 부산물. distiller's grains은 몰트위스키(malt whisky)의 맥아당화 후의 여과잔사 및 grains whisky(그레인위스키)의 증류잔사의 원심분리잔사. Distiller's solubles는 증류후의 잔액을 건조한 것. 에너지와 단백질이 풍부하다. distiller는 알콜증류공장을 의미.
-
RFV(상대적 조사료가)
RFV(상대적 조사료가)
-
Rolled bale silage, round baled silage
Roll-bale silage 또는 Wrapped silage이라고도 불린다. 당초 Roll-bale건초로서 도입되었지만 래핑머신(lapping machine)의 개발과 함께 폭발적으로 도입되었다. 조제 작업이 적은 사람의 수로 가능하고 급여도 간편하고 그 밖에도 기후의 급변에 대하여 응용이 효과가 있기 때문에 소규모 가족 경영에 적당하다. 반면 건초조제와 사일리지 조제의 어느쪽에도 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중도의 어중간한 품질과 안정에 부족한 면을 가진다. 또 대규모, TMR system에는 알맞지 않다.
-
겨류(brans)
곡류를 정백(精白)할 때에 생기는 부산물의 총칭으로 과피(果皮)와 종피(種皮) 외에 배유(胚乳)의 일부도 포함된다. 살겨, 대맥겨 및 소맥의 제분할 때에 생기는 밀기울 등이 있다. 곡류에 비하여 조단백질과 조섬유가 많고 전분은 적다. 인 및 비타민 B군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겨류의 사료가치는 종류에 의해 다르며 또 정백(精白), 제분(製粉)의 정도에 의해 다르다.
-
과학사료(scientific feed)
공업적으로 고도의 과학기술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비타민, 효소제, 아미노산, 미네랄등의 사료첨가물 및 천연사료로 크게 손일을 가하여 만들어진 feather meal, 농축대두단백질등의 사료원.
-
근채류(根菜類: root crops)
지중의 뿌리 혹은 줄기에 양분을 저장하고 근괴 혹은 근경을 형성하는 작물. 사료용 근채료로서는 무류, 비트(beet), 고구마등의 근괴류와 감자, 돼지감자(뚱단지)와 같은 괴경(塊莖)류가 있다. 다즙으로 기호성도 높고 높은 사료가치를 가지지만 재배, 특히 수확에 많은 노력을 요하기 때문에 일본에서의 재배는 적다.
-
꺼끄러기(awn)
화본과 맥류등의 작은 이삭의 빈 꺼끄러기의 선단에 붙은 침상(針狀)의 돌기. 품종에 의해 아주 작은 것에서부터 5cm이상의 것까지가 있다.
-
다즙질 사료(succulent feeds)
수분함량이 높은(70∼90%) 사료의 것으로 생초류, 근채류, 사일리지등이 이것에 해당된다. 유우에 급여하면 식욕이 증진하고 유량을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
당밀첨가 사일리지(molassed silage)
전분이 적은 재료를 사일리지로 한 경우, 초기의 유산발효를 촉진하기 위해서 쉬운 발효성의 탄수화물을 주입시에 첨가하면 양질의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지만 그 첨가물로서 당밀을 이용하여 만든 제품을 말한다.
-
리그닌(lignin)
셀룰로오스와 함께 식물의 목질부와 세포막을 형성하는 주요구성성분의 일종으로 식물의 생육이 나아감에 따라 그 함량은 많아지고 영양가는 저하한다. 코니페닐알콜등이 중합한 복잡한 고분자 화합물로 동물뿐만 아니라 미생물에는 대부분 분해되지 않는다.
-
면실(綿實: cotton seed)
면의 종자로 보통은 표면에 백색의 섬유(면모(綿毛), Linter: 면사의 제조공정에서 긴 섬유를 뽑은 후에 남는 실보무라지. 셀룰로이드, 솜화약,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원료임)가 부착되어 있다. 섬유가 15%이상, CP가 20∼24%, 조지방이 20%정도 함유되고 TDN은 약 95%정도로 높고 우유용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다만 면실에는 독소(Gossypol: 목화씨 기름으로부터 유도한 독성 색소)가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돼지와 닭 혹은 어린 자우에서는 주위가 필요하다.
-
면실껍질(cotton seed hull)
면실로부터 채유(採油)할 때의 부산물. 조섬유가 많고 35∼50% 정도 함유하기(NDF는 약 90%) 때문에 TDN은 낮다. 단백질과 칼슘, 인등도 적다. 미국에서는 육우용 사료 혹은 육성기의 건초대용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
박편(flake)
곡류와 서류(庶類) 등을 롤러(roller)로 평평하게 압편한 것. 압편은 재료를 그대로 또는 증
자(蒸煮)와 건조가열과 동시에 행하지만 증자 압편이 가장 많다. 압편은 저작의 증가, 기호
성의 개선, 소화장해의 방지에 유효하다고 할 수 있고 우용사료로는 옥수수와 Milo의 flake
가 사용되고 있다.
-
배합사료(formula feed)
2종류이상의 사료 원료를 배합설계에 따라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사료. 가축의 종류, 육성시기, 사양목적에 응하여 필요로 하는 충분한 영양소가 함유되도록 고안하여 배합되어 있고 사료 안전법에 기초를 두고 공정규격이 정해져 있다.
-
아카시아 잎 밀(Robinia pseudo-acacia leaf meal)
아카시아의 잎을 건조하고 분쇄한 것으로 가용성 무질소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조단백질은 20%정도 함유하고 있다. 크산토필(카로티노이드류 중에서 수산기, 카르보닐기, 에테르 모양의 산소 등을 함유한 색소의 총칭)을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난황등의 색조 강화을 위해서 닭의 배합사료에 이용되고 있다.
-
예비혼합(premix)
비타민과 미량원소 등의 미량성분을 다른 대량의 사료원료에 용이하게 배합하기 위해서 겨, 옥수수분, 대두박 등의 사료을 희석재료로서 사전에 혼합한 것.
-
옥수수겨(corn bran)
옥수수의 정박으로 분별된 종피. 옥수수 전분(corn starch)의 제조 과정으로 부산하는 corn gluten feed는 옥수수 겨 와 글루텐(gluten: 곡물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의 혼합물. 회백색이며 끈기가 있는 물질로 가축의 사료 또는 글루타민산 조미료의 원료로 씀)의 혼합물이다. 단독으로는 현재 대부분 생산되고 있지 않다.
-
유지사료(maintenance ration)
가축이 성장도 하지않고 또 유육란 혹은 노역(勞役)등의 생산활동도 없이 생리상태와 체중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만 필요한 최소량의 사료. 일반적으로 반추가축에서는 조사료가 주체이다.
-
육골분(meat bone meal)
도장(屠場)과 식육 공장에서 나오는 뼈붙은 육편(肉片)을 가압(加壓) 증자(蒸煮)후 압착하여 유지를 가능한 한 분리한 잔부(殘部)를 건조하고 분말로 한 것. 약 50%의 조단백질을 포함하고 곡류 단백질보다 품질은 양호하다. 칼슘(Ca)과 인(P)의 급원으로서도 우수하고 주로 돼지와 닭의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육분(肉粉: meat powder)
육엑기스의 제조시에 생기는 육 잔사를 건조, 분쇄한 것으로 폐사한 짐승 혹은 도축 처리장, 육가공장의 잔사의 肉片과 고기 찌꺼기를 煮沸하여 지방을 분리한 후 건조분말로 한 것이 있다. 일찍이 비료로서 이용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가축의 유효한 단백질 사료로서의 용도(用途)가 있다.
-
이종혼합사료(mixed feed of two ingredients)
행정상, 유통상으로 특정성분의 보급 혹은 수입관세의 면세조치를 받는 것등을 목적으로서 제조된 사료를 혼합사료라고 하지만 그 중에서 2종류의 사료원료를 혼합한 것. 일본에서는 분쇄 옥수수 또는 Milo에 2%이상의 어분을 혼합한[어분 2종 혼합]과 옥수수 또는 milo를 가열 압편하고 겨류 또는 식물성 유지를 5%혼합한 [압편 2종 혼합]이 있다.
-
전분질 사료(starchy feeds)
사료중 주성분으로서 전분을 함유한 것의 총칭. 이것에는 옥수수등의 곡류와 감자와 고구마등의 서류(庶類)가 포함된다.
-
중성 detergent 섬유(neutral detergent fiber: NDF)
NDF라고도 하며 식물의 조직을 중성의 세제액으로 자비(煮沸)하면 세포내용물이 용출한 세포벽이 남는다. 이것으로부터 다시 회분을 제거한 것을 중성 detergent 섬유(NDF)라고 하고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lignin)으로부터 된다. 이것들은 동물의 소화효소로는 소화되지 않고 소화관내에서는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받아 소화된다.
-
클로렐라(Chlorella)
녹조류(綠藻類)의 일종으로 배양에 의해 공업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조단백질 및 조지방이 많이 함유되어 있지만 소화율이 낮으므로 영양가는 효모보다 낮다. 현상태에서는 생산비용이 높기 때문에 사료로서의 이용은 곤란하다.
-
탈지쌀겨(defatted rice bran)
[쌀겨]로부터 유지를 얻은 잔사. 탈지의 방법에 의해 압착탈지 쌀겨와 추출탈지쌀겨가 있다. [생겨]에 비해 특히 추출탈지쌀겨는 보존성이 좋고 에너지 함량은 낮지만 단백질 함량은 높고 소의 기호성도 좋다. 인과 망간을 많이 함유한다.
-
탑드레싱(top dressing)
복수의 사료를 급여할 때에 최초에 준 사료(예를 들면 사일리지)의 위에 농후사료와 첨가물등을 가루로 만든 것을 뿌려서 급여하는 것.
-
특수밀기울(wheat bran containing high levels of flour)
정부지정의 사료용 소맥으로 생산되는 밀기울로 전관(專管)밀기울 및 증산(增産)밀기울의 총칭. 소맥분의 원료의 허비를 적게 하고 밀기울로의 소맥분의 혼합율을 높이고 있기 때문에 보통 밀기울보다 사료의 에너지가가 높다. 주로 소의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
특수사료(特殊飼料)
조사료, 농후사료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것으로 무기물과 비타민등의 보급(補給)을 목적으로 하는 사료. 또 특수한 목적으로 제조하거나 특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는 사료를 모아서 특수사료로서 분류하는 것이 있다.
-
해조류(seaweeds)
파래, 감태, 다시마, 미역등이 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가용성 무질소물, 조단백질, 무기물등을 많이 포함된다. 회수화물로서 라미나린(laminarin), 알긴산(alginic acid), 만난(mannan)등 해조에 특유의 다당류가 포함되어 있고 일반적으로 소화성은 나쁘고 기호성도 그다지 좋지 않다. 사료에 소량배합하면 요소등의 무기물의 급원이 된다.
-
혼합사료(complete feed)
유우가 필요로 하는 사료 영양소가 모두 적량(완전히)으로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Complete feed라고 불리지만 혼합사료(TMR)와 같은 의미이다. 미국에서도 초기에는 Complete feed라고 하였지만 최근은 TMR이라고 불리고 있다.
-
혼합사료(total mixed ration: TMR)
필요한 농후사료, 조사료, 미네랄, 기타 첨가제등 모두를 혼합한 사료. 혼합사료에 의한 사양법을 TMR체계라고 한다. 소를 비유 Stage등에 의해 군으로 나누고 자유채식시키는 것이 기본이지만 급사의 회수는 반듯이 일정하지는 않다. 혼합사료에는 어느 채식시점에서도 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율이 일정하기 때문에 제 1위내 발효의 안정화에도 우수하다. 이 때문에 계류식 사양의 유우에서도 혼합사료가 보급되고 있다.
-
사출성형처리(extruding)
Extruder(사출성형기)라고 불리는 장치에 의해 원료를 가공하는 Extrusion·Cooking(요리)기술. Barrel(배럴)이라고 물리는 통안을 가열하면서 Screw(스크루)로 원료를 압송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壓縮), 분쇄(粉碎), 혼연, 효소의 실활(失活), 살균(殺菌), 팽화(膨化), 성형, 탈취등의 현상이 생긴다. 사료의 기호성을 높이고 반추(미생물) 분해율을 저하시킨다.
-
암모니아 처리(ammonia treatment)
짚류등의 섬유질의 소화를 곤란하게 하는 리그닌 같은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알카리 처리가 있지만 그 경우의 알카리제에 암모니아(NH3)를 이용해서 처리하는 것. 통상 알카리처리의 효과로 가하여 질소의 보급효과에 의해 사료가치가 향상되고 또는 처리후 수세를 필요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
그라스 사일레지(grass silage)
고수분 사료(수분함량70∼80%)의 저장하기 위해 발효작용으로 생기는 유산에 의한 안정한 저pH의 발효상태를 지키는 것을 엔실리지(ensilage)라고 한다. 이용한 밀폐용기를 사일로, 가능한 발효사료가 사일리지이다. 생초를 주입재료로서 조제한 것이 그라스사일리지(grass silage)로 수분함량이 60%이하의 것은 헤일리지(heilage)라도 부른다.
-
저수분 사일리지(low moisture silage)
사일리지제조는 기본적으로는 생초와 박류등의 고수분(80∼70%)의 사료를 저장하는 방법이지만 재료의 종류에 의해서는 주입전에 예건하는 것에 의해 성분의 손실을 감소하고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주입시의 수분함량이 60%이하의 것을 저수분 사일리지라고 하며 특히 기밀 사일로에서 제조한 것을 헤이레지라고 한다.
-
황숙기(黃熟期: yellow ripe stage)
자실이 연하고 저항력이 약하게 되고 손톱으로 깨지게 되는 생육단계. Dent corn(사료용 옥수수)에서는 입자의 정부(頂部)가 움푹들어 가고 [보조개]와 같이 되고 줄기와 잎의 녹색은 퇴색해 간다. Whole crops의 건물율은 55∼60%이고 사일리지용으로서는 예취의 적기로 식물전체의 건물중량이 최대가 되는 시기이다.
-
가로틴(carotene)
α, β, γ-카로틴등은 생체내에 비타민 A로 전환되므로 Provitamin A라고 불르고 있다. β카로틴이 가장 강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지만 카로틴의 Vitamin A로의 전환효율은 동물의 종류에 의해 다르다. 곡류에는 적지만 알팔파, 청초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
가용무질소물(nitrogen free extract: NFE)
사료의 일반분석으로 얻을 수 있는 성분중 하나로 100%보다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조회분의 합(%)를 뺀 것. 전분과 당류의 이용성이 높은 탄수화물이 주체이지만 전분과 당류 그것의 분석이 거의 번잡하므로 사료분석에서는 가용무질소물을 가지고 그 대용으로 한다. 조섬유와 가용무질소물의 함량으로 전체 탄수화물을 대표시키는 것이 많다.
-
가용성 당류(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가용성턴수화물과 동의. 사일레지의 유산발효에 이용되는 탄수화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WSC함량은 사일레지의 발효품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인자로 고수분의 재료에서는 신선물중 2∼3%이상의 WSC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재료초의 WSC함량이 적은 경우에는 당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가 이용된다.
-
가용성 섭취 단백질(soluble intake protein: SIP)
섭취단백질중 반추에서 용해하는 분획. 비유우에서는 섭취단백질의 30%정도가 SIP인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염류용액에 대한 용해도로부터 추정할 수 있다.
-
가용성 탄수화물(soluble carbohydrate: SC)
열수에 용해한 탄수화물의 총칭. 단당류, 소당류(한지형 화본과 목초에 많다)가 함유되어 있지만, 전분(난지형 화본과 목초와 두과목초에 많다)는 완전히 추출할 수 없는 것으로 제외된다. 소화율이 높고 에너지로서의 이용율도 높다. 반추미생물에 의해 용이하게 발효된다.
-
균체단백질(bacterial protein)
반추세균체 단백질. 반추분해성 단백질로부터 생합성된다. 필수 아미노산이 전부 포함되고 사료중에 단백질이 함유되지 않더라도 비단백질소화합물로부터 균체단밸질합성으로 년 4,000kg의 유생산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고비유우와 육성전기에는 균체단백질만으로는 단백질요구량을 충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반추비분해성 단백질의 공급이 필요하게 된다.
-
니아신(niacin)
비타민 B군의 일종으로 [니코틴산(nicotine acid)]이라고도 한다. 체내에 트립토판(tryptophan: 방향족 아미노산의 하나. 필수 아미노산-카세인, 피브린 그밖의 단백질에서 얻음)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다. 니아신을 함유한 비타민 B군은 제 1위내 미생물에 의해 충분한 양만큼 합성할 수 있다고 하지만 근래 비유초직의 소에서는 니아신 합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알았다. 니아신에는 탄수화물·지질 대사의 개선, Ketosis(케토시스)의 방지 효과가 있다.
-
단백질 사료(protein supplement feeds)
사료중 비교적 단백질 함량이 높은 것의 총칭. 이것들에게 속하는 것으로서 식물성 사료로는 유박류와 두류가 있고 동물성 사료에는 어분과 탈지분유등이 있다.
-
단백질(protein)
생물체의 주요구성성분인 고분자의 질소화합물. 약 20종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고 질소의 평균 함량은 16%, 가축의 생명유지와 생산을 위해서 필수 영양소인 동시에 고기, 가죽, 털, 유(乳)등의 축산물의 주성분이다. 사료 단백질의 영양가는 단위가축에서는 소화율과 아미노산 조성에 의해 결정되지만 반추가축에서는 제 1위(Rumen)비분해성 단백질의 아미노산 조성과 소장에서의 소화율이 중요하다.
-
동(copper)
원소기호 Cu로 표시되는 필수 미량무기물의 하나. 혈액중 헤모글로빈합성에 필요하고 동이 부족하면 빈혈을 일으킨다. 과잉의 철과 몰리브덴(Mo)에 의해 이용성이 억제되면 동결핍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
락툴로스(lactulose)
유당을 알카리성조건하에서 가열하여 생성한 이성화 유당으로 용해도가 크고 또 상쾌한 감미를 가지고 있다. 소장내에서는 대부분 소화되지 않기 때문에 저 칼로리 식품고 다이어트 식품등에 이용된다. 또 대장내에서는 비피두스균(bifidus bacterium)의 증식인자로서 기능을 하기 때문에 그것을 첨가한 육아용 특수조제분유도 있다. 유당의 유효 이용을 위한 대상의 하나이다.
-
마그네슘(magnesium)
원소기호 Mg. 사료중에 널리 존재하는 다량 무기물. 동물체내에는 약 0.04% 존재하고 많은 효소반응의 보인자로서 중요하다. 방목우등에서는 결핍에 의해 혈청(血淸)중 ?량이 낮아지면 흥분하기 쉬워지고 저 마그네슘 테터너스(Mg tetanus)라는 경련성의 마비증상을 일으키고 사망하는 수가 있다.
-
무기물(mineral)
다량무기물과 미량무기물로 크게 구별된다. 사료, 동물체에 존재하는 무기원소 중 칼슘(Ca), 인(P), 나트륨(Na), 염소, 마그네슘(Mg), 유황, 철(Fe), 요소(I), 망간(Mn), 동(銅), 코발트(Co), 아연(亞鉛), 셀렌(Se) 등은 영양상 불가결한 필수무기물이다. 텅스텐(W), 몰리브덴(Mo), 식염(食鹽), 골분(骨粉)등이 포함된다.
-
무기질사료(mineral feed)
칼슘(Ca), 인(P), 나트륨(Na)등의 보급을 목적으로 한 사료로 광물성 사료라고도 부른다. 농후사료, 조사료의 어느 것에도 속하지 않는 특수사료의 일종이다. 탄산 칼슘, 인산칼슘, 식염, 골분등이 포함된다.
-
바이페스아미노산(bypass amino acid)
보호(protect)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 아미노산은 그대로 제 1위에서 빠르게 분해되기 때문에 제 1위에서는 분해되기 않고 소장에서 흡수되도록 가공한 아미노산제제. 고비유우에서는 제 1위로부터 유하하는 단백질만으로는 필수아미노산, 특히 리신(lysine)과 메티오닌(methionine)이 부족하다고 생각되고 이것을 Bypass amino acid으로서 급여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유지로 코팅한 메티오닌등이 상품화되고 있다.
-
반추위내 분해성 단백질(Rumen degradable protein: RDP)
제 1위내에서 분해되는 사료 단백질. 일반적으로는 용해도가 높은 단백질일수록 급속하게 분해된다. 비단백질소 화합물과 함께 제 1위내에서 미생물체 단백질로 재합성되지만 과잉하게 공급된 경우는 분해산물의 암모니아가 이용되지 않고 질소의 손실이 된다. 일반적인 사료에서는 UDP보다 RDP가 많다.
-
반추위내 분해성 단백질(Rumen degradable protein: RDP)
제 1위내에서 분해되는 사료 단백질. 일반적으로는 용해도가 높은 단백질일수록 급속하게 분해된다. 비단백질소 화합물과 함께 제 1위내에서 미생물체 단백질로 재합성되지만 과잉하게 공급된 경우는 분해산물의 암모니아가 이용되지 않고 질소의 손실이 된다. 일반적인 사료에서는 UDP보다 RDP가 많다.
-
반추위내 비분해 단백질(Rumen undegradable protein: UDP)
루멘 Bypass 단백질이라고도 한다. 루멘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제 4위이하로 유하는 사료단백질. 고비유우에서는 루멘 미생물체 단백질만으로는 단백질 요구량을 충족할 수 없고 양질의 UDP가 필요하다. 어분, 변성 대두 단백질과 옥수수 단백질 등은 루멘에서의 분해율이 낮다. 총섭취 단백질에 UDP가 차지하는 비율은 통상 30∼50%의 범위에 있다.
-
반추위내 비분해 단백질(Rumen undegradable protein: UDP)
루멘 Bypass 단백질이라고도 한다. 루멘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제 4위이하로 유하는 사료단백질. 고비유우에서는 루멘 미생물체 단백질만으로는 단백질 요구량을 충족할 수 없고 양질의 UDP가 필요하다. 어분, 변성 대두 단백질과 옥수수 단백질 등은 루멘에서의 분해율이 낮다. 총섭취 단백질에 UDP가 차지하는 비율은 통상 30∼50%의 범위에 있다.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산의 총칭.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약20종의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기타 생체내에서 특수한 작용을 하는 유리, 혹은 결합한 아미노산도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전부 생합성할 수 있지만 동물에서는 약 전체수의 반을 사료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다. → 필수 아미노산.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산의 총칭.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약20종의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기타 생체내에서 특수한 작용을 하는 유리, 혹은 결합한 아미노산도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전부 생합성할 수 있지만 동물에서는 약 전체수의 반을 사료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다. → 필수 아미노산.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산의 총칭.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약20종의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기타 생체내에서 특수한 작용을 하는 유리, 혹은 결합한 아미노산도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전부 생합성할 수 있지만 동물에서는 약 전체수의 반을 사료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다. → 필수 아미노산.
-
요소(urea)
(NH2)2CO로 나타나게 되는 비단백질소 화합물. 종래 질소비료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소등의 반추가축의 질소원으로서 사료에 첨가하여 이용된다. 우용사료로의 첨가한계는 2%라고 되어 있다. 급여법을 잘못하면 중독의 원인이 된다.
-
인(phosphorus)
다량 무기물의 일종으로 원소기호 P. 80%가 칼슘과 함께 뼈와 이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인지질, APT 등의 성분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반추 가축에서는 다량의 인산염이 타액으로부터 분비되고 제 1위내 pH와 침투압의 조절을 행하고 있다. 가축에 공급할 때는 칼슘의 비율이 중요하다.
-
인(phosphorus)
다량 무기물의 일종으로 원소기호 P. 80%가 칼슘과 함께 뼈와 이를 형성하고 나머지는 인지질, APT 등의 성분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다. 반추 가축에서는 다량의 인산염이 타액으로부터 분비되고 제 1위내 pH와 침투압의 조절을 행하고 있다. 가축에 공급할 때는 칼슘의 비율이 중요하다.
-
인산 삼석회(tricalcium phosphate)
사료용 인산 칼슘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인산 이석회와 비교하면 칼슘함량이 많다. 인함량은 15%, 또는 18%이상. 칼슘 함량은 29%이상, 불소 함량은 0.12%이하이다.
-
인산 삼석회(tricalcium phosphate)
칼사료용 인산슘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인산 이석회와 비교하면 칼슘함량이 많다. 인함량은 15%, 또는 18%이상. 칼슘 함량은 29%이상, 불소 함량은 0.12%이하이다.
-
인산 이석회(dicalcium phosphate)
인산삼석회와 함께 사료용의 인산 칼슘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인산 함량은 15%, 또는 18%이상, 칼슘 함량은 21%이상이다.
-
인산 이석회(dicalcium phosphate)
인산삼석회와 함께 사료용의 인산 칼슘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인산 함량은 15%, 또는 18%이상, 칼슘 함량은 21%이상이다.
-
전분(澱粉: starch)
글루코오스가 중합(重合)한 다당류이고 직쇄(直鎖) 구조의 아밀로오스(amylose)와 분기(分岐) 구조의 아밀펙틴이 있다. 식물세포내에 전분 입(粒)으로서 저장되고 곡실, 괴근(塊根), 지하경 사료의 주성분이다. 가축의 에너지급원으로서 중요하고 주로 소장에서 분해되고 글루코오스로서 흡수·이용된다. 반추가축에서는 제 1위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고 주로 휘발성 지방산(VFA)으로 되고 에너지원 등으로 이용된다.
-
전분가(starch value: SV)
도이칠란드의 켈넬이 제창한 사료의 에너지가치를 나타내는 단위. 소의 체지방생산에 대한 사료의 효과를 전분의 효과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낸 것. 사료 1kg이 가지는 에너지가 전분 몇 kg에 해당하는가를 표시한다. 일본에서는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다.
-
전분박(starch pulp)
감자와 고구마등의 서류로부터 전분을 제거한 잔사로 생전분박은 수분을 80%이상 함유하고 있다. 이대로 소와 돼지에게 급여할 경우도 있지만 사일리지와 건조하여 이용하는 것도 있다. 건조전분박은 가용성 무질소물을 60%이상 함유하고 조단백질 함량은 5%이하이다.
-
조단백질(crude protein: CP)
사료의 일반성분중 하나로 CP라고도 표시한다. 사료의 단백질은 약 16%의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것에 6.25를 곱하여 구한다. 곡류에는 대부분이 순단백질이지만 조사료에서는 요소, 아미드, 아미노산등의 비단백질소화합물도 포함되는 것이 많다. 더욱 초산태 및 아초산태의 질소는 보통의 조단백질의 분석방법에서는 특정치로 나타나지 않는다.
-
조섬유(crude fiber)
사료의 일반성분의 하나. 시료를 약산과 약알칼리액에 순차 자비(煮沸) 후 알콜 등으로 세정하고 건조한 잔사로 회분을 뺀 것. 셀룰로스, 리구닌이 주성분. 사료의 불소화부분을 가르킨다고 되어 있지만 일부가 제 1위와 맹장에서 소화되고 리구닌등 본래 불소화인 성분이 분석과정에서 용출하기 때문에 화학적 근거로는 의문이 있다.
-
철(iron)
원소기호 Fe로 표시되는 필수미량 무기물의 하나. 혈액헤모글로빈 구성분으로 부족하면 빈혈을 일으킨다. 유즙중에는 적고 유축(幼畜)에서는 철이 부족하는 일이 있지만 초류, 곡류등의 사료에는 충분히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성축에서 결핍하는 일은 드물다.
-
칼륨(potassium)
원소기호 K. Ca, P에 다음으로 동물체내에 많이 존재하는 무기물. 특히 세포내에 존재하며 체액의 pH와 침투압(浸透壓)의 조절에 관여한다. 소등의 반추가축에서는 K를 많이 함유한 초류를 다량섭취하기 때문에 부족한 것은 적다.
-
칼슘(calcium: Ca)
원소기호 Ca. 동물체내에 가장 많은 무기물로 그 99%가 뼈와 이에 존재한다. 유우에서는 부족하면 뼈에 축적된 Ca을 우유중에 분비하므로 뼈가 부서지기 쉽다. 분막직후의 유우에게 일어나는 유열도 Ca결핍증의 하나이다. 동물에게 Ca을 보급할 경우 특히 인과의 비율이 중요하다.
-
칼슘:인dml 비율(Calcium : Phosphorus ratio)
칼슘과 인의 비율은 뼈에서 약 2:1, 우유에서 약 1.3:1이다. 그리고 유우의 사료중 칼슘: 인의 비는 1.5:1로부터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
코발트(cobalt)
원소기호Co. 필수미량무기물의 하나로 비타민B12의 구성성분. 소등의 반추가축은 Cork 있으면 제1위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비타민 B12가 합성된다. Co가 부족하면 식욕부진, 빈혈 등의 비타민 B12 결핍증상을 보인다.
-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CaCO3. 칼슘의 급원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백색 또는 회백색의 무기질 사료. 사료용으로서는 칼슘 함량 38%이상의 석회석이 이용되고 있다.
-
함황아미노산(sulfur containing amino acid)
유황을 함유한 아미노산의 총칭. 메티오닌, 시스틴(cystine), 시스테인(cysteine)이 있다. 어분에 많고 식물성유박류에는 적다. 유생산에서도 비교적 부족하기 쉬운 필수 아미노산이다.
-
휘발성염기질소(volatile base nitrogen)
알카리성에서 통기 또는 가온하면 휘발하는 염기성화합물의 총칭으로 암모니아와 저분자아민(메틸아민등)등이 있다. 사일레지단백질의 분해도와 어분등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이용된다.
-
휘발성지방산(volatile fatty acids: VFA)
저급지방산이라고도 부른다. 반추가축의 제1위내에 있어서는 주로 사료중의 탄수화물에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그 주요한 것은 초산, 프로피온산, 낙산이다. 이것들의 조성은 급여한 사료의 질에 의해 크게 영양을 받고, 섬유질이 많으면 초산의 비율이 전분질이 많으면 프로피온산이 또는 단백질이 많으면 낙산의 비율이 증가한다. VFA는 제1위벽으로부터 흡수되고 소의 에너지원과 유성분의 원료로서 이용된다.
-
?뿌림(over-seeding)
추파(追播)라고도 한다. 기간(基幹)목초의 밀도의 저하. 초종구성의 단일화. 나지(裸地) 발생등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한 초지의 초생을 회복시키기 위해 목초 종자를 초지에 직접파종한다. 더욱 추파 종자의 발아, 정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Disc harrow와 Rotary harrow등으로 지표처리한 후에 파종하여 진압할 필요가 있다.
-
연맥의 재배
온난지의 겨울사료작물로서 재배되고 주로 Whole crop 사일리지(silage)에 이용된다. 다른 보리류에 비교해서 춘파성 정도가 높지만 내한성은 약간 떨어진다. 8월 하순부터 9월 상순에 파종하고 연내에 수확하는 추작재배와 2월 하순부터 3월 중순에 파종을 행하는 춘작재배가 적당하고 그 때문에 극조생 품종이 다수 사용되고 있다.
-
영양 성장기(vegatative stage)
식물의 발아로부터 구분하고 미숙한 이삭이 분화, 형성될 때까지의 기간. 시비량에 의해 생육량은 변화하지만 생식성장으로의 전환이 늦기 쉽다. 게다가 다비의 경우는 도복(倒伏)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적절한 비배(肥培)관리가 필요하고 조만생과 파종기에 의해서도 기간의 장단점은 크게 변한다. 또는 한냉지형 화본과 목초의 대부분이 초종(草種)으로 일번초를 빼고 2,3번초는 영양성장기의 풀을 수확한다.
-
월동성(wintering ability)
주로 내한성과 내설성으로 좌우되지만 일반적으로는 티모시가 강하고 다음에 오처드글라스와 토올페스큐(Tall fescue)등 그리고 약한 것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Perennial ryegrass)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연맥등이다. 균핵병등의 내병성의 차도 관계하지만 봄의 해빙시까지 남는 눈(雪)의 기간이 100일이상의 경우에는 주의해야 할 성질이다. 북해도(훗카이도)의 동부에서는 알팔파(alfalfa)에 있어서 다설지대에서의 흑색소립균핵병에 의한 눈의 부패병과 소설지대에서의 지하부의 동해(凍害)에 의한 원인이 명확하게 되어 있다.
-
월하생(summer survival)
한지형 목초에는 생육에 적당한 온도는 약 15∼20℃경우가 많고 부현에서는 7∼8월의 기온과 강수량에 의해 하고의 차가 크게 다르고 월하후(9∼11월)의 생육이 좌우된다. 특히 고온의 한발(旱魃)이 주요 요인으로 특히 고사병 등의 내병성, 조만성등에 의해서도 변한다. 또한 고온과 한발이 제 1차적 요인이 되고 목초의 생리적 활성이 약해지고 2차적으로 병원균
에 침해되어 이병(罹病)할 경우도 있다.
-
건초(hay, dried grass)
청예한 초류를 건조하고 수분을 12∼20%정도로 한 것으로 장기간 저장할 수 있다. 자연의 일광으로 건조한 것이 자연건초(hay), 인공적으로 외기 또는 열풍을 통풍하여 건조한 것이 인공건초(dried grass), 성분은 재료초의 종류, 토양, 예취시기, 조제등의 조건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
건초박편(hay wafer)
웨이퍼(wafer)라는 것은 "얇게 구운 빵"의 것이고 건초를 길채로 혹은 적당한 길이로 절단
하여 판상(원판상)으로 압축 성형한 것. 이것도 펠렛(Pellet)과 크럼블(Crumble) 등과 같이
사료의 저장과 운반의 편의(便宜) 혹은 기호성을 고려한 가공성형의 한가지 방법이다.
-
대두간(줄기): soybean straw
완숙한 대두의 종실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으로 약 40%의 조섬유를 함유하지만 조단백질 함량은 약 5%로 낮다. TDN함량은 40%정도로 낮기 때문에 소위 조섬유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
대두피(soybean hull)
대두의 채유공정으로 종실로부터 분리한 외피. 약 35%의 조섬유와 약 12%의 조단백질을 함유하고 유우의 섬유원으로 유효하다.
-
라디노 클로버(Ladino clover)
다년생이고 온화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 방목용으로 알맞은 목초로 우리나라 혼파초지에 흔히 파종한다.
-
버어드 풋 트레포일(Birdsfoot trefoil)
다년생 두과목초로서 어린식물은 적고 약한 뿌리를 가지고 있으나 성숙기에 이르면 강한 곧은 뿌리를 뻗는다. 잎이 많고 잎자루가 없이 5개의 적은 잎으로 구성되며 줄기 밑동으로부터 많은 가는 줄기를 내어 총상을 이루며 꽃색은 연노랑, 진노랑 또는 오렌지색이다. 종자의 꼬뚜리가 새의 발처럼 생겼다고 버어드 풋 트레포일이라고 한다. 다른 목초에 비하여 방목에 약하므로 과방목을 피하고 예취후의 재생은 벤 구르터기에 남아있는 잎에 의해 탄수호물 합성능력이 좌우되므로 약간 높게 예취하는 것이 좋으며, 두과 목초중 고창증을 일으키지 않는 특성을 가진 목초이다. 건초조제에 적합한 목초이며, 지속성이 3∼4년으로서 배수가 좋은 곳은 알팔파보다 수량이 약 30%적으나 소화율과 조단백질함량은 같다.
-
수단그라스
수수속에 속하는 1년생 작물로 초장이 90∼150cm이며 청예뿐만 아니라 건초, 사일리지, 방목으로도 이용이 가능하다. 청산의 함량이 문제가 되므로 초장이 50cm이상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전초사일리지(Whole crop silage)
사료작물의 종실과 경엽을 함께 조제한 사일리지. 전초사일리지라고도 한다. 청예작물은 종실이 열리면 경엽부의 영양가와 기호성이 저하한다. 종실의 완숙전에 예취하고 경엽부도 함께 이용하면 청예보다도 에너지 함량이 높은 사일리지재료를 얻을 수 있다. 사료용 옥수수가 대표적으로 유우에게 왕성하게 이용되고 있다.
-
조사료:마초(forage)
본래는 우마등의 초식가축에게 주는 식물성 사료의 마량(馬糧)을 의미하고 있지만 방목 또
는 예취이용하는 목초 및 사료작물의 총칭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건초, 엔실리지, 사일리지,
청예작물등을 포함한다. 광의로는 조사료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볏짚류와 작물부산 경
엽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있다.
-
청예(Soiling crop, soilage)
옥수수(corn) 와 대백(보리)등, 씨, 열매 생산용 작물을 생육 도중 청예사료라 한다. 따뜻한 곳(暖地) 의 소규모 경영에 있어 Sorghum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Italian ryegrass)의 청예 급여가 많다. 중규모 경영에 있어서도 옥수수 사일리지(silage) 제조의 전후에 잉여 재료를 청예 급여할 경우가 있다.
-
펄프류
사탕무우로부터 사탕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잔재(殘滓)(beet pulp), 서류(庶類)로부터 전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전분펄프(전분박)와 밀감류에서부터 쥬스·통조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밀감의 껍질을 주체로 한 잔재등이 있고 생것 또는 건조하여 이용한다. 가용성 무질소물과 섬유성분이 주체이고 가축에 의한 소화성은 높고 소의 사료로서 이용성이 높다. 그러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낮다.
-
헤이리지(haylage): 생목초
일반적으로 말하면 저수분 사일리지이고 특히 Steel 제의 기밀사일로를 이용하여 수분함량
을 50%전후로 조제한 목초류를 가득 채운 것을 말한다.
-
제 1위 발효(Rumen fermentation)
루멘발효라고도 하며 제 1위내에서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사료성분이 분해되고 각종의 발효산물이 만들어 짐과 동시에 미생물체 성분이 합성되는 것을 가르킨다. 발효의 결과, 휘발성 지방산(VFA), 수용성 비타민 및 미생물 단백질등이 만들어 지고 동물의 영양원으로 되고 성장과 유(乳), 육(肉)의 생성에 이용된다. 조농비(조사료와 농후사료의 비)와 사료의 종류가 바뀌면 VFA비율등의 발효패턴이 변화하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있다.
-
제 1위(Rumen)
반추동물의 제 첫 번째의 위로 루멘(Rumen)이라고도 한다. 제 1위의 용적은 성우에서 150∼200ℓ로 팽대하고 소화관 전체의 약 50%를 차지한다. 제 1위에서는 세균, 원생동물 및 진균등의 미생물이 다량 생식하고 사료성분을 소화하고 있다. 제 1위의 점막상피로는 다수의 융모가 있고 발효산물을 흡수하고 있다. 보통 제 1위내는 온도(39℃), pH(6∼7), 혐기도(-150∼-350㎷)와 같이 항상성이 유지되고 있지만 농후사료 다급등으로는 위내환경이 악화하여 미생물의 구성이 흩어지고 여러 가지의 소화 장애에 빠진다
-
제 2위(reticulum)
반추동물의 제 2위는 복위 전체의 5∼8%의 용적으로 제 1위에 연속하고 있고 발효의 기능은 제 1위와 닮고 있기 때문에 양자를 합쳐서 반추위라고 한다. 제 2위내면의 상피는 규칙적인 4∼6각형의 독특한 구조이므로 봉소위(蜂巢胃: 벌집위)라고도 불려진다. 펌프와 같이 수축과 이완을 되풀이 하여 행하고 위운동에 의한 내용물의 교반과 제 3위로의 이송등에 관계하고 있지만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한 점도 많다.
-
제 3위(Omasum)
반추 동물의 제 2와 제4위의 사이에 있는 원형의 위로 복위 전체의 5∼10%의 용적을 가진다. 내면에 엽상의 넓은 주름이 다수 있고 내용물의 이동조절과 휘발성 지방산·수(水)·무기이온의 흡수등을 행하지만 제 3위의 기능에 대해서는 아직 불명확한 점이 적지 않다.
-
제 4위(abomasum)
돼지등의 단위동물의 위에 해당하고 복위 전체의 약 10%의 용적을 가진다. 성우에서는 1일에 약 30ℓ의 위액을 분비하고 이것에는 염산과 단백질 분해효소인 펩신(pepsin)이 포함되고 내용물의 pH는 2∼3이 되고 단백질의 소화가 진행된다. 포유자우의 제 4위에서는 우유중의 카제인(casein)을 응고시킨 레닌(rennin)을 분비하고 그 소화를 용이하게 한다.
-
청각(聽覺: auditory sense)
음파의 자극에 의해서 발생하는 감각을 말한다. 음파에는 공기와 물등의 매체를 통하여 내이(內耳)등의 기관에 의해 감수(感受)된다. 음의 진동이 내이(內耳)에 있는 코르티 기관(Corti's organ : 나선기. 내이의 와우막(蝸牛膜)위에 놓인 소리의 감수기관. 와우를 따라 나선형으로 되었으며 소리를 감수하는 유모세포와 이것을 지지하는 지지세포로 되어 있음. 이탈리아의 해부학자인 코르티(Corti, Alfonso; 1822-88)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전해져 그 흥분이 청신경(와우신경)을 통하여 대뇌의 청각분야에 전해지게 된다.
-
타액(唾液: saliva)
이하선, 악하선, 설이선등으로 부터의 분비액의 혼합액으로 점조성을 가지고 미알카리성을 보인다. 소의 혼합타액의 1일당 분비량은 100∼190ℓ이다. 소의 타액중에는 무기물로서 Na, 중탄산, 인등이 함유되고 알카리성(pH8.2)이고 유기물로서 요소등이 함유되어 있다. 타액은 제 1위내 pH의 중화 및 제 1위발효를 진척시키는 데에 필요한 수분 및 중탄산 나트룸의 보급이 중요하다.
-
동기관개(winter irrigation)
수원이 풍부한 지방에서 실시되고 있는 관개법으로 많은 산간의 용수(湧水)를 이용하고 있다. 여름사이의 수전용수를 만추로부터 익년의 조춘에 걸쳐 목초지에 계속 흐르게 한다. 지온의 상승, 적설지에서는 녹는 눈을 빠르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고 더욱 토지의 pH가 개선되고 목초생산은 주변의 무관개지에 비해 수배가 되는 것도 있다.
-
막기술(membrane technology)
역침투와 한외(限外) 투과(透過)의 2가지 방법이 있고 모두 가는 구멍을 가지는 특수한 막을 사용하는 기술이다. 유업(乳業)에 있어서는 주로 Whey의 처리에 이용된다. 역 침투법은 분자량이 500이하의 성분(유당, 미네랄)을 투과하지 않는 구멍 지름을 가지는 막을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지만 이때 침투압(浸透壓)을 반대로 높은 압력을 걸기 때문에 역침투라고 한다. 한외 투과법은 분자량 500이상의 성분(whey단백질)을 투과하지 않는 구멍지름을 가지는 막을 이용하고 유당, 미네랄, 수분을 제거하여 Whey단백질을 농축한다. 양 기술의 특징은 열을 가하지 않고 물의 제거와 성분 농축이 가능한 점에 있고 부가가치가 높은 소재, 제품을 얻기 위한 신기술로서 활용되고 있다.
-
멀칭(mulching: 토양피복. 작물뿌리 주위에 짚이나 나뭇잎등을 덮어 흙의 건조나 다습을 방지하는 재배법)
작물이 생육하고 있는 밭의 토양을 짚등으로 덮은 것을 Mulching라고 한다. 최근은 비닐을 사용한 Mulch가 일반화되고 있다. 한냉지에서 옥수수의 유묘기(有苗期)를 이 방법으로 생육시키고 관행적으로 생육시킨 것과 같은 수확량을 얻는다. Mulch재배에 의한 Dent corn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
연작 장해(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동종과 그것에 근연의 작물을 연작하면 토양은 작물에 대한 적합성을 잃고 병충해등의 발생이 많아지고 연작한 작물은 일반적으로 감수(減收)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연작 장해 또는 기지현상이라고 한다. 윤작과 함께 완숙 쇠두엄의 적량시용, 심경, 유용 토양 미생물의 시용등은 연작 장해의 경감효과가 있다.
-
연작 장해(injury by continuous cropping)
동종과 그것에 근연의 작물을 연작하면 토양은 작물에 대한 적합성을 잃고 병충해등의 발생이 많아지고 연작한 작물은 일반적으로 감수(減收)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연작 장해 또는 기지현상이라고 한다. 윤작과 함께 완숙 쇠두엄의 적량시용, 심경, 유용 토양 미생물의 시용등은 연작 장해의 경감효과가 있다.
-
엽면적 지수(leaf area index)
LAI라고도 하며 작물의 전엽 면적이 그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토지면적의 몇배에 해당하는가라는 것. 결국 엽면적과 재배토지 면적의 비율이고 엽의 번무 정도를 가르킨다. 어떤 군락의 성장 속도는 LAI로 구성하는 식물 잎의 광합성 능률에 의해 지배되지만 이것을 최대로 하는 LAI를 최적 엽면적 지수라고 부른다.
-
웅수추출기(tasseled stage)
옥수수와 같은 자웅이화의 작물에 있어서 엽초의 정단부터 웅수(雄穗)가 추출되기 시작하는 시기. 보통은 전개체의 50%로 웅수가 보인 시기. 3∼4일로 개화하고 화분이 비산(飛散)한다. 웅수가 추출되기 시작하여 5일 정도후에 잎이 붙어 있는 부분에서 자수(雌穗)의 선단이 나오고 거기에서 견사(絹紗)가 추출되고 수정이 완료된다.
-
유숙기(乳熟期: milk-ripe stage)
75%의 자실에 대해서 손으로 누르면 유상의 내용물이 나오는 생육단계. 자실은 백색으로부터 차제(次第)로 품종 고유의 색으로 변해 간다. 암수의 길이가 결정되는 시기이다. 경엽은 녹색(綠色)을 가지고 있다. sweet corn에서는 자실의 건물율이 25%가 된 때가 수확의 적기이다. Dent corn은 80% 전후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다.
-
유효수분(available moisture)
토양수분중 식물이 흡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형태의 수분인 것으로 모관수와 중력수가 대부분이다. 흡습수(吸濕水)와 같이 토양입자의 표면에 강한 힘으로 흡착 보지되고 있는 수분은 식물에 이용될 수 없지만 동시에 수분이 너무 많아서 유리수가 존재하게 되면 습해(濕害)의 원인이 되고 이것을 무효수분이라고 한다.
-
유효적산기온(total effective temperature)
작물의 생육에 유효한 전생육기간의 일평균 기온을 적산한 합계. 옥수수의 유효기온의 기준은 일반적으로 10℃이다. 그리고 발아에서 황숙기까지의 10℃기준의 유효적산기 은 품종에 의해 일정하고 파종기와 연차에 거의 관계가 없기 때문에 재배 계획의 기본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
윤작(crop rotation)
지력의 저하와 병충해의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해 초지의 후에 옥수수와 맥등의 곡류를 재배하고 곡류후 재차 초지로 바꾸는 재배방법. 여름작물과 겨울작물도 광의의 윤작이지만 여름작물 및 겨울작물의 초종을 바꾸는 것이 광의의 윤작으로 3∼5년 정도를 단위로 하는 계획적인 재배가 기본이 된다.
-
윤재식 농법(nonfolk farming)
곡물과 그것 이외의 작물(근채류, 클로버등)을 교체하여 재배하는 농법. 17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에 걸쳐 유럽에 있어서 확립되었다. 이 농법의 원형인 nonfolk 4포식 윤재는 사료 순무-대맥-레드클로서-소맥의 순서로 해하고 지방의 유지와 생산성의 향상을 목표로 했다. 과학적 윤작이라고도 하며 이 농법의 보급이 축산의 발전을 재촉했다.
-
장대작물(長大作物: tall crop)
옥수수, Sorghum등 높은 초장을 가진 사료작물. 높은 광이용효율과 광합성 능력을 가지고 건물생산성이 크다. 또 비료의 흡수력이 크고 다비 다수 재배에 적합하다. 고온 조건하에서 왕성하게 생육하기 때문에 여름 농작물이 되고 생초·사일리지로서 이용된다. 한냉지, 고랭지에서는 온도부족으로 생산성은 감소한다. 또 온난지에서는 태풍에 의한 도복(倒伏)이 문제가 된다.
-
장일식물(long-day plant)
화아(花芽)의 형성과 개화의 시기는 1일중 하루의 길이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하루의 길이가 어느 시간(한계낮길이)보다 길게 되면 화아 형성과 개화가 촉진되는 식물을 장일 식물이라고 한다. 반대로 낮 길이가 짧아지면 촉진되는 식물을 단일식물이라고 한다. 보리류와 대부분의 한지형 목초는 장일성이고 옥수수와 대두는 단일성이다. 품종은 다른 한계일장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품종의 조생, 만생을 결정하는 큰 원인이 되고 있다.
-
전환밭(conversion of field)
수전(水田)과 상원(桑園), 과수원(果樹園)등을 밭으로 전환한 밭의 총칭. 수전이용 재편대책에 의해 수전을 밭으로 전환한 것이 많다. 계획적으로 다시 수전등으로 돌릴 경우는 윤환 밭이고 수전과 과수원으로 돌릴 계획이 없는 경우가 전환 밭이다.
-
정착(establishment)
파종된 목초종자가 발아, 발근(發根)하여 충분히 생육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다는 것을 말한다. 추파후 월동하여 봄에 이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말하는 경우도 있다. 발아·정착에 영향하는 인자는 기상조건, 토양수분, 양분, pH, 파종시기등이 더해진다.
-
조위점(凋萎点: wilting point)
토양수분이 감소하면 식물은 시들어 지지만 급수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 그러나 시들어짐이 심하게 되면 급수하여도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영구적인 시들음이 시작될 때에 토양이 보지(保持)하고 있는 수분량을 말한다. 조위점은 물이 토양입자에 흡인(吸引)되고 있는 힘의 정도를 가르키는 pF에 의해 표시되고 토성에 의해 다르지만 대부분 pF 4.2정도이다.
-
파성(Habit of seeding season)
보리와 이탈리안 라이그라스등은 어느 때 뿌려도 출수하는 것과 가을에 뿌리면 출수하지만 봄에 뿌린 것에는 경엽은 번무하여도 출수하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출수성에 의해 Ⅰ∼Ⅶ의 7가지로 구분한다. Ⅰ∼Ⅱ는 춘파성이 높고 추위를 대면하지 않더라도 출수하지만 Ⅴ∼Ⅵ은 추파성이 높고 추위를 대면하지 않으면 출수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즉 추파성 품종은 본래 영양성장을 과도하게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
혼파(mixed seeding)
입지조건, 이용목적 및 관리의 집약도등을 고려하고 2종류이상의 초종과 품종을 조합하여 일제히 파종하는 것. 원칙으로서 기간초종은 화본과 목초 1종, 두과목초 1종의 편성으로 하는데 그 기간초종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2∼3의 보조초종을 가한다.
-
윤작(crop rotation)
지력의 저하와 병충해의 발생을 경감시키기 위해 초지의 후에 옥수수와 맥등의 곡류를 재배하고 곡류후 재차 초지로 바꾸는 재배방법. 여름작물과 겨울작물도 광의의 윤작이지만 여름작물 및 겨울작물의 초종을 바꾸는 것이 광의의 윤작으로 3∼5년 정도를 단위로 하는 계획적인 재배가 기본이 된다.
-
Grain sorghum
sorghum중 짧은 줄기, 태경(큰 줄기), 광엽(廣葉)으로 자실용으로 재배되는 품종군. 생태적 특성으로부터 특히 카피아, 마이로, 헤가리등의 품종군으로 나누어진다. 미국에서는 주로 농후사료용 자실생산을 위해 재배되지만 일본에서는 유숙기에 청예되고 whole crop 사일레지(silage)용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
Stand 저장
일본의 따뜻한 지방에서는 8월에 파종한 Sorghum, 연맥등을 11∼12월의 서리에 의해 생육을 멈추게 하고 일제히 예취하지 않고 동계에 순차적으로 예취할 수 있다. 강상(降霜)에 의해 당분이 증가하고 수분이 감소하므로 품질의 저하가 적고 사일로(silo)부족등 일때에 이용하는 것도 좋다.
-
간이조성(simple improvement of grass land)
산림과 원야등을 목초지화하는 경우 차종상을 완전히 반전(反轉) 경윤하지 않고 초지를 조성하는 방법. disc harrow와 rotary harrow등으로 지표처리후 시비, 파종, 진압하는 조경법과 부분적으로 파종상을 조성후 시비, 파종, 진압하는 부분경기법(파구경법, 정파법)이 있다.
-
간장(줄기의 길이: culm length)
화본과 작물에서 사용되는 출수경의 길이를 나타내는 측도. 지표면에서부터 수(이삭)의 부분(이삭머리)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옥수수에서는 정단(頂端)에 있는 웅수의 부근까지의 길이. 수의 길이는 포함하지 않는다. 화본과 목초와 짚류등에서는 일주(一株)의 중에서 가장 긴 것을 측정하지만 때로는 주간(主幹), 모(母)줄기의 길이를 이용하는 것도 있다.
-
관부피도(冠部被度: crown cover)
일반의 식물과 초군만의 측도의 하나인 덮는 정도는 어떤 목초가 지면을 뒤덮는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목초류의 덮는 정도를 초목이 무성하게 자란 상태로 나타내는 것으로 목초지의 경우 이 대소는 잎의 부분이 다소에 의해 결정된다. 켄터키블루그라스와 같은 단초형초지에서는 관부피도에 통일해도 좋지만 오처드그라스같은 장초형초지에서는 기저피도(基底被度)도 조사할 필요가 있다.
-
근립균(Rhizobium)=리조븀속의 근류박테리아.
두과식물의 뿌리에 근립을 만들고 질소고정을 해하는 세균. 두과식물과 근립균의 공생에 의한 질소의 고정량은 10a당 연간 15∼20kg이라고 할 수 있지만 외적조건에 의해 크게 좌우된다. 일본에서는 알팔파(Alfalfa)류의 근립균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파종시에 접종을 요한다. 양호한 생육 및 고정에는 칼슘(Ca) 및 인(P)산염의 적당한 공급이 불가결하고 토양에 의해서는 칼륨(K) 및 몰리브덴(Mo)도 필요하다.
-
난지형 목초(tropical grass)
관동이서의 온난지에서 재배되고 있는 목초류로 로즈그라스(Rhodes grass)등이 포함된다. 원산지가 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이기 때문에 높은 기온을 좋아하며 여름에 왕성하게 생육한다. 따라서 더위에는 강하지만 저온에는 약하고 10℃이하에서는 생육을 정지한다. 또 내한성도 극히 적고 관동이북에서는 월동이 곤란하다.
-
내습성(wet endurance)
과잉한 토양수분에 대한 내성의 것. 초종에 의한 차이도 크지만 품종에 의한 차이도 보인다. 주로 뿌리의 통기조직의 발달 정도에 좌우된다. 겨울 작물의 목초, 사료작물로는 이탈리안 라이 그라스, 여름작물로는 율무등이 강하다.
-
내한성(耐寒性: Cold hardiness)
한해(寒害), 설해(雪害), 상해(霜害), 토양의 동결에 의한 동해(凍害) 및 한해등에 대한 내성의 총칭. 특히 눈이 녹는 시기에는 습해도 증가되고 초종과 품종 그것에 시비와 파종기등 재배법에 의한 차이도 크다. 일반적으로 티모시와 오처드 그라스가 강하고 이탈리안 라이 그라스와 페레니얼 라이 그라스, 연맥은 약하다.
-
내한성(耐旱性: Drought resistance)
하계등의 가뭄에 대한 내성의 것. 일반적을 알팔파와 같은 심근성의 초종은 강하지만 품종등의 차이도 크다. 게다가 깊이 갈면 뿌리둘레가 확대되어 내성이 높아질 경우가 많다. 또 생육의 Stage에 의한 차이도 보이고 출수(出穗)전후는 약하게 되기 쉽다.
-
다년생 초본(perennial grass)
사료작물은 생존연한에 의해 일년생과 다년생으로 구분된다. 일년생에는 옥수수와 같이 발아한 연에 개화·결실하여 고사하는 것과 파종하여 보리와 같이 겨울을 넘기고 나서 개화·결실하여 고사하는 월년생의 것이 있다. 또 다년생에는 레드클로버와 같이 생존연한이 2∼3년의 단년생의 것과 더욱더 오래 생존하는 것이 있다. 거의 목초는 다년생이다. 다년생초본으로는 마디사이가 신장한 줄기가 개화·결실하여도 줄기의 기부와 뿌리까지 고사하는 것이 없고 밑바닥부터 새롭게 재생하여 싹을 발생시켜 생존을 계속한다.
-
단초형 초지(short grass type grass land)
초지를 식생형과 목양형으로부터 분류한 한가지의 형으로 주로 초장이 낮은 화본과 초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지. 잔디가 뛰어나게 차지하고 있는 식생이 대표적이고 잔디형 혹은 방목형이라고 불리고 있다. 기타로 겨이삭, 사초류, 켄터키 블루 그라스, 레드톱(redtop)등도 볼 수 있다.
-
동고(冬枯: winter injury)
도기간에 목초와 맥류등의 월동 작물이 동해(凍害), 설해(雪害), 한해(旱害) 등에 의해 받는
피해. 일본에 있어서는 설해와 동해가 문제이다. 설해는 적설하에서 쇠약(衰弱)한 식물이 종
종 설부병균에게 칩입당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고 일본 바다 쪽의 다설지대에 다발(多發)한
다. 동해는 식물이 그 내한성 정도보다 낮은 온도로 두게 될 때에 발생하고 소설(小雪)지대
에 많다. 동고에 대하여 저항성은 초종·품종에 의해 현저하게 다르다.
-
동상해(damage of frost heaving)
월동하는 사료작물에 발생하는 상주(霜柱)의 해. 지표면에 발달하는 상주에 의해 추파목초가 부상하여 고사하는 피해가 많다. 또 토양동결지대에서는 상층의 동결토양과 하층의 비동결토양과의 경계면에 상주가 발달하지만 그 때에 알팔파와 레드클로버에 뿌리가 끊기는 피해가 생긴다.
-
두과율(ratio of legumes)
혼파 초지로 두과 목초의 구성비율을 나타내는 용어. 일반적으로는 중량 비율을 나타내고 채초지에서 30%전후 방목지에서 50%전후가 적당하다. 일반적으로 두과율은 봄에 낮고, 여르에서 가을에 걸쳐서 높다. 적정한 두과율을 유지하는 것은 수량의 유지확보, 목초의 품질에서도 중요하고 이용간격, 이용강도 및 질소시비의 3가지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
레드톱(Redtop)
지하경과 포복경으로 왕성하게 번식하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옛날에는 혼파되고 방목지용으로 재배되었지만 품질, 기호성이 떨어지고 하번초에서 수량도 낮기 때문에 현재에는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 오히려 현재는 강건하고 불량환경에 잘 견디기 때문에 잡초화하고 불량 초지의 지표 식물로 되어 있다.
-
로즈그라스(Rhodes grass)
포복경에 의해 넓어지는 다년생의 난지형 화본과 목초. 남아프리카 원산으로 내한성이 극히 적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관동이서에서 일년생으로서 이용된다. 다엽으로 좁은 분얼이 다수 발생하고, 초기 생육, 재생력이 우수하지만 쓰러지기 쉽다. 온난지의 하계의 건초생산에 적당하다.
-
리이드 카나리 그라스(Reed canary grass)
화명으로 갈대라고 불리는 것처럼 갈대를 소형으로 한 초형을 가르키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튼튼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고 내습성이 크기 때문에 습지, 니탄지(泥炭地)에서 채초용으로서 재배되는 것이 많다. 재생력이 크고 방목이용도 가능하지만 품질이 거의 떨어지기 때문에 일본에서의 재배는 적다. 다년생 목초로서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갈대와 같은 속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지하경이 발달되어 빽빽한 방석 모양을 이루고, 초장이 2m에 달하며 줄기가 억세어 잘 쓸어지지 않는다. 꽃 차례는 원추꽃차례(원추화서)이고 종자는 밝은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이며 익으면 잘 떨어진다. 내습성이 강한 목초로 강변의 범람지등 비옥하고 다습한 사질 양토를 좋아하며 다른 목초를 재배할 수 없는 물빠짐이 나쁜 곳에서도 잘 자란다. 방목, 건초 및 사일리지용으로 예취 이용할 수 있고 수확시 예취 높이는 10∼13cm가 적당하며 건초나 사일리지용으로 예취적기는 줄기와 잎이 억센 편이므로 일반 화본과 목초의 예취적기인 출수기보다 약간 빠른 출수 직전에 예취함으로써 양질의 저장사료를 조제할 수 있다. 출수후에는 대가 굳어지고 여양소의 함량과 소화율이 떨어져 사료가치가 낮아진다.
-
리이드 카나리 그라스(Reed canary grass)
화명으로 갈대라고 불리는 것처럼 갈대를 소형으로 한 초형을 가르키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튼튼한 지하경에 의해 번식하고 내습성이 크기 때문에 습지, 니탄지(泥炭地)에서 채초용으로서 재배되는 것이 많다. 재생력이 크고 방목이용도 가능하지만 품질이 거의 떨어지기 때문에 일본에서의 재배는 적다. 다년생 목초로서 우리 나라에 자생하는 갈대와 같은 속이며 모양도 비슷하다. 지하경이 발달되어 빽빽한 방석 모양을 이루고, 초장이 2m에 달하며 줄기가 억세어 잘 쓸어지지 않는다. 꽃 차례는 원추꽃차례(원추화서)이고 종자는 밝은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이며 익으면 잘 떨어진다. 내습성이 강한 목초로 강변의 범람지등 비옥하고 다습한 사질 양토를 좋아하며 다른 목초를 재배할 수 없는 물빠짐이 나쁜 곳에서도 잘 자란다. 방목, 건초 및 사일리지용으로 예취 이용할 수 있고 수확시 예취 높이는 10∼13cm가 적당하며 건초나 사일리지용으로 예취적기는 줄기와 잎이 억센 편이므로 일반 화본과 목초의 예취적기인 출수기보다 약간 빠른 출수 직전에 예취함으로써 양질의 저장사료를 조제할 수 있다. 출수후에는 대가 굳어지고 여양소의 함량과 소화율이 떨어져 사료가치가 낮아진다.
-
만추용초지(autum saved pasture: ASP)
대기(待機) 방목의 일종. 방목기간을 연장하기 위해서 추계에 방목초지의 일부를 풀어놓는 것을 금지하여 만추에서 초겨울에 걸쳐서 자라고 있는 상태의 풀을 채식시키는 방식의 초지. 육우와 양등에서 사사(舍飼)시의 사료와 노력을 절감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 많다.
-
매듭풀(Japanese lespedeza)
원야(原野)와 길가에 널리 자생하는 두과의 1년생 초본. 풀의 높이는 10∼30cm이고 줄기는 기부보다 다수 분지(分枝)한다. 초여름까지의 생장이 완만한 단일 고온형이다. 심근성으로 뿌리가 뻗는 것이 좋고 토양보전에 유효하다. 온난에서 약간 습한 장소이면 폭 넓은 적응성을 가진다. 미국에서는 일본에서 도입하고 방목초로서 이용되고 있다. 가축도 잘 채식한다.
-
맹아기(萌芽期: emergence time)
목초등의 다년생 식물과 월동한 보리류 등이 조춘에 생육을 개시하는 시기. 지역 혹은 표고
(標高)에 의해 이 시기는 다르다. 한지형의 목초에서는 일반적으로 평균기온이 5℃이상이 되
면 생육을 시작하고 일면 갈색인 초지로 소생한다.
-
발아율(germination percentage)
파종(치상)후 발아하여 얻은 종자가 전부 발아할 때의 알갱이수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 발아보합이라고도 한다. 이것에 대하여 어떤 식물종마다의 발아율 마감전의 일정기간에서의 발아율을 구한 것을 발아세(發芽勢)라고 한다. 종묘법에 의해 실내에서의 발아시험의 결과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옥수수에서는 발아율 90%이상의 표시가 압도적으로 많다.
-
방목지(pasture)
가축을 방목하여 채식이용시키는 초지. 방목만으로 이용하는 전용지와 예취하여 채식과 방목의 겸용초지가 있다. 목초의 생육으로 계절적인 치우침(편향)이 있기 때문에 순수한 방목전용초지의 유지는 어렵다.
-
부식(腐植: humus)
토양중의 유기물을 넓게 부식이라고 부르는 것도 있지만 협의로는 토양 중에 동식물의 유체
(遺體)가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서 분해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암색 부정형의 유기물을 가
르키고 부식물질과 동의이다. 부식의 양과 질은 토양의 비옥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분얼(tiller)
화본과 목초의 줄기에서는 지표에 가까운 부분에서 마디사이가 짧아지고 거기에서 연달아 새로운 싹이 발생한다. 마디사이가 짧아진 부분을 분얼마디라고 하고 분얼절에 있는 곁눈이 생장하여 싹이 되는 것을 분얼이라고 한다. 마디사이가 신장한 분얼이 예취되면 분얼절에 있는 곁눈이 휴면에서 깨어나 생장을 개시한다. 이것이 재생초가 된다.
-
불경기 파종(sod-seeding)
초지 조성과 초지 경신의 경우에 반전(反轉) 경기(耕起)하지 않고 전식생의 위에 목초 종자를 파종(播種)하는 것. 급경사지에서 토양유실의 우려가 있을 경우, 초종(草種) 구성이 단일화한 경우, 나지(裸地)가 많은 경우, 장해물이 많아 경기(耕起)에 의한 경신(更新)이 곤란한 경우 등에 적용한다. 더욱 목초의 발아·정착을 위해서 기존 초종의 생장 억압 등이 필요하다.
-
불량환경내성(resistance to unfavorable environmental factors)
스트레스와 같은 불량환경에 견디어 생존하는 작물의 능력. 최적 조건으로부터 벗어난 환경
조건은 모든 작물에게 스트레스를 준다. 내한성(耐寒性), 내냉성(耐冷性), 내서성(耐暑性), 내
동성(耐冬性), 내하성(耐夏性), 내설성(耐雪性), 내한성(耐旱性), 내습성(耐濕性), 내병성(耐病
性), 내충성(耐蟲性) 등이 사료작물의 특성으로서 중요하다.
-
수확전의 작물(stand)
목초에서는 예취 직전의 상태. 생육과 수량등을 조사하거나 예측할 경우가 많다. 부분 예취등으로 수량을 조사하는데 이것을 수확전의 작물 수량이라고 한다. 예취작업등에 의한 손실을 뺀 수확량이 예취수량 또는 전체 예취수량이고 생육군이 클수록 차이가 보인다.
-
야초지(native grassland)
재래의 초종인 잔디, 첨억새, 조릿대 등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초지로 방목과 채초에 이용하는 초지를 말한다. 야초지에서 가장 많은 것은 잔디형과 참억새형이고 다음에 띠형, 조릿대형, 관목형, 싸리형, 고사리형 등으로 되어 있다. 이것들의 초지는 현재에는 육용우의 방목지로서 이용도고 있는 것이 많다.
-
예취적기(optimum stage for cutting)
가축사양상으로부터는 영양생산량이 많은 시기가 요구되고 초지의 유지관리면에서는 예취후 재생이 양호한 시기가 아니면 안된다. 따라서 일번초의 예취적기는 화본과 목초에서는 출수시기, 두과목초에서는 개화시기이다. 이번초 이후의 재생목초는 일반적으로 출수·개화현상이 적고 영양생장이 주체이고 예취적기의 기준은 예취후 30∼40일째이다.
-
일장효과(photoperiodism)
목초등의 생물의 생육반응이 일장(낮밤의 장단)에 의해 영향을 받는 현상. 광주성이라고도 한다. 결국 단일(短日)에 의해 화아의 형성과 개화를 하는 식물(참억새등)과 그 반대로 장일에 반응하는 초종이 있다. 오처드 그라스의 전조(電照) 재배는 장일효과을 위한 야간 조명으로 생육을 왕성하게 하는 것.
-
입목(turning out to pasture, setting up the grazing)
가축의 방목을 개시하는 것. 개목이라고도 한다. 이른 봄에 방목지가 건조하고 발꿉으로 인한 손상의 우려가 없어질 때에 보급사료를 급여하면서 가축을 방목지로 넣으면 좋다. 입목기일의 조만(早晩)은 초지의 목양력에 크게 영향을 한다. 입목이 늦어지면 spring flash를 억제할 수 없게 되고 목양력이 저하한다.
-
장초형 초지(tall grass type grassland)
초지를 식생형과 목양형으로 분류하는 하나의 형으로 주로 초장이 높은 화본과 초종으로 구성되어 있는 초지. 참억새가 우점(優點)하고 있는 식생이 대표적이고 참억새형 혹은 채초형이라고 불리고 있다. 기타에 큰기름새, 갈대, 야고초, 띠, 조릿대(작은 대나무)류, 잡초류, 관목류(灌木類)등도 볼 수 있다.
-
초장(length of plant)
초본식물의 지면부터 최항단까지의 길이. 출수하지 않는 경우는 엽신을 길게 늘리고 출수후의 엽신과 수의 선단까지의 긴쪽으로 나타낸다. 20개체전후를 조사하고 그 평균으로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
-
초형(grass type)
오처드그라스, 티모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로즈(rose)그라스등의 화본과 목초의 명칭. 옥수수와 대맥(보리)등의 대형사료작물을 사일리지등에 이용할 때 whole crop라고 부르기때문에 이것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한다.
-
추비(追肥: topdressing)
작물생육의 도중과 목초의 재생 단계에 주는 시비. 목초는 타의 작물과는 틀리고 경엽(莖葉)을 연에 수회의 예취와 방목에 이용되기 때문에 양분의 수탈량(收奪量)은 많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에 추비는 중요하다. 방목지에서는 월별 생산성을 고려하여 나누어 시비하고 채조지에서는 조춘(早春) 및 각 예취마다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특히 질소와 칼륨은 수량을 크게 좌우함과 동시에 토양중에는 일정량 이상은 보지(保持)되지 않기 때문에 나누어 시비하는 것이 원칙이다.
-
추파(追播: reseeding)
경년화(經年化)에 의해 생산력이 저하한 목초지의 생산성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초지에 목초종자를 직접 파종하는 작업. 추파는 특정 초종의 밀도저하, 초종의 단일화, 나지(裸地)의 발생등의 경우에 유효하지만 추파만으로는 발아·정착의 조건이 불충분하고 초지생산의 회복효과는 적다. 부분적으로 갈거나 교반등의 전식생 파괴와 추비(追肥)등을 조합(組合)한 쪽이 효과적이다.
-
춘파성(spring habit)
화아분화, 출수을 위해 저온을 대부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춘파하여도 화아를 분화하고 출수할 수 있는 성질. 춘파성을 가진 보리류에서는 가을의 저온단일 조건하에서도 생육을 계속하고 마디사이의 신장을 행하기 때문에 가을 작물의 청예용으로 적당하다. 그러나 마디사이가 신장하면 내한성이 뚜렷하고 저하하기 때문에 겨울 작물에는 부적합하다.
-
크림손 클로버(crimson clover)
레드클로버와 닮은 초형을 가진 일년생 두과 목초. 심홍색의 딸기형의 두화를 취한다. 생육은 왕성하지만 내한성은 그다지 크지 않다. 온난지의 동작재배에 이용되고 가을에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 호밀과 혼파되고 익춘(翌春)에 수확된다.
-
톨페스큐(tall fescue)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내서성, 내건성이 크고 북해도로부터 큐슈(九州)산지까지 넓게 재배되고 있다. 가을에 생육이 왕성하고 방목 기간을 오래 취할 수 있기 때문에 방목이용에 적합하다. 그러나 경엽(莖葉)이 조강(粗鋼)하고 기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방목강도를 강하게 하여 어린 풀을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온난지의 육성우와 육용우의 영년(永年) 방목지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
티모시(timothy)
한냉지에서 채초용으로서 많이 재배되고 있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겨울에 마르는 것에 극히 저항성이 있고 그 때문에 북해도 동부와 북부의 낙농지대에서는 혼파의 기간 초종이 되고 있다. 많은 수확으로 안정한 생산력을 가지는 식생을 만들고 기호성도 높고 출수후의 품질저하도 늦기 때문에 양질인 건초와 사일리지를 얻기 쉽다. 그러나 재생력, 내서성은 떨어진다고 되어 있다.
-
파종기(seeding time)
각 작물에는 각각 파종적기가 있다. 목초종자의 발아 가능한 온도는 1∼40℃까지 꽤 넓은 범위에 있지만 실제의 목초재배에서는 발아 적온보다도 오히려 발아의 최저온도가 중요하다. 목초는 잡초와의 경합으로부터 추파가 일반적이지만 늦게 뿌리기는 어린 목초가 충분히 월동할 수 있는가 없는가가 문제이고 경우에 의해 한지와 같이 춘파가 유리.
-
풍뎅이류(chafer)
줄기풍뎅이와 땅풍뎅이등의 풍뎅이벌레의 유충을 풍뎅이라고 부른다. 화본과나 두과의 목초, 옥수수, 두류의 뿌리를 식해한다. 지상부의 생육이 나뻐지고 가해(加害)가 심한 경우는 지상부가 황변(黃變)하고 고사한다. 암컷의 성충은 부식(腐食)이 풍부한 목초지에 산란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목초지의 조성시에 피해가 현저하다.
-
피도(被度: Coverage)
일반적으로는 식생조사를 할 때의 측도의 하나를 가르킨다. 초지식생에 있어서의 목초의 넓
어짐(퍼짐), 번무(繁茂) 상태를 평면적으로 볼 때의 척도로 목초등의 지상부가 지표면에 대
하여 차지하는 투영(投影) 면적. 이 면적은 백분율과 수단계의 피도계급을 가르킨다. 피도에
는 관부피도와 기저피도가 있다.
-
휴면(休眠: dormancy)
종자와 이싹이 생육을 휴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온도, 수분, 산소등 생육조건이 만족시키는 데도 종자와 이싹이 생육을 휴지하고 있는 경우를 자발휴면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생육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종자와 아(芽)가 생육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타발유면이라고 한다. 자발휴면은 식물호르몬등이 관계하는 생리적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 식물에는 겨울과 건기를 휴면에 의해 극복하는 구조가 발달하고 있다.
-
휴목기간(resting period of pasture)
방목을 휴지하고 목초의 재생을 꾀하고 초생을 보호하는 기간. 휴목일수라고도 한다. 윤환방목으로 어떤 목장구역의 방목종료시로부터 다음 회의 방목개시시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가축을 혹서·혹한의 심한 환경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 사사(舍飼)하는 기간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
휴목기간(resting period of pasture)
방목을 휴지하고 목초의 재생을 꾀하고 초생을 보호하는 기간. 휴목일수라고도 한다. 윤환방목으로 어떤 목장구역의 방목종료시로부터 다음 회의 방목개시시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가축을 혹서·혹한의 심한 환경으로부터 지키기 위해서 사사(舍飼)하는 기간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다.
-
흡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
투사된 광량이 엽(葉)의 군락등을 투과한 광량의 강함을 나타내는 계수의 수치. 직립엽의 화본과 형의 흡광계수는 0.5내외가 많고 광엽수의 1.0전후보다 작다. 이것은 빛이 잘 투과하는 것을 나타내고 화본과형이 떨어진 특성의 하나이다. 즉 화본과형에서는 높은 엽면적지수에 달하는 것을 나타내고 클로버등 광엽형에서는 낮은 상태로 군락내부가 빨리 어두워지고 군락의 광합성능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
관리방목(controlled stocking)
제경법에 의한 초지조성에 있어서 야초등의 재생을 억제하여 파종한 목초의 초기 생육을 돕기위해 행해지는 방목. 뉴질랜드에서는 일반적인 방목지조성에 있어서도 전(前) 식생과 잡초억제를 위해서 어린 송아지와 양등을 이용하는 예가 있다.
-
대기 윤환 방목(defered rotational grazing system)
조방적인 방목과 갱신이 곤란한 지형에 있어서 행해지는 윤환 방목의 일종. 매년 1∼2휴목구를 설치하고 주요 초종의 완숙, 결실가지 방목을 휴지한다. 종자가 충분히 낙하한 때에 가축을 입목시켜 제압에 의한 종자의 정착과 남은 경엽의 제거를 목적으로 채식시키면서 초지의 갱신과 조성을 도모한다. 열대, 아열대에 있어서 많이 행해지고 있다.
-
레드톱(Redtop)
지하경과 포복경으로 왕성하게 번식하는 다년생의 한지형 화본과 목초. 옛날에는 혼파되고 방목지용으로 재배되었지만 품질, 기호성이 떨어지고 하번초에서 수량도 낮기 때문에 현재에는 그다지 이용되고 있지 않다. 오히려 현재는 강건하고 불량환경에 잘 견디기 때문에 잡초화하고 불량 초지의 지표 식물로 되어 있다.
-
방목일수(grazing period)
방목지의 이용기간. 하나의 방목구역 또는 방목지에 가축이 체재한 일수. 윤환방목에서는 하나의 방목구역에 체재한 일수에 해당하고 최적 방목일수는 3∼5일, 7일이상은 최초로 채식된 목초의 재생장한 엽부가 다시 채식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좋지 않다.
-
연속 방목(continuous stocking)
정치방목이라고도 하고 넓은 방목지에 외주만 목책을 두르고 내부를 구획 짓지 않고 큰 목장구대로 방목기간중 계속하여 방목 이용하는 방법. 노력과 목책설치의 비용이 적게 들지만 계절과 토지에 의해 가식 초량에 치우침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사양 가축 두수에 비하여 광대한 토지가 있을 경우에 생산 비용을 낮게 확보하는 데에 적당하다.
-
연속 방목(continuous stocking)
정치방목이라고도 하고 넓은 방목지에 외주만 목책을 두르고 내부를 구획 짓지 않고 큰 목장구대로 방목기간중 계속하여 방목 이용하는 방법. 노력과 목책설치의 비용이 적게 들지만 계절과 토지에 의해 가식 초량에 치우침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사양 가축 두수에 비하여 광대한 토지가 있을 경우에 생산 비용을 낮게 확보하는 데에 적당하다.
-
연속방목법(continuous stocking)
봄에 목초가 자라기 시작하면 방목하여 늦가을까지 계속하여 방목하는 원시적 방법으로 기호성이 좋은 풀만 계속 채식하고 먹지 못하는 풀만 번무하여 초지를 못쓰게 한다. 중국과 남미의 일부에 있어서 많이 볼 수 있고 대두수의 가축을 비용과 일손을 들이지 않고 사양하는 조방(粗放)한 방법이다. 일본에서도 야초지에서의 방목에 있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그 지방의 기후, 초지면적, 가축의 가격과 사육 비용등의 관계로 고려해야 하고 반드시 뒤떨어진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면도 있다.
-
연속방목법(continuous stocking)
봄에 목초가 자라기 시작하면 방목하여 늦가을까지 계속하여 방목하는 원시적 방법으로 기호성이 좋은 풀만 계속 채식하고 먹지 못하는 풀만 번무하여 초지를 못쓰게 한다. 중국과 남미의 일부에 있어서 많이 볼 수 있고 대두수의 가축을 비용과 일손을 들이지 않고 사양하는 조방(粗放)한 방법이다. 일본에서도 야초지에서의 방목에 있어 행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그 지방의 기후, 초지면적, 가축의 가격과 사육 비용등의 관계로 고려해야 하고 반드시 뒤떨어진 방법이라고는 말할 수 없는 면도 있다.
-
예후방목(after math grazing)
일번초를 수확한 후의 재생초를 이용하는 방목방법. spring flash에 대응하는 방법도 있다(유럽, 일본) 한편 곡류와 옥수수 수확후의 줄기를 채식시키는 목적으로 방목하는 경우도 있다(미국, 중국)
-
윤재식 농법(nonfolk farming)
곡물과 그것 이외의 작물(근채류, 클로버등)을 교체하여 재배하는 농법. 1700년대 후반부터 1800년대에 걸쳐 유럽에 있어서 확립되었다. 이 농법의 원형인 nonfolk 4포식 윤재는 사료 순무-대맥-레드클로서-소맥의 순서로 해하고 지방의 유지와 생산성의 향상을 목표로 했다. 과학적 윤작이라고도 하며 이 농법의 보급이 축산의 발전을 재촉했다.
-
윤환방목(rotation of pasture)
윤환방목의 하나의 방목 구역으로부터 다른 방목 구역으로 가축을 이동시키는 것.
-
윤환방목(rotational grazing)
방목지의 내부를 몇 개인가의 작은 구역으로 나누고 이것을 순차적으로 윤환하고 방목이용하는 방목법. 목초의 생육속도와 계절 생산성을 고려한 계획적인 윤환 속도의 파악이 중요하다. 한 구역의 방목지 이용기간은 재생초를 가축이 2번 먹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7일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윤환방목(rotational grazing)
방목지의 내부를 몇 개인가의 작은 구역으로 나누고 이것을 순차적으로 윤환하고 방목이용하는 방목법. 목초의 생육속도와 계절 생산성을 고려한 계획적인 윤환 속도의 파악이 중요하다. 한 구역의 방목지 이용기간은 재생초를 가축이 2번 먹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7일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량 방목법(rationed grazing)
집약적 윤환 방목법. Ration(1회 또는 1일당 사료량) 혹은 대상 방목이라고도 불린다. 통상 1일 또는 수시간에 다 채식해버리는 초량 분만의 목장 구역을 전기 목책등에 의해 설치된다. 불식과번지를 생기게 하지 않게 하는 것과 신선한 단초 이용에 의한 고영양 목초를 채식시킬 수 있다. 최근은 간이하고 강력한 전기 목책이 개발되고 이것들의 시스템에 의해 일증체중이 1.0kg정도의 육우 육성 성적도 보고되고 있다.
-
정량 방목법(rationed grazing)
집약적 윤환 방목법. Ration(1회 또는 1일당 사료량) 혹은 대상 방목이라고도 불린다. 통상 1일 또는 수시간에 다 채식해버리는 초량 분만의 목장 구역을 전기 목책등에 의해 설치된다. 불식과번지를 생기게 하지 않게 하는 것과 신선한 단초 이용에 의한 고영양 목초를 채식시킬 수 있다. 최근은 간이하고 강력한 전기 목책이 개발되고 이것들의 시스템에 의해 일증체중이 1.0kg정도의 육우 육성 성적도 보고되고 있다.
-
제경법(蹄耕法: hoof cultivation)
소와 양등을 사용하여 재생 맹아초(萌芽草)를 방목 이용하면서 뿌린 목초종자와 비료를 가축에게 밟게 하여 목초의 발아생육을 촉진시키고 야초(野草)와 목초의 경합을 조절하면서 방목지를 조성하는 방법. 기계조성이 곤란한 경사지에 적용한다. 간이 불경기조성의 하나이다.
-
제상(trampling)
가축의 답압(踏壓)에 의해 방목초지의 목초체와 식생이 상하는 것. 답압(踏壓), 채식, 분뇨등의 영향으로 초생, 식생이 변화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 제상을 적게 하고 식생을 보호하기에는 풀높이가 낮고 기호성이 좋은 어린 풀의 초지에 단시간 방목한다. 쓸데 없는 답압과 과방목은 피할 필요가 있다.
-
혼목림(grazing forest)
임업과 축산업을 조합하여 임목생산과 가축의 방목사양의 2가지 목적으로 공용하는 임지(林地). 육림지(育林地)에 가축을 방목하는 것에 의해 하초를 베는 것을 줄이고 잡관목의 생육을 억제하는 기능을다하는 것에 의해 복합적인 효과를 노린다.
-
혼합방목(mixed grazing, companion grazing)
종이 다른 가축을 일제히 방목하는 것. 채식부위와 기호성이 다른 것과 분뇨배설 적(跡)의 식물도 서로 채식하기 때문에 식생이 균일하게 되지만 관리에 노력이 든다.
-
Feed lot
가축을 수용하여 사양하는 분획. 미국에 있어서 넓은 장소에 목책을 하여 그 안에 다두수의
비육우를 수용하고 농후사료를 과급(過給)하여 수만∼수십만두 규모의 육생산을 행하는 기
업이 출현했다. 이와 같은 다수의 소에게 합리적으로 급사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 소의 수
용분획이 Feed lot이라고 하는 명칭으로 일본에 소개되었지만 오늘날에는 대규모의 육우 비
육장과 같은 의미로도 사용하는 것이 있다.
-
풍건물(air dry matter)
사료등의 수분함량이 10∼15%일 때 공기중의 수분과 평형상태에 있고 보통 실내에 방치하
여도 흡습과 건조에 의한 성분과 중량의 변화는 적다. 통상 취급되는 건초, 볏짚, 곡류등은
풍건물의 상태이다.
-
Forage test
사료급여의 적정을 기하기 위해서 조사료의 사료성분, 성질등을 측정하는 것. 품종, 수확시기, 조제법에 의해 사료성분, 영양가의 변동이 큰 조사료의 사료가치를 파악하고 가축으로의 급여양분의 편향을 바르게 할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특히 고생산우군의 TMR방식에 의한 사양으로는 없어서는 안된다.
-
Forage test
사료급여의 적정을 기하기 위해서 조사료의 사료성분, 성질등을 측정하는 것. 품종, 수확시기, 조제법에 의해 사료성분, 영양가의 변동이 큰 조사료의 사료가치를 파악하고 가축으로의 급여양분의 편향을 바르게 할 목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특히 고생산우군의 TMR방식에 의한 사양으로는 없어서는 안된다.
-
Paired feeding
사양시험등에서 대조군의 사료급여량을 시험사료급여군의 채식량에 합하여 조정하고 증체량
과 소화율 등을 비교하는 방법. 기호성이 나쁜 사료의 시험등에서는 채식량을 균등하게 하
는 것으로 시험정도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
건물(dry matter: DM)
시료의 수분을 제거한 부분으로 DM이라고도 표시한다. 이것에 대하여 본래 수분을 함유한 것은 원물이라고 한다. 사료의 경우 건물은 다시 5개의 일반성분으로 나누어진다. 사료의 섭취량과 성분의 balance는 건물당 값으로 비교하지 않는다면 정확한 판단을 잘못하는 일이 많다. 원물중의 건물함량은 생초에서 약 15∼20%, 건초와 곡류에서 약 85∼88%이다.
-
건물수량(dry matter production)
작물의 생초에 함유되는 수분을 제거한 수량. 생육단계가 다른 경우와 환경조건에 대응해 작물에 함유되는 수분은 크게 변화한다. 그래서 생육량을 정확하게 비교하기 위해서는 수분을 제한 값을 이용해야 한다. 실제로는 70∼80℃에서 통풍건조하고 그 일부를 110℃에서 4시간, 또는 130℃에서 2시간 건조하여 구한다.
-
건물율(dry matter percentage)
작물의 생초에 함유된 수분이외의 성분의 비율. 일반적으로 포장에서는 생초중의 것을 측정하는 것이 많지만 그 일부를 가지고 와서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킨다. 건조의 전과 후의 무게로부터 건물율을 계산하고 그 값을 본래의 생초중에 곱하여 건물중을 구한다.
-
기초대사량(basal metabolism)
가축의 절식시(기아상태)로 잃어버린 영양소량은 그 생명유지에 필요한 최소의 영양소량을 나타내고 이 상태에 있어서의 대사를 기초대사라고 한다. 따라서 그것에 상당하는 양분의 보급을 하면 가축의 몸은 유지되고 유지에 대한 정미의 영양소요구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
단백질 보충(protein supplement)
가축(주로 반추가축)의 단백질 영양개선을 위하여 사전에 사료에 혼합하든가 또는 사료의 급여시에 첨가하는 단백질함량이 높은 보조살의 총칭.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어분, 유박과 두류가 주체이고 동물질 사료와 단백질 사료로서 분류되고 있는 것이 많다.
-
미량무기물사료첨가물(trace mineral feed additives)
가축에 있어서 미량으로 필요한 무기물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조제한 일종의 Premix로 그
대로 사료에 배합하는데 편리하다. 철, 동, 망간, 아연, 코발트, 요소 등을 배합한 것이 많다.
-
반추위내의 층(루멘 매트: Rumen mat)
제 1위내에서 고섬유질 사료가 net상으로 [층]을 형성하는 것. 섬유의 소화는 비교적 늦게 되기 때문에 이 Mat에 트랩(trap)된 농후사료는 곧 제 1위하부로 빠지고 단시간에 하부소화관으로 유출되어 버린다. 조사료를 우선 급여하여 Rumen mat가 형성되고 나서 농후사료등이 들어오는 것이 소화 생리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반추위내의 층(루멘 매트: Rumen mat)
제 1위내에서 고섬유질 사료가 net상으로 [층]을 형성하는 것. 섬유의 소화는 비교적 늦게 되기 때문에 이 Mat에 트랩(trap)된 농후사료는 곧 제 1위하부로 빠지고 단시간에 하부소화관으로 유출되어 버린다. 조사료를 우선 급여하여 Rumen mat가 형성되고 나서 농후사료등이 들어오는 것이 소화 생리적으로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베타카로틴(β-carotene)
생체내에서 비타민A로 전환되는 프로비타민A의 하나. 그 전환효율은 동물의 종류에 의해
다르고 β-카로틴(carotene) 1㎍당 비타민A의 활성은 소에서는 0.4IU, 돼지에서는 0.3IU, 닭
에서는 1.7IU가 된다. β-카로틴은 프로비타민A 뿐만 아니라 그것 자체가 유우의 번식, 특
히 황체기능에 필수라고 말할 수 있다. 황색 옥수수와 녹색의 건초류에 많이 포함된다.
-
보조사료(supplementary fees)
주로 급여사료에 기본적으로 부족하는 영양소를 양적, 질적으로 보충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사료. 방목시에 있어서 가식방목초의 양적·질적부족을 보충할 목적으로 보조적으로 건초와 사일리지, 배합사료 등을 급여하고 있는 예를 볼 수 있다. 그러나 급여시기와 양에 주의하지 않으면 가장 중요한 방목초의 채식율이 떨어지고 이용율이 저하할 경우가 있다.
-
보호아미노산(rumen-protected amino acids)
아미노산을 제1위에서 용해하기 어려운 지방산 등으로 피막 처리한 것. 제 4위로부터 소장상부에서 아미노산이 방출되기 때문에 소에서 부족하기 쉬운 아미노산을 공급할 수 있다. 우유생산에서는 메티오닌이 가장 부족하기 쉽기 때문에 보호메티오닌이 사용되고 있다.
-
보호유지(protected fat)
제1위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소장에서 소화되도록 가공한 사료용 유지. Bypass 유지라고도 한다. 유지는 에너지공급을 높이지만 제 1위내의 섬유소화등에 저해작용을 초래한다. 이 저해는 유지로부터 방출되는 지방산이 제 1위미생물의 활성에 영향을 주는 것에 의한다. 지방산 칼슘과 분무가공한 유지등은 이 목적을 위해서 제조된 것이다.
-
분해성섭취단백질(degradable intake protein: DIP)
총섭취단백질 중 제 1위에서 분해되는 분획. RDP는 동의어. SIP도 동양으로 사용되지만 반듯이 이치하지는 않다. 충분량의 발효성 탄수화물이 동시에 공급되면 DIP는 제 1위 미생물체단백질로 동화되고 UIP와 함께 소장에서 소화흡수된다. 제 1위에서 충분한 섬유소화을 위하는 등에도 DIP는 중요하다.
-
비구조성 탄수화물(non-structural carbohydrate: NSC)
비섬유성 탄수화물(VFC)와 동의어. 식물체세포내에 존재하는 탄수화물. 단당류로서 글루코스(glucose), 이당류로서 자당(蔗糖), 다당류로서 전분등이 포함된다. 대부분 소화된다. 또 유산발효의 기질로서 양질의 사일리지의 조제로는 부족하지 않다.
-
비단백질소화합물(non-protein nitrogen compound: NPN)
질소화합물 중 단백질이외의 것의 총칭으로 일반분석에서는 조단백질에 포함된다. 그 주된 것은 암모니아, 요소, 유리(遊離) 아미노산, 아미드등으로 제 1위내에서 미생물 단백질로 전환가능하기 때문에 반추동물에게는 유효하게 이용된다.
-
비분해성 섭취단백질(undegradable intake protein: UIP)
총섭취 단백질 중 제 1위에서 분해되지 않는 분획(分劃). UIP, Bypass단백질은 동의어. 고
비유우에서는 제 1위 미생물체 단백질만으로는 요구량을 만족시키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양
의 UIP공급이 중요하고 섭취단백질의 35∼40%가 UIP인 것이 바람직하다.
-
비섬유성 탄수화물(non-fiberous carbohydrate: NFC)
총탄수화물로부터 섬유분획을 뺀 분획. 건물로부터 NDF, CP, 조지방, 회분을 뺀 것에서 구할 수 있다. 전분, 당류, 펙틴(pectin) 등이 주성분. 고비유우에서 사료중의 NFC함량이 35∼40%정도가 바람직하다. NSC와 동의어.
-
비타민 A(vitamin A)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레티놀(retinol)이라고도 불린다. 정상적인 시각, 성장, 세포분화, 면역, 번식에 필요하다. 비타민 A 초산염 0.344㎍가 1 국제단위(IU). 동물체에만 존재하고 식물체에서는 비타민 A의 형은 없고 소장과 간장 등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되는 프로비타민 A로서 존재하고 있다. 프로비타민A중에서도 소에서는 β-카로틴이 특이적으로 이용된다.
-
비타민 D(vitamin D)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 칼슘과 인의 대사기능을 조절하고 있다. 비타민 D의 0.025㎍이 1 국제단위. 일광욕에 의해 동물체내에서 만들어 진 D3(콜레칼시페롤: cholecalciferol)과 자외선을 받은 건초중에 많이 함유된 D2(에르고칼시페롤: ergocalciferol)이 있다. 비타민 D자체에는 활성이 없고 간장과 신장을 거쳐 활성화되기 때문에 투여로부터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
비타민 E(vitamin E)
지용성비타민의 일종으로 토코페롤이라고도 부른다. 동물체내의 생체막의 안정화 작용이 있다. 셀렌대사와 특이적으로 관계하고 있다. dl-α-토코페롤 초산염 1mg가 1 국제단위(IU). 생초류, 곡류, 당류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보통의 사양조건하에서는 결핍할 가능성은 적다. 그러나 결핍하면 소에서는 근위축(백근증), 태반정체등이 일어난다.
-
비타민 사료첨가물(vitamin feed additives)
동물의 비타민 요구량과 사료중의 천연 비타민 함량을 고려하여 부족하기 쉬운 각종 비타민류를 보급할 목적으로 사료에 첨가하도록 만들어 진 것. 단일 비타민과 비타민 ADE제와 같이 복수의 비타민으로 된 것이 있다. 유우에서는 분만전후에 비타민 ADE의 요구량이 높아진다. 고비유우에서는 니아신(niacin)과 티아민(thiamin)이 부족할 수도 있다.
-
비타민(vitamins)
정상적인 성장, 번식등에 불가결한 유기태의 미량영양소의 총칭. 비타민은 지용성과 수용성의 2군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개개의 비타민은 고유의 생리작용을 가지고 대체는 할 수 없다. 그것들의 유구량은 가축의 종류, 성장, 성숙의 단계에 의해 다르다. 모두가 비타민이 부족할리는 없고 동물사양의 상황에 응하여 필요한 비타민을 보급하면 좋다.
-
압편(rolling)
대맥, 옥수수등을 가열하고 압력을 가하며 납작하게 하는 처리. 열 룰러(roller)로 가볍게 눌러 으깨는 Dry 압편, 곡물을 단시간 증기처리하는 Steam(증기) 압편, 증기처리 시간이 긴(수십분) 증저압편, 1∼2분간 3∼5kg/㎠로 고온 가압처리한 후에 압편하는 가압압편등이 있다. 증저압편과 가압압편에서는 전분(녹말)이 알파화되기 때문에 소화성이 좋아진다.
-
유장단백질(whey proteins)
유단백질중 카세인이외의 것 즉 Whey중에 존재하고 있는 단백질의 총칭으로 베타락토글로블린(β-lactoglobulin), α-lactoalbumin(알파락토알부민),프로테오스(proteose)·펙틴(pectin), 혈정알부민, 면역글로블린 등이 주이다. 그 많은 열로 불안정하고 함황아미노산을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또 각종의 생리활성을 나타낸다. 많은 유선세포내에 합성되는데 면역글로블린의 대부분인 혈청아미노산은 혈액으로부터 우유로 이행하여 분비된다.
-
유효섬유(effective fiber)
섬유에는 제 1위내에서 조산등 VFA의 생산 제 1위내에서 물리적으로 작용하여 Rumen mat형성과 반추와 타액분비의 자극의 2가지 기능이 있다. 전자에 관해서는 화학분석에 의한 섬유(조섬유, ADF, NDF)로 양적으로 파악할 수 있지만 후자의 효과는 화학적 분석으로는 파악할 수 없다. 의 기능에 관여할 수 있는 섬유를 유효섬유하고 한다. 이것을 평가하는 적절한 지표는 충분히 확립되고 있지 않지만 섭취 건물량당 저작시간등이 있다.
-
자유선택(free choice)
복수의 종류의 사료로부터 소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채식하는 것. [동물에는 주위의 채식 가
능한 사료(원료)로부터 자기의 영양요구에 응하여 질·양적으로 선택하면서 채식하는 능력
이 있다(Special appetite)]는 생각도 있지만 가축화된 유우에서의 이 능력은 의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Free choice에 맡기지 않고 인간이 영양관리할 필요가 있다.
-
전초(Whole crops)
곡식이 황숙기전후에 달한 때 예취하고 식물체전체를 세단하여 사일리지 혹은 생초로서 이용하는 작물. 옥수수, Sorghum, 대맥, 연맥 등이 포함된다. 건물당 가소화양분총량이 높고 고에너지 사료로서 급여된다.
-
칼로리(Calorie)
열량단위로 1g의 물을 1℃따뜻해지는 열량을 1칼로리(cal)라고 한다. 1,000cal는 1 Kcal, 1,000Kcal는 1Mcal, 근년(近年)법에 표준으로 한 단위의 줄(J)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1cal는 약 4.2J이다.
-
펙틴(pectin)
식물의 세포벽성분으로 다당류의 일종. 물에 의해 현저하게 팽화(膨化)되고 가수분해에 의해
펜토오스(pentose)와 헥소오스(hexose: 육탄당. 6개의 탄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단당류의 총
칭. 포도당, 갈락토오스등 생물계에 널리 존재함)가 생긴다. 제 1위 미생물에 의해 분해, 이
용된다.
-
포유(suckling)
전유, 발효초유, 대용유 등 액상사료를 자축에게 먹이게 하는 것. 모축으로부터 직접 주는 자연포유와 인위적으로 주는 인공포유가 있다. 포유기의 자우에 있어서는 영양공급의 유일한 방법 혹은 주요한 방법이고 이 양부(良否)가 자축의 발육, 건강을 좌우한다.
-
포유량(amount suckled)
자연포유의 경우 포유량은 인위적으로 조절하지 못하고 주로 모축의 비유능력, 영양상태에 의해 좌우된다. 인공포유의 경우는 기본적으로는 발육목표와 영양요구량으로 결정하지만 그 때는 인공유 섭취량을 고려한다. 자우의 경우 일령에 의해 포유량을 증감하는 방법과 일령과는 무관계로 일정량으로 하는 방법이 있다. 대용유는 풍건물로 급여량을 결정하고 6∼7배의 온탕에서 녹인 것이 포유량이 된다. 1일 포유회수로 등분(等分)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포유회수(suckling frequency)
자연포유의 경우는 모축이 자축에게 우유를 먹이는 회수로 자축측에서 본 흡유 회수라고 하는 것도 많다. 육우에서는 1일 3∼10회정도라고 할 수 있고 일령의 진행과 함께 감소한다. 인공포유의 경우 예전부터 1일 3∼4회 행하고 있지만 현재는 1일 2회가 일반적이고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1일 1회 포유도 있지만 1회의 포유량이 3∼4kg를 넘지 않도록 한다.
-
플리그법(Flieg key)
사일리지 발효품질, 평가에 사용되는 방법. 사일리지 추출액 중에 포함되는 산과 유산, 초산,
낙산으로 한정하고 그 비율을 측정한다. 1900년대의 중반에 Flieg에 의해 고안되었고 유럽
특히 독일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 후 트윈마가 평점을 개정하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낙산
에 대한 유산과 초산의 비율이 높으면 품질이 좋아진다. 그러나 저수분 사일리지에서는 전
체적으로 산함량이 적기 때문에 적응이 곤란하다.
-
필수 지방산(essential fatty acid)
지방산 중 동물영양상 불가결한 Linoleic acid, linolenic acid, arachidonic acid인 불포화지방
산이 포함된다. 많은 동물에서는 Linoleic acid이 가장 유효한 필수 지방산이지만 반추가축
에서는 유축(幼畜)을 빼고 부족하지는 않다.
-
필수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불가결 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 동물체내에서 합성할 수 없거나 합성속도가 늦고 정상인 성장과 건강유지를 위해 식물로서 섭취하지 않으면 안되는 아미노산. 각종 동물에 공통의 필수아미노산은 tryptophane, phenylalanine, lysine, threonine, valine, methionine, leucine, isoleusine, histidine, arginine이 된다. 반추가축에서는 루멘미생물이 이것들을 합성히기 때문에 필수아미노산의 종류가 명확하지 않고 또 사료에 필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지 않더라도 성장과 생산이 가능하다.
-
헤미셀룰로오스(hemicellulose)
광의로는 식물세포벽에 있어서 셀룰로오스(cellulose)와 결합하여 존재하는 모든 다당류를
말한다. 협의로는 식물세포벽 다당중 셀롤로오스와 펙틴질을 뺀 수불용성다당을 가르킨다.
일반적으로는 헤미셀룰로오스 = NDF - ADF라는 관계가 대체로 성립한다. 펜토오스
(pentose), 헥소오스(hexose), 우론산(uronic acid)등으로 되고 제1위미생물에 의해 셀룰로오
스와 같이 분해, 이용된다.
-
1일당 증체량(一日 增體量: DG)
1일당 체중 증가량. 발육과 비육상태를 판정하기 전에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척도(尺度)이며 가축의 종류, 품종, 성, 사양목적등에 의해서도 그 기준은 다르다. 유전적 능력, 급여사료(종류, 질, 양), 환경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Holstein(홀스타인)종의 암송아지 육성시에서의 일당증체량으로서 일본 사양표준에서는 0.6kg정도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
ACM유량(adjusted corrected milk)
우군(농가)의 비유능력을 비교할 목적으로 우군유량을 1)초산우율 35% 2) 분만후 일수(착유일수) 150일 3) 유지방율 3.6%로 조정 보정한 유량을 말한다. 초산우의 비유량은 경산우의 그것의 80%인 것. 분만후 80일부터 225일가지의 유량의 감소율은 0.29%인 것이 보정의 기반으로 되고 있다. 조정 보정유는 이하의 식으로 산출한다.
ACM유량 = 1 × (2 + 3)
1 : (1+ ( 1 - (((경산우두수/초산우두수 + 경산두수) + (0.8 × (초산우두수/초산두수 + 경
산우두수)))/0.93))).
2 : ( 0.432 × ( 유량 + ((( 평균착유일수 - 150 ) × 0.0029 ) × 유량 )))
3 : ( 16.23 × ( 유량 + ((( 평균착유일수 - 150 ) × 0.0029) × 유량 )) × 유지
방율% / 100))
-
ARC사양표준(ARC feeding standard)
영국의 농업연구회의(ARC)가 책정한 사양표준. 1980년에 반추가축의 영양요구량을 공표하고 있고 에너지는 대사에너지(ME)를 주체로 단백질에 관해서는 CP(조단백질) 특히 반추 분해성과 비분해성의 단백질로 표시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
NRC사양 표준(NRC feeding standard)
미국에 있어서의 사양표준. 국가 연구회의(NRC)의 가축영양위원호가 최근 연구성괄르 기반으로 각 가축마다 영양소 요구량을 책정하고 있다. 엄밀하게는 [영양]의 표준이라고 해야 할 성격이다. 유우에서는 제 6판이 1988년(1989년에 개정판)에 공표되고 단백질 요구량에 관하여서는 반추 비분해성 단백질이 고려하여 넣고 있다.
-
RFV
(상대적 조사료가)
-
가소화조단백질(digestible crude protein, DCP)
사료중의 단백질은 가소화조단백질과 가소화순단백질(digestible true protein, DTP)로 나누어지며,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DCP이다. DCP는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에 그 단백질의 소화율을 곱한 것으로 사료중의 질소량을 정량하여 여기에 6.25배를 곱하면 구할 수 있다.
-
가축복지(家畜福祉: animal welfare)
가축은 고통을 느낄 수 있다. → 어떤 종의 고통은 회피할 수 있다. → 그러므로 그것은 인간의 도덕·윤리의 문제라고 하는 사고방식. 가축복지에 있어서는 죽이는 것은 문제가 아니라 죽이는 방법 및 사육하는 방법이 문제가 된다. 그 점에서 가축도 살아갈 권리를 가지고 있고 죽이는 것조차 될 수 없다고 하는 [가축의 권리(animal right)]라는 사고방식과는 다르다.
-
각윤(horn ring)
자우의 뿔에게 나타나는 고리상의 잘록함. 분만등의 체력을 소모한 경우에 생기기 때문에 그 수와 간격에 의해 산차수와 연령, 과거에 중병이 걸렸는가등의 추정이 가능하다.
-
경합(競合: competition)
경쟁과 동일. 생물의 생활에 필요한 빛, 토양, 수분, 염류, 식물등에 양적제한이 있는 경우에 동종간 또는 이종간의 개체끼리 서로 빼앗는 현상. 동종의 개체간의 약탈을 종내경쟁, 이종간의 약탈을 종간경쟁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가 혼식되고 있는 목초지에서는 질소비료에 반응하기 쉬운 화본과와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두과의 반응이 다르고 군락의 빛의 경쟁과 관계한다.
-
경합(競合: competition)
경쟁과 동일. 생물의 생활에 필요한 빛, 토양, 수분, 염류, 식물등에 양적제한이 있는 경우에 동종간 또는 이종간의 개체끼리 서로 빼앗는 현상. 동종의 개체간의 약탈을 종내경쟁, 이종간의 약탈을 종간경쟁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화본과 목초와 두과 목초가 혼식되고 있는 목초지에서는 질소비료에 반응하기 쉬운 화본과와 공중질소를 고정하는 두과의 반응이 다르고 군락의 빛의 경쟁과 관계한다.
-
경합관계(competitive)
경영내의 2개의 작물이 토지와 노동력의 이용에 있어서 서로 경합하는 관계. 예를들면 여름작물로서의 목초와 dent corn등.
-
단백질 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 : PER)
사료중 단백질은 다른 영양소로 대체할 수 없는 중요한 것이고 그 영양가를 판정하는 방법중 하나이다. 일정기간의 동물(rat)의 체중 증가량(g)과 그 사이의 단백질 섭취량(g)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구하고 얻어진 수치가 크면 영양가가 높다고 평가한다.
단백질 효율 = 체중 증가량/ 단백질 섭취량.
-
단백질가(gross protein value, GPV)
단백질 함량 8%의 기초사료에 공시단밸질을 첨가한 사료와, 또 하나는 기초단백질을 첨가한 사료를 병아리에게 주었을 때 두구간의 증체비율을 단백질가라고 한다.
GPV = 공시단백질가구병아리1g의 증체량/기준단백질첨가구병아리1g의 증체량 ×100
-
단백질당량(protein equivalent)
반추동물의 경우 요소나 기타 비단백태질소화합물(non protein nitrogenous compound, NPN)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DTP나, 이용할 수 없는 질소화합물도 있으므로 DCP의 사용은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영국에서는 NPN의 가치를 순단백질의 50%로 보고, 이것을 단백질 당량이라고 한다.
-
단백질의 생물가(Biological value, BV)
생물가는 단백질을 평가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이용되고 있으며, 이 생물가(BV)는 섭취한 단백질의 몇 %가 축적되느냐로 표시하는 것이다.
BV =축적된 질소/흡수된 질소 ×100
-
단백질효율(protein efficiency ratio, PER)
단백질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를 완전하게 함유한 기초사료에 공시단백질을 첨가하여 사육전 기간동안 섭취한 단백질에 대한 체중 증가의 비율을 단백질 효율이라고 한다.
PER = 체중의증체량(g)/단백질의 섭취량(g)
-
대사 에너지(metabolizable energy: ME)
사료가 가지는 에너지 중 불소화물의 에너지를 뺀 가소화 에너지(DE)이므로 더욱더 요(尿)와 제 1위내 발효로 생산되는 메탄의 에너지를 뺀 것으로 가축에 이용되는 유효에너지의 것이다.
-
대사(metabolism)
동물체내의 모든 물질은 항상 합성과 분해를 반복하면서 재생산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동적 상태에 있어서의 물질이 화학적 반응을 말한다. 전체적으로는 물질 대사이고 열량적으로 본 경우에는 에너지 대사이다. 또 각각의 영양소에 대해서는 단백질 대사, 탄수화물 대사, 지질대사와 무기물 대사등과 같이 말할 수 있다.
-
대사시험(metabolism experiment)
가축체내에 있어서의 에너지와 단백질의 대사량을 측정하는 시험. 가축의 영양소 섭취량, 체내 분해산물의 배설량 및 그 사이의 에너지 출납등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행한다.
-
대사율(metabolizability)
사료중의 총에너지에 대한 대사 에너지의 비율. 동물의 종류에 ? 대사 에너지는 다르지만 이 비율은 보통 사양조건하에서는 급여량에 의해서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사료의 종류와 영양소 조성이 분명하면 그 가소화영양분량과 TDN함량으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
도식(盜食)
가축이 우(牛)·돈(豚)방등의 주위와 계류장치등 정해진 사육장소로부터 탈술하여 사료저장장소에서 멋대로 농후사료등을 채식하는 것. 과식에 의한 고창증(鼓脹症), 식체(食滯), 하리증등의 소화기 장해를 일으키는 일이 많다.
-
레닌(Rennin)
키모신(chymosin)이라고도 불리고 생후 바로 자우의 제 4위중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자량은 약 35,000이다. 우유를 응고시키는 성질이 있고 치즈제조 때의 응유효소로서 이용된다. 다른 소화효소와 달리 기질 특이성이 높고 기질인 χ-카제인의 Phe105-Met106 결합을 일개소만 한정적으로 가수분해한다. 가수분해의 결과 2개의 펩티드(peptid)가 생성된다. 친수성이 풍부한 C-말단측 펩티드는 글리코매크로 펩티드, 한편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를 많이 함유한 N-말단측 펩티드는 파라 χ-카제인이라고 불리고 있다.
-
레닌(Rennin)
키모신(chymosin)이라고도 불리고 생후 바로 자우의 제 4위중에 존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로 분자량은 약 35,000이다. 우유를 응고시키는 성질이 있고 치즈제조 때의 응유효소로서 이용된다. 다른 소화효소와 달리 기질 특이성이 높고 기질인 χ-카제인의 Phe105-Met106 결합을 일개소만 한정적으로 가수분해한다. 가수분해의 결과 2개의 펩티드(peptid)가 생성된다. 친수성이 풍부한 C-말단측 펩티드는 글리코매크로 펩티드, 한편 소수성 아미노산 잔기를 많이 함유한 N-말단측 펩티드는 파라 χ-카제인이라고 불리고 있다.
-
루멘 미생물(rumen microorganism)
루멘(제 1위)내에 생식하고 있는 미생물. 다종류의 세균(박테리아), 원생동물(protozoa) 및 진균(곰팡이)으로 구성된다. 모두 산소를 좋아하지 않는 혐기성 미생물로 사료의 성분을 분해하고 동물에게 여러 가지 영양소를 공급하고 있다. 보통은 제 1위 내용물 1g당 10∼수백억의 세균, 수∼수십만의 원생동물과 진균이 생식하고 있지만 급여 사료에 의해 큰 변동이 보인다.
-
루멘 미생물(rumen microorganism)
루멘(제 1위)내에 생식하고 있는 미생물. 다종류의 세균(박테리아), 원생동물(protozoa) 및 진균(곰팡이)으로 구성된다. 모두 산소를 좋아하지 않는 혐기성 미생물로 사료의 성분을 분해하고 동물에게 여러 가지 영양소를 공급하고 있다. 보통은 제 1위 내용물 1g당 10∼수백억의 세균, 수∼수십만의 원생동물과 진균이 생식하고 있지만 급여 사료에 의해 큰 변동이 보인다.
-
루멘 미생물군
루멘 미생물 집단. 미생물군을 구성하는 균과 원생동물의 수와 종류등은 섭취딘 사료의 종류와 섭취후의 시간 등에 의해 변동된다. 소와 루멘 미생물의 관계는 상호 서로 돕고 생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추공생]이라고 불린다. 소의 건강 상태가 변화하면 미생물군은 단순하게 되고 균수는 적어진다. 또 농후사료 특히 전분류를 다급하면 연쇄구균이 증식하여 유산이 많아지게 되고 소는 유산증, 유산 Acidosis가 된다.
-
루멘 미생물군
루멘 미생물 집단. 미생물군을 구성하는 균과 원생동물의 수와 종류등은 섭취딘 사료의 종류와 섭취후의 시간 등에 의해 변동된다. 소와 루멘 미생물의 관계는 상호 서로 돕고 생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반추공생]이라고 불린다. 소의 건강 상태가 변화하면 미생물군은 단순하게 되고 균수는 적어진다. 또 농후사료 특히 전분류를 다급하면 연쇄구균이 증식하여 유산이 많아지게 되고 소는 유산증, 유산 Acidosis가 된다.
-
사료효율(feed efficiency, FE)
성장중인 가축에 잇어서 사료섭취량의 증체량에 대한 비율을 사료효율이라고 한다.
FE = 사료섭취량/증체량
사료효율은 높을수록(숫자가 적을 수록)좋으며, 이것의 반대를 사료요구율(feed conversion)이라고 한다.
-
아이스밀크(Ice milk)
아이스 크림류 중에서 유고형분 10.0%이상, 유자방분 3.0%이하의 것. 유자방 함량이 낮아지면 조직이 거칠고, 연하지 않고, 차가움을 강하게 느낀다. 이 때문에 무지유고형분, 식물성 단백질등의 첨가, 식물지방으로 지방분을 높이고, 얼음 결정의 미세화와 조직의 미끄러움을 보존하고 유지한다. 대장균 음성은 세균수 1g당 50,000이하로 규정된다.
-
알파(α)값(mineral bias)
적외선 분광법에 의한 다성분 측정기는 지방율, 단백질율, 유당율을 측정할 수 있지만 회분율측정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무지고형분율을 구하기위해서는 단백질율과 유당율의 합에 불명의 성분율을 α값으로서 가산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 α값은 지역, 계절에 의해 변동하지만 평균값 1.0%을 채용하고 있다.
-
어린 잎(가지)를 먹는 것(browsing)
가축이 수목의 수피(樹皮), 작은 가지, 잎 및 싹을 베어 먹는 것. 방목지와 패독(paddock)에는 가축이 서열을 피하기 위한 비음림과 차가움, 혹은 풍우와 강설로부터 지키기위한 피난림의 설치가 바람직하지만 어린 잎(가지)의 식해, 박피(剝皮), 주간(主幹)·절지(折枝)등의 피해도 있고 종축, 수종, 사양현황에 대응할 대책이 필요하다.
-
에너지·단백질 비율(energy protein ratio, EP/R)
사료 1kg 또는 1lb 중에 들어있는 대사에너지를 조단백질 함량(%)으로 나누어 계산한 값을 에너지·단백질 비율이라고 하며, 또한 이것을 칼로리·단백질 비율(calorie-protein ratio, CP/R)이라고도 한다.
에너지·단백질 비율 = 사료1Kg당(또는1lb)중 대사에너지(kcal)
/조단백질(%)
-
영양율(nutritive ratio, NR)
영양율이란 가소화단백질에 대한 비단백태 가소화영양소총량(가소화지방×2.25, 가소화가용무질소물 및 가소화조섬유)의 비율을 말한다.
NR =(가소화탄수화물+가소화지방)*2.25/가소화단백질
NR이 4이하이면 좁다고 하고(단백질 함량이 에너지성 영양소에 비하여 높다), 5∼7일 때는 중간, 8이상일 때는 넓다고 한다.
-
유방색(udder colour)
유우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유방표면의 색. 비유를 유지하기 위해 유방내에서는 대량의 혈액이 순환하고 있고 건강에 있어서 에너지 대사가 정상인 경우 유방은 충실하고 표면은 핑크(pink)색의 선명한 색채를 나타낸다. 그러나 질병우등에서는 유방의 혈액순환이 감퇴하고 유방표면은 창백해진다.
-
음수량(water intake)
물은 가축 몸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부족할 수 없는 것으로 물을 충분히 공급하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가축의 음수량은 가축의 종류, 연령, 생리적 상태, 사료의 종류, 성상(性狀) 및 섭취량, 기온등에 좌우된다. 물의 요구량은 대량의 우유를 생산하는 비유우로서 그 기능을 발휘하는데 중요하다.
-
전해질용액(electrolyte solution)
가축이 하리에 걸리면 수분과 전해질(염화나트륨, 염화 칼슘과 같은 수용액에 이온으로 분리하는 물질)의 배설이 증가하고 탈수증상을 보이므로 그 대책으로서 경구투여하는 전해질을 함유한 수용액의 것. 경구보액(經口補液)이라고도 한다. 염화나트륨, 중탄산나트륨, 염화칼슘등 외에 글루코오스(glucose)와 아미노산(amino acid)을 함유한 경우도 있다.
-
정상(정점) 대사량( 頂上(頂点) 代謝量: summit metabolism)
동물의 정상체온 하에서 보일 수 있는 최대 산소 소비량으로 구해진 대사량.
-
질소축적율(nitrogen retention, NR)
흡수된 질소의 얼마가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가를 %로 표시한 것을 질소축적율(nitrogen retention, NR)이라고 한다.
NR =(섭취한질소량-배설된질소량)/섭취한질소량 ×100
=축적된 질소량/섭취한질소량 ×100
이 외에도 정미단백질가(net protein value, NPV), 체중회복능력법(rat repletion method), 단백질 대체가(protein replacement value, PRV) 및 질소출납지수(nitrogen balance index) 등이 있다.
-
트림(Eructation)
제1위내의 발효산물인 가스(gas: 주로 메탄과 탄산가스) 혹은 채식시에 음식물과 동시에 삼킨 공기가 반사에 의해 입으로부터 배출된 것을 말한다. 이 트림반사가 무엇인가의 원인으로 정지하면 가스가 충만해서 고창증(鼓脹症)이 된다.
-
화학적 환경(chemical environment)
환경요인의 하나로 가축의 코, 입, 소화기 및 피부등으로부터 섭취 또는 배설된 여러 가지 화학물질을 말한다. 가축을 둘러싸는 화학적 환경으로서는 공기중 O2, CO2, NH3, 음료수의 성분, 사료첨가물 및 약품류등이 더해지게 된다.
-
아미노산(amino acid)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산의 총칭. 단백질의 구성성분으로 가수분해에 의해 약20종의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기타 생체내에서 특수한 작용을 하는 유리, 혹은 결합한 아미노산도 있다. 미생물과 식물은 단백질 합성에 필요한 아미노산을 전부 생합성할 수 있지만 동물에서는 약 전체수의 반을 사료로부터 섭취할 필요가 있다. → 필수 아미노산.
-
Body condition score
유우의 영양상태를 판정하는 지표로 5단계법(대단히 여위여 있다 = 1, 여위여있다 = 2, 보통 = 3, 조금 살쪄있다 = 4, 대단히 살쪄있다 = 5)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고비유우의 비유최성기에서는 축적지방을 소비하기 위한 Score는 3이하가 되기 쉽다. 특히 건유기의 영양상태의 관찰이 중요하고 Score 4∼5의 Over condition이 된 경우 산후의 대사장해(산후기립불능, Ketosis등)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
Phase feeding
유기별 급여법과 동의. 소의 유기에 의해 채식능력과 영양요구량이 다르기 때문에 유기마다
사료조성을 변화시키는 사양법. 건유기외 비유기를 3기(期)정도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분만으로부터 비유 최성기(最盛期)정도의 사이는 일반적으로 Phase 1이라고 하고 사료섭취
가 영양요구에 달하지 않기 때문에 소화가 빠르고 식욕을 높이는 사료내용으로 하는등
Phase마다 사료설계가 달라진다.
-
내서성(耐暑性: heat torelance)
서열환경에 있어서 그 생체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성질. 주로 종 및 품종의 레벨로 이용되는 용어. 그러므로 내서성이 높은 품종에 있어서 개체 레벨로 내서성이 높은 개체가 항상 생산에 있어서도 높은 성적을 올린다고는 할 수 없다.
-
단미(斷尾: docking)
동물의 꼬리를 미추의 제 3관절에서 절단하는 것. 면양에서는 둔부(臀部)의 오염방지, 말, 개에서는 미관, 자돈에서는 스트레스에 의해 꼬리를 무는 것(tail-biting)의 방지를 위해서 각각 행한다.
-
대상성 발육(compensatory growth)
발육종의 가축에서는 어떤 기간, 영양공급 부족등의 원인으로 발육의 지연이 그 후의 기간에서 표준이상의 발육을 하고 그 지연을 회복하는 현상이 보인다. 이것을 대상성 발육이라고 한다. 발육의 지연을 회복할 가능성은 발육의 지연정도, 기간과 그 후의 사양 조건에 의해서 다르다. 자우의 육성으로는 동계에 사양 부족에 의해 발육이 억제되더라도 하계의 초량이 풍부한 방목지에서 발육의 지연을 회복하는 예등이 있다.
-
대상성 발육(compensatory growth)
발육종의 가축에서는 어떤 기간, 영양공급 부족등의 원인으로 발육의 지연이 그 후의 기간에서 표준이상의 발육을 하고 그 지연을 회복하는 현상이 보인다. 이것을 대상성 발육이라고 한다. 발육의 지연을 회복할 가능성은 발육의 지연정도, 기간과 그 후의 사양 조건에 의해서 다르다. 자우의 육성으로는 동계에 사양 부족에 의해 발육이 억제되더라도 하계의 초량이 풍부한 방목지에서 발육의 지연을 회복하는 예등이 있다.
-
루멘 발효(Rumen fermentation)
반추동물의 제 1위(rumen)에 생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행히지는 루멘 내 소화작용. 제 1위 발효라고도 한다. 1위내에서는 많은 세균과 섬모충류가 소가 섭취한 사료를 발효하고 소에게 유효한 영양원이 초산, 낙산, 프로피온산 등의 휘발성 지방산류와 아미노산류를 산생하고 있다. 또 요소와 암모니아 등으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지방의 소화와 비타민의 합성 등을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조사료의 급여량 부족등의 사료조건이 나쁠 경우와 소의 건강 상태가 나쁠 때는 제 1위 발효이상이 일어 난다. → 제 1위 발효.
-
루멘 발효(Rumen fermentation)
반추동물의 제 1위(rumen)에 생식하는 미생물에 의해 행히지는 루멘 내 소화작용. 제 1위 발효라고도 한다. 1위내에서는 많은 세균과 섬모충류가 소가 섭취한 사료를 발효하고 소에게 유효한 영양원이 초산, 낙산, 프로피온산 등의 휘발성 지방산류와 아미노산류를 산생하고 있다. 또 요소와 암모니아 등으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하거나 지방의 소화와 비타민의 합성 등을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조사료의 급여량 부족등의 사료조건이 나쁠 경우와 소의 건강 상태가 나쁠 때는 제 1위 발효이상이 일어 난다. → 제 1위 발효.
-
리드피딩(lead feeding)
비유우의 사양법의 일종. 비유초기의 산유량 증가로 선행하여 사료 급여를 행하고 적극적으로 높은 비유를 기대하는 사양법과 분만전부터 비유기 농후사료를 서서히 증가 급여하여 제 1위내 발효(미생물)를 순치(馴致)시키는 것으로 분만후의 고영양사료의 증급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목적의 2가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Phase feeding과 TMR방식과도 관계되어 있다.
-
리드피딩(lead feeding)
비유우의 사양법의 일종. 비유초기의 산유량 증가로 선행하여 사료 급여를 행하고 적극적으로 높은 비유를 기대하는 사양법과 분만전부터 비유기 농후사료를 서서히 증가 급여하여 제 1위내 발효(미생물)를 순치(馴致)시키는 것으로 분만후의 고영양사료의 증급을 원활하게 진행하는 목적의 2가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 방법은 Phase feeding과 TMR방식과도 관계되어 있다.
-
반추동물(ruminant)
소, 면양, 산양과 같이 4개의 위를 가지고 반추를 행하는 동물. 초식성으로 초류의 채식으로 적합한 이, 혀, 타액 및 위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반추위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단위동물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섬유질 사료를 소화이용할 수 있는 등의 특이한 소화능력을 가지고 있다.
-
발육곡선(growth curve)
성장곡선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발육중의 체중, 체격등의 양적인 증가만을 표시하는 곡선으로 체의 구서, 기능의 발달, 분화등 질적인 변화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
발육속도(growth rate)
성장속도와 거의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치로서는 표시하기 어려운 체구성과 기능의 발달·분화의 속도에 대해서 이용하는 것도 있다.
-
방목 순치(preconditioning of grazing animal)
방목하려고 하는 가축을 군집단과 방목지의 환경, 사료조건에 길들이게 하는 것. 시간제한방목에서 주야전방목으로 이행하는 수순(手順)과 방목초 채식으로의 사료 교체를 말한다. 순치기간은 가축에 있어서 스트레스가 크고 체중감소와 유생산감소의 위험이 있다.
-
방목(grazing)
야초지, 예취이용할 수 없는 경사지와 혼목림, 인공초지 등에 초식가축을 풀어놓고 직접 채식시키는 방법. 흙-풀-가축의 유기적 결합에 의한 본래적인 초지이용방법이다. 초지와 가축의 사이에 각종의 생태적인 상호관계가 생기고 비유우, 육용번식우, 육성우의 사양에 대해서 보다 과학적·합리적인 방목방식의 개발과 이용에 해결할 문제가 많이 남아 있다. 더욱 최근의 환경보전형의 지속성 농업시스템과 가축복지면에서도 방목을 재평가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
-
방목간격(period of grazing cycle)
보통의 윤환방목에 있어서 어떤 패독(paddock)의 방목이용의 개시시부터 다음방목이용개시시까지 기간. 목초의 재생은 계절과 토지에 의해 변동이 크기 때문에 그것에 응하여 이용간격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목초의 생육상황을 장악(掌握)하고 적당한 시기에 가축을 입목시키는 판단이 문제가 된다.
-
방목강도(stocking rate)
일정 초지면적에 일정 기간당 일정 가축단위를 방목한 두수. 통상 1년의 전방목 가능기간으로 계산한다. 방목강도를 늘리면 일정 면적당 가축생산은 증가하지만 가축 1두당 생산은 감소한다. 또 한도를 초과하여 방목강도를 늘리면 방목초지는 황폐하고 면적당 가축생산도 감소한다.
-
방목밀도(stocking density)
어떤 짧은 기간에 있어서 가축의 수와 방목지면적과의 관계. ha당 가축단위, 패독당 가축단위등으로 표시된다. 연속방목에서는 stocking density와 stocking rate는 동일하지만 윤환방목에서는 다르다.
-
부단급사(full feeding)
시간적으로 보아 제한없이 언제라도 자유롭게 채식할 수 있도록 한 급사법. 그 사료내용은
같지 않고 TMR로 한 전사료의 부단 급사와 조사료만의 부단 급사 등이 있다.
-
산지낙농(山地酪農)
산지의 초지 혹은 혼목림(混牧林)을 이용한 자급사료의 생산, 이용에 기초를 둔 낙농경영.
-
완충제: 버퍼(buffer)
유우 및 육우에 있어서 소화관내의 pH변동을 작게 유지하기 위한 완충제(緩衝劑). 제 1위내 발효 및 산생 VFA등은 pH에 의해 크게 영양을 받는다. 유우의 건강과 유성분의 면으로부터 제 1위내 pH는 대개 6∼7이 바람직하다. 사료설계 기타의 이유로 제 1위내 pH가 저하할 경우에는 완충제에 의한 중화가 유효하고 이것에는 탄산수소나트륨(중탄산나트륨)과 탄산마그네슘드이 있다. 또 소장에서의 소화·흡수에도 바람직한 pH범위가 있고 소장의 pH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탄산칼슘등이 이용되고 있다.
-
이유(離乳: weaning)
자축은 출생후 일정기간, 전유, 대용유등 액상사료를 공급하고 있지만 이것을 멈추고 고형사료만의 급여로 전환하는 것. 이유시에는 발육정체와 하리등 소화기 질병이 일어날 경향이 많기 때문에 자축의 발육, 고형사료 섭취량, 건강상태를 잘 관찰하면서 이유할 필요가 있다.
-
이유(離乳: weaning)
자축은 출생후 일정기간, 전유, 대용유등 액상사료를 공급하고 있지만 이것을 멈추고 고형사료만의 급여로 전환하는 것. 이유시에는 발육정체와 하리등 소화기 질병이 일어날 경향이 많기 때문에 자축의 발육, 고형사료 섭취량, 건강상태를 잘 관찰하면서 이유할 필요가 있다.
-
적온역(適溫域: zone of thermal adaptation)
동물의 체온조절에 있어서 혈관 운동과 약간의 발한(發汗)과 호흡등 물리적 체온조절작용으로 체온의 항상성을 유지할수 있는 온도 경계을 열적 중성권이라고 하며 이것은 가축의 생산에 가장 적당한 온도 범위이기 때문에 가축생산의 적온역이라고 한다.
-
체길이 측정(body measurement)
가축체 부위간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 가축의 종류에 의해 측정할 부위가 정해져 있고 월, 연령마다 체중과 함께 측정하고 성장과 성숙의 상태를 총합하여 파악한다.
-
체열평형(heat balance)
동물의 체온 항상성은 체열의 산생과 방열의 평형관계의 상(上)이 성립되어 있고 이것을 체열 평형이라고 한다. 소의 체혈평형(Tb)은 평균 체표온도(Ts)와 직장온도(Tr)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한다. Tb = 0.14×Ts + 0.86×Tr.
-
침작도(body condition)
유우의 영향상태를 반영한 피하지방의 침착정도를 나타내는 개념. 늑골(肋骨), 배부(背部), 요각·요부(腰部), 좌골단, 미근부 등의 피하지방을 촉진하고 5단계로 지수화하여 표현하는 것이 많다. Body condition은 유우의 에너지·Balance를 반영하고 있고 건유기와 각 비유 Stage마다 적정범위가 있다.
-
코뚜레(nose ring)
소의 코에 설치한 진유(眞鍮:놋쇠). 플라스틱 또는 대나무제의 고리. 천공봉(穿孔棒) 도는 비중격천공기로 코 중간의 연골에 구멍을 내고 그 안에 코뚜레를 통하게 한다. 소에 설치된 코뚜레에 로프를 통하여 보정과 유도를 위해서 사용하지만 최근은 유우에게 설치하는 것은 적다.
-
크리프피딩(creep feeding)
육용자우의 발육을 개선하기 위한 사양기술의 하나. 모우에 있어서 어떤 자우의 발육을 높이기 위해서 자우만에게 농후사료등을 급여하는 것으로 자우만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장소(별사 시설)에서 급사한다. 그 사료를 Creep사료라고 한다.
-
거름(manure)
영어로는 인위적인 처리를 하지 않은 가축 분뇨를 manure(쇠두엄:마굿간에 쌓인 거름)이라고 부른다. 액상(liquid, 건물 4%이하), 니상(semi-solid, 건물 4∼15%), 고체상(solid, 건물 15%이상)으로 구별된다.
-
구비(말의 거름: manure)
가축분뇨와 깔짚등이 혼합한 것을 말한다. 본래는 말의 분뇨가 주재료의 것으로 다량의 깔짚의 위에 가축을 장기간 사육하고 축방내에 자연히 퇴적발효한 것. 최근은 축사로부터 배출된 것은 그저 퇴비 또는 퇴구비라고 부르는 것이 많다. 가축분뇨와 깔짚의 혼합물을 신선구비 혹은 거름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 거름
-
구비(말의 거름: manure)
가축분뇨와 깔짚등이 혼합한 것을 말한다. 본래는 말의 분뇨가 주재료의 것으로 다량의 깔짚의 위에 가축을 장기간 사육하고 축방내에 자연히 퇴적발효한 것. 최근은 축사로부터 배출된 것은 그저 퇴비 또는 퇴구비라고 부르는 것이 많다. 가축분뇨와 깔짚의 혼합물을 신선구비 혹은 거름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 거름
-
급속퇴비화(rapid composting)
퇴적 혹은 퇴적·뒤엎음으로 장시간 정치(定置)시켜 퇴비화하는 방법에 대하여 교반(攪拌)과 통기 혹은 통기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장치를 가진 시설로 비교적 단기간에 추비화를 촉진시키는 것. 탑형(塔型), 구형(溝型)발효조등 고도로 기계화된 시설에는 1주간정도, 강제통풍퇴적형에서는 3주간 정도로 1차발효를 종료한다.
-
뒤집기(overturning, turning)
발효과정의 퇴비재료를 반전, 혼합하고 고쳐서 재료와 공기 및 미생물과의 접촉을 양호하게 하고 특히 수분을 균일하게 하여 재료전체의 발효를 촉진시키는 작업. wind low형의 퇴적퇴비로서는 front loader, shovel loader와 Overturing전용기등으로 퇴비화시설에서는 paddle형과 scoop형의 교반기에 의해서 뒤엎음이 행해지고 있다.
-
퇴비(Compost)
도시쓰레기, 오니등을 급속퇴비화처리하고 이것에 의해 생긴 제품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퇴비와 Compost는 동의어이다.
-
퇴비(compost)
쇠두엄에 대하여 볏짚등으로 하고 요(尿)등을 첨가, 퇴적하고 뒤엎음 처리를 한 것을 퇴비라고 불리고 있다. 그러나 최근은 퇴비의 재료도 가축 분뇨, 농산물 잔사뿐만 아니라 오니(汚泥), 가정쓰레기등과 다양화되고 있고 또 가축분도 뒤엎고 통기등의 처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쇠두엄을 포함하여 호기성 처리한 것을 퇴비라고 하는 것이 많다.
-
휴면(休眠: dormancy)
종자와 이싹이 생육을 휴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온도, 수분, 산소등 생육조건이 만족시키는 데도 종자와 이싹이 생육을 휴지하고 있는 경우를 자발휴면이라고 한다. 이것에 대하여 생육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종자와 아(芽)가 생육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를 타발유면이라고 한다. 자발휴면은 식물호르몬등이 관계하는 생리적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 식물에는 겨울과 건기를 휴면에 의해 극복하는 구조가 발달하고 있다.
-
목야(grassland)
임목육성이 목적이 아니고 주로 가축의 방목 또는 채초를 목적으로서 이용되는 토지. 행정상 또는 이용상으로 인공목야(인공초지)로 나누어지고 있다. 최근은 목야를 초지라고 부르는 것이 많다.
-
조기 검진(early check)
조기 검진. 분만후의 자축의 건강상태를 정기적으로 검사하는 것. 자우에서는 1회째의 검사는 분만후 25일경에 자궁의 수복(修復) 상황 및 악로(惡露)의 좋고 나쁨을 비교한다. 자궁수복이 불량하고 혹은 악로(惡露)와 농즙(濃汁)의 배출을 알 경우는 치료한다. 2회째는 45일전후에 행동, 발정회귀상태와 난소활동등에 대해서 검사하고 건강관리의 적정화(滴定化)를 나타낸다.
-
Backing gate
Milking parlor에 접속한 소의 대기장에서 사용하는 문짝. Milking parlor로 소를 도입할 때에 이 문짝을 움직여 대기장의 면적을 줄이면서 Parlor로 소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거나 들어가려고 하지 않는 소를 내몰기 위해서 사용한다. 문짝대신에 전기목책용의 전기를 통한 철사등을 사용하는 것도 있지만 동물복지의 면으로는 좋지 않다.
-
Calf stall
생후2∼3개월령 정도까지의 자우를 로프 또는 쇠 로 계류하여 개별사육하기 위한 stall. 구조는 목제, 플라스틱제 또는 금속제의 폭 60∼70cm, 길이140cm정도의 구획으로 하고 후부에는 칸막이 목책을 붙이고, 마루는 대나 띠로 발처럼 엮은 것으로 하는 것이 많다. 저상식과 고상식이 있고 후자는 상면을 30cm정도의 높이로 한다. 어느 것이나 전면에 사조, 급수기, 초가(草架)등을 덧붙인다. 깔짚을 깔고 보온과 건조에 유의한다.
-
FRP silo(fuberglass reinforced plastics silo)
구축재료가 FRP제의 사일로. FRP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모재로하여 유리섬유를 주로 강화충진재로 한 것으로 일본어로는 강화플라스틱이라고 한다. 섬유(fiber)의 F, 강화의 R, 플라스틱의 P의 머리문자를 딴 약칭. 사료탱크 등 많은 농업용자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처가 생기더라도 보수가 가능.
-
PT 하우스(PT house)
지중에 깊이 묻고 세운 둥굴고 큰 폴(Pole)을 기둥으로 하고 새로운 제법에 의한 경량목제
지붕 트러스(Truss)를 짜서 만든다. 북해도가 개발한 농립수산업용의 건출물. 구조는 지중에
묻은 폴과 폴의 기둥머리를 맨 도리, 및 도리에 가설한 경량목제 지붕트러스로 되어 있다.
저트러스축사로서 주목을 모으고 있다.
-
Warm barn
한냉지에 있어서 동계우사내 기온을 10℃전후로 유지하는 구조의 축사. 축사내에 가축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해서 단열구조를 강화하고 배기와 흡기간의 열교환효율을 높이고 사내온도를 어느 정도 고온으로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축사로 환기는 필요량을 기계로 행한다. Cold barn의 대의어.
-
가반식 사일로(transportable silo)
운반가능한 사일로. 고정사일로처럼 기초가 없고 FRP등 가벼운 자재를 이용한 것이 많다. 보조 사일로로서 사용한다.
-
각형사일로(block silo)
현상이 각형의 사일로의 총칭. 콘크 리트 또는 콘크리트블록제로 지하 또는 반지하식의 소형의 것이 많다. 원형사일로에 비하여 건설하기 쉽지만 우각부는 주입밀도가 낮고 공기에 접하기 쉽기 때문에 사일리지의 품질은 거의 불안정하게 되는 것이 난점.
-
개방형우사(open type cow shed)
개구부가 많고 주위가 개방된 우사. 창과 문짝의 개구부분을 넓게 취한 것으로 인해 사내의 열, 수분, 유해가스등을 신속하게 사외로 빼내는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극단적인 경우는 기둥과 지붕만으로 이루어진다. 온난지역에서 채용된다. 폐쇄형 우사의 대의어.
-
건초수납고(hay shed)
건초와 볏짚을 저장, 보관하는 건물과 장소. 적설한냉지대를 제외하고는 따른 동으로하고 우사근처에 병설한다. 목조 또는 쇠파이프등의 조립식으로 하고 지붕만을 덮은 간편한 바람이 지나가는 구조의 건물로 하는 것이 많다. 적설한냉지대에서는 우사의 보온을 겸하여 지붕속(2계층)에 저장하는 방식이 많다.
-
격리방(hospital area)
새롭게 도입한 소의 건강상태를 조사할 때 및 병우, 특히 악성질환우등을 따로 사육하기 위한 우방으로 건강우와 떨어진 장소에 설치한다. 구조는 보통의 우방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하지만 세정소독이 용이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더욱 소는 돼지와 계(닭)와 다리 전염병의 유행에 의한 피해가 적기 때문에 격리방을 설치할 예는 드물고, 질병일 때는 분만방과 육성방을 사용하는 일이 많다.
-
계류식 우사(stall barn)
스탄죤(stanchion), 체인(chain) 또는 로프(rope)등으로 소를 계류하여 사육하는 방식의 우사. 일본에서는 착유우의 대부분이 이 방식의 우사로 사육되고 있다. 이것은 계류(繫留)되고 있는 소의 장소로 작업자가 가서 급사와 착유를 행하기 때문에 관리노력을 많이 요하지만 소의 능력과 상태에 맞는 개체 관리가 행해지기 쉽고 소끼리 투쟁·경합도 적다.
-
군사방(group pen)
2두 이상의 가축(소)을 수용하는축방(우방). 주로 육성우의 비육우의 사육에 사용한다. 그룹방이라고도 한다. 우방의 길이는 수용하는 소의 크기와 두수에 의해 다르지만 1두당 면적은 단사방의 약 절반으로 한다. 군사육을 위해 생력적인 반면 하리와 폐염, 피부병등이 상호감염하기 쉽고 또 채식시 경쟁, 투쟁이 일어나기 쉽다.
-
군사식 우사(group pen barn)
군사방을 준비한 우사 → 군사방.
-
급사(feeding)
사료를 급여하는 것으로 필요하고도 충분한 영양량을 확실하게 채식시키기 위해서 가축의 종류와 연령, 사료의 종류등에 의해 여러 가지의 급여방법, 기계·시설이 고안되고 있다.
-
급사통로(feeding alley)
계류식우사의 사조전방의 급사을 위한 통로. 급사통로폭은 급사방법에 의해 다르지만 사료의 운반에 차량을 사용하는 경우 인력우반차는 차폭으로 15∼30cm, 트랙터등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차는 30∼50cm의 여유를 두고 폭으로 한다. 횡단통로로 이동하는 회전부분은 차가 회전하기쉽도록 사조의 뿔을 없애는 등의 배려(配慮)가 있다. 방사식우사의 사조앞의 급사용의 통로도 급사통로라 부른다.
-
급수조(waterer)
콘크리트, 플라스틱, 강철등의 급수용의 수조. 물의 보급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때문에 float판이 설치되어 있고 소가 물을 먹으면 수면이 내려가고 동시에 수면상의 float도 내려가기 때문에 판이 열려 물이 보급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많다. 또 한냉지에서는 동결방지용의 보온식급수조가 이용되고 있다.
-
기밀사일로(air-tight silo)
기밀성이 특히 우수한 사일로. 사일로는 할 수 있는 한 혐기(嫌氣)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좋은 사일레지를 만들기 위한 필수조건. 이 사일로의 특징은 구조적으로 사일레지를 꺼낼 때도 기밀성이 유지되는 것. 꺼내는 것과 주입이 동시에 하고 순환(循環)이용할 수 있는 등이다. 강철제와 FRP등의 구축재료를 이용한 지상식, 타워사일로(tower silo)가 대부분이다.
-
다용통로(servece alley, litter alley)
계류식 우사의 소의 후방의 통로를 말한다. 통로를 많이 내는 작업에 많이 이용되므로 litter alley라고도 한다. 기타로 착유작업과 소의 손질할 때에 사용하는 것외 소를 방목하거나 패독(paddock)에 출입할 때에는 소의 통로로서 사용한다. 폭은 사용하는 차량에 의하지만 소의 통로로서는 최저 90cm, 2두 동시를 상정하면 2m이상이 바람직하다. 바닥 재료는 콘크리트로 하지만 소의 활주방지를 위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무리한다.
-
단사방(single pen)
가축(소)을 1두씩 수용하는 축방(우방). 주로 분만우, 포육우, 육성우 및 종모우등의 수용·사육에 사용한다. 우방의 길이는 분만방은 3×3m = 9㎡, 포육방은 1.2×1.2m = 1.4㎡, 육성방은 1.8×1.8m = 3.2㎡정도가 표준으로 되어 있다.
-
대고식 우사(對尻式 牛舍: face-out type cow shed)
복열의 계류식 우사의 경우 stall 예의 배열방법중 하나로 소의 고부(尻部: 엉덩이 부분)가 서로 향하도록 배열한 우사. 낙농작업은 착유, 부료(깔짚)의 반출입, 우체의 손질등 소의 후구측에서 행하는 작업이 많기 때문에 작업장을 집중하여 능률향상을 꾀하기 위해 대고식으로 하는 것이 많다. 이외 소의 체형을 보기에 편리하는 등의 이점도 있다.
-
대기소(Holding area)
Milking parlor에 소를 도입하기 전에 일정한 범위 안에 소를 집결하여 대기시키는 장소. 장방형, 원형 혹은 선형(扇形)의 것이 있다. 소의 Parlor로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는 곧바로 Parlor로 들어가도록 하여 통로에 굴곡을 만들지 않을 것. 입구에 높낮이의 차이를 만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
대두식 우사(face-in type cow shed)
복열의 계류식 우사의 경우 Stall열의 배열방법중 하나로 소의 두부가 서로 향하도록 배열한 우사. 급사 작업에 중점을 두고 특히 급사의 기계화를 행할 때에는 기계의 가동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좋다고 한다. 조사료와 Complete feed등의 용적이 큰 사료를 생력적으로 급사하는 경우의 방식으로서 주목되고 있다.
-
랩트사일로(wrapped silo)
얇고 기밀성이 높은 필름(film)을 사일레지원료에 친친 둘러감어 기밀로 한 사일로. 이 필름은 신축성과 점착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약간 구멍이 생긴 정도이면 기밀성은 저하하지 않는다. 또 트랙터등에 필요에 응하여 이동시킬 수도 있다.
-
모니터형 지붕(monitor roof)
지붕의 용마루 부분을 개구하고 그 부분을 덮기 위해서 작은 지붕을 설치한 지붕. 용마루는 전체의 지붕보다 1단 높아지기 때문에 자연 환기가 촉진되고 또 그것은 채광의 역할도 한다.
-
반지하식 사일로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벽면의 위치에 의하여 사일로를 분류할 때반지하의 사일로. 반지하식 수직사일로와 반지하식의 트렌치사일로, 벙커사일로가 있다.
-
방사식 우사(loose barn, loose housing barn)
어던 넓이의 범위안에 소를 계류하지 않고 방사하여 사육하는 방식의 우사. 구미와 대양주에서는 유우사로서 널리 보급되어 있지만 일본에서는 아직 수가 적다. 소 자신이 착유장과 급사장으로 이동해 오기 때문에 생력적이지만 개체관리를 하기 어려운 등의 문제점도 있다. 오늘날 대규모 경영으로는 부족하지 않는 방식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
벌크집유(bulk milk collection)
집송유 업무의 대형화·합리화에 따라서 도입되고 있는 단열장치부착 탱크로리(1∼10톤의 용량)에 이해 낙농가의 벌크탱크유를 유업공장으로 수종하는 대량집유의 것.
-
벌크쿨러(bulk cooler, bulk milk tank)
짠 생유를 냉각하면서 보존하기 위한 냉동기를 갖춘 스테인리스제의 탱크. 개방형과 밀폐형이 있다. 얻을 수 있는 냉각능력은 1회의 착유분의 우유를 투입하여 최초의 1시간이내에 10℃로 다음의 1시간이내에 4℃가지 내리는 것. 또 전회에 짠 우유가 있는 탱크에 새로운 우유를 투입한 합유는 10℃을 넘지않는 것.
-
벙커사일로(bunker silo)
지상식으로 수평사일로의 일종. 보통 양측벽과 저부(底部)를 콘크리트로 하지만 경사지를 이용하여 3벽면을 콘크리트로 하거나 반지하식으로 하는 것도 있다. 사일리지재료를 통상은 트럭등의 기계력을 사용하여 답압하면서 주입하고 상부는 비닐시트를 사용하여 밀폐한다.
-
병렬 착유실(Parallel milking parlor)
Side by side milking parlor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다른 점은 Side by side parlor의 경우는 착유종료시는 한 군의 끝의 소부터 순차적으로 밖으로 나오는 형이지만 parallel parlor에서는 착유가 종료한 소는 그대로 앞으로 나와 밖으로 나오는 형이다. 그 때문에 이 형식에서는 소가 외측으로 한 줄로 서는 통로가 필요하다.
-
병행 착유실(abreast milking parlor)
착유실내 소의 배열이 가로로 나란히 된 형식의 착유소. 계방식우사의 소의 배열을 닮고 있다. 착유자용 마루(床)과 우상과의 높낮이의 차이가 그다지 갖다 대지는 않았는지, 대더라도 40cm정도가 보통. 착유장치(miler unit)가 1두마다 전용형과 2두 공용형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개체 관리가 쉽고 비교적 소규모 경영으로 향해가고 있다.
-
병행 착유실(abreast milking parlor)
착유실내 소의 배열이 가로로 나란히 된 형식의 착유소. 계방식우사의 소의 배열을 닮고 있다. 착유자용 마루(床)과 우상과의 높낮이의 차이가 그다지 갖다 대지는 않았는지, 대더라도 40cm정도가 보통. 착유장치(miler unit)가 1두마다 전용형과 2두 공용형이 있다. 구조가 간단하고 개체 관리가 쉽고 비교적 소규모 경영으로 향해가고 있다.
-
보조사일로(supplementary silo)
필요에 응하여 수시(隨時)에 또는 간이하게 구축할 수 있는 사일로의 총칭. 고정식의 본격적인 구축물이 아니기 때문에 비용이 싼 것이 이점이지만 사일리지의 품질보지와 꺼내는 작업면에서 난점이 있다. 스태크 사일로(stack silo), 트랜치 사일로(trench silo), 백 사일로(bag silo)등이 여기에 속한다.
-
분만방(우): calving pen
분만을 행하기 위한 우방. 모우는 분만전후의 약 2주간 정도 여기에 수용사육한다. 넓이는 3× 3m = 9㎡가 필요하고 칸막이 목책의 높이는 1.4m정도로 한다. 이것에 사조, 급수기, 초가(草架) 등을 설치한다. 방내에는 사조의 각 등의 돌출물이 나오지 않도록 주의한다. 사용후는 세정소독을 행하고 방내의 급배수의 편리를 고려해 둔다.
-
삼각형 착유실(Trigon milking parlor)
착유실내의 소 배열이 3각형으로 된 형식의 parlor. Herringbone milking parlor와 Tandem parlor의 각각 장점을 조합하여 설계된 것. Herringbone type와 같이 소는 비스듬하게 늘어 서기 때문에 유방과 유방의 간격은 짧아 진다. 일열의 두수가 적어지고 소의 출입 시간도 적어지게 된다.
-
석호(Lagoon)
유기성배수를 비교적 장기간 대류시켜 미생물의 정화작용에 의해 처리하는 연못모양의 시설. lagoon에는 산화지(고율지와 통성지), 혐기성지, 폭기지가 있고 산화지는 조류의 광합성 작용이 관여하고 있다. 산화지중 고율지는 깊이가 얇고 활성오니법과 동양인 산화분해가 행해지고 있지만 통성지는 1m이상의 깊이가 있고 저층부는 혐기적 환경이 된다.
-
송아지 방(calf pen)
생후2∼3개월령정도까지의 자우를 수용·사육하기위한 우방. 단사가 많지만 군사의 경우도 있다. 목채은 쇠파이프 또는 목제로 하고 크기는 단사의 경우 1.2 × 1.2∼1.5m, 목책의 높이는 1.2m정도로 한다. 마루는 배수에 유의하고 2%정도의 경사를 둔 콘크리트로 하든가 목제의 대나 발을 엮은 것으로하고 깔짚을 충분히 깔고 보온과 건조에 힘쓴다. 우방내에 사조, 급수기, 초가(草架)를 설치한다.
-
송아지 상자(calf hutch)
출생직후부터 2∼3개월령까지의 자우를 옥외에서 1두식 수용·사육하기 위한 소옥상(작은 지붕모양)의 시설, 나무(주로 베니어)제 또는 플라스틱(주로 FRP)제로 폭1.2m, 건물의 안길이 1.8∼2.4m, 높이 1.2m정도로 하고 전방에 운동할 수 있는 작은 둘레를 부설한다. 마루는 15∼20cm 흙을 쌓아 높게 하고 깔짚을 충분히 깔고 보온에 힘쓴다. Hutch내부에는 사조, 급수기, 초가(草架)등을 설치한다.
-
안락스톨(comfort stall)
계목식우사의 stall중 하나. 소를 1m정도의 쇠등에 완만하게 매고 사조의 전선(前線)에 파이프 목첵을 설치하여 소가 전방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stal. 소의 자유를 그다지 속박하지 않는 계류법이고 소를 방목지와 패독(paddock)으로 빈번히 나가지 않는 사사(舍飼)사육에 적당하다. 안락스톨이라고도 한다. Tie stall에 비해 앞의 목책의 시공비부분만 설치경비는 비싸게 든다.
-
알레이(alley)
통로
-
액비관개(液肥灌漑: organic irrigation)
가축분뇨, 식품공장폐수등의 유기질로 풍부한 액비의 포장 산포(散布). 호스 또는 배관에 액비를 펌프로 빨아 올리고 Rain gun과 노즐(nozzle)에 의해 포장으로 산포하는 것.
-
연석(curb)
기능이 다른 공간의 경계에 위치한 돌. 우사의 경우는 우방과 통로간과 free stall과 후부의 통로간등의 마루면에 설치하고 깔짚이 통로에 이행, 비산하지 않도록 한다. 보통 높이 10∼20cm 정도의 콘크리트제로 하는 일이 많지만 콘크리트 블록과 목재를 사용하는 것도 있다. 패독(paddock)과 추비반등의 주위에도 설치하는 일이 많다.
-
오니(汚泥: sludge)
슬러지의 종류에는 가정하수오니와 산업폐수오니가 있고 전자에는 침전오니(沈澱汚泥), 생물학처리오니(산수오니, 활성오니) 혹은 생오니·소화오니의 구별이 있다. 산업폐수오니에는 처리방식에 의해 석회오니·수산화오니등 종류가 많다. 오니는 이것들의 총칭이다. 일반적으로 소화, 호기성 발효, 약품처리소각으로 처리된다.
-
오픈 리지식우사(open ridge type cow shed)
동부를 전면에 걸쳐 개구하며 처마밑 또는 벽측으로부터 급기하는 환기방식의 우사, (ridge)란 건물의 용마루의 것으로 폭 20cm 이상에 걸쳐 용마루를 개구한다. 측벽 혹은 처마 밑으로부터 들어온 공기는 축사내에 따뜻해진 상승기류로 되어 open ridge로부터 밖으로 나온다. 즉 개구부의 큰 자연환기우사이다. open ridge로부터 우설의 침입이 문제가 되는 것도 있다.
-
요저류조(尿貯溜槽: liquid manure tank)
요(尿)의 저류조. 계류식 우사, 방사식 우사 및 우방식 우사의 모든 경우도 우사내에 분과 오줌을 완전히 분리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요 주체의 액상물의 저류조를 일반적으로 요저류조라고 한다. 지하식의 철근 콘크리트제가 많고 하수속에 공기를 넣어서 배수 정화를 돕는 것도 있다. 1일 1두당 요의 배설량, 두수, 저류일수등에 기초를 두어 필요용적을 산출하여 제작한다.
-
우방(pen)
철파이프, 목재, 로프등의 간막이 목책으로 둘러싸인 공간. Pen이라고도 한다. 사용목적에 의해 분만방, 포육방, 육성방, 비육방, 격리방등으로 수용두수에 의해 단사방, 군사방으로 구조에 의해 고정방, 가동방등으로 구분된다. 구성은 간막이 목책과 마루로 되고 이것에 사조, 급수조등이 설치된다. 통상 상(마루)는 콘크리트로 하고 깔짚을 사용한다.
-
우방(pen)
철파이프, 목재, 로프등의 간막이 목책으로 둘러싸인 공간. Pen이라고도 한다. 사용목적에 의해 분만방, 포육방, 육성방, 비육방, 격리방등으로 수용두수에 의해 단사방, 군사방으로 구조에 의해 고정방, 가동방등으로 구분된다. 구성은 간막이 목책과 마루로 되고 이것에 사조, 급수조등이 설치된다. 통상 상(마루)는 콘크리트로 하고 깔짚을 사용한다.
-
우방식우사(Pen barn)
우사내가 주로 우방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우사. 착유우의 사육에는 적당하지 않고 비착유우에 한하고 육우의 번식우사, 비육우사, 유육우의 육성우사 및 종모우사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 방의 수용두수와 우방의 마루구조등에 의해 각각 Type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간이구조의 것이 많고 기계장비도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도 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우방식우사(Pen barn)
우사내가 주로 우방에 의해 구성되고 있는 우사. 착유우의 사육에는 적당하지 않고 비착유우에 한하고 육우의 번식우사, 비육우사, 유육우의 육성우사 및 종모우사로서 이용되고 있다. 한 방의 수용두수와 우방의 마루구조등에 의해 각각 Type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간이구조의 것이 많고 기계장비도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도 싸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
우유냉각기(milk cooler)
우유의 변질을 막기위해 착유후의 우유를 냉각하고 출하까지 저온으로 일시적으로 보지(保持)하기 위한 기기. 최든은 대부분이 Bulk cooler에 의해 냉각되고 있지만 그것까지는 냉각기에 의해 만들어진 냉수에 우유관을 침지하여 차갑게 하는 방식의 Unit형 Cool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다른 것은 냉각기에 넣기 전에 예냉하는 기기로서는 Plate cooler가 사용된다.
-
우유저장탱크(storage tank)
공장에 수입된 생유와 살균유를 세균의 증식을 막기위해서 제조시까지 4℃이하로 냉각하고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냉각, 교반장치를 갖춘 스테인리스(stainless)제의 탱크(tank). 가로형과 세로형이 있다.
-
우유처리실(milk room)
착유한 우유를 냉각·저장하기 위한 방. Bulk cooler가 이 방에 설치되지만 그와 다르게 milker unit와 착유관련기구를 보관하거나 급탕설비를 갖추고 있다. 우사내 Pipe line milker의 경우는 벽면에 수유·제어판넬을 설치한다.
-
움푹팬형사조(sweep-in type manger)
급사통로측에 사조의 전(栓)부가 없고 통로면과 사조의 앞 가장자리가 동일 높이의 사조를 말한다. 전(栓)부가 없으므로 사료를 서서 사조에 투입할 필요가 없고 배사는 생력적이고 또 통풍도 좋다. 그러나 소가 채식중에 코에 사료를 통로상에 밀어내기 때문에 이것을 청소할 필요가 있고 그때에 불위생이 되기 쉽다. 밀어내지 않기 위한 고안과 위생적배려가 검토되고 있다.
-
육성방(calf pen)
자우를 수용하는 우방으로 단사용과 군사용이 있지만 후자가 일반적이다. 성우사내의 일우로 설계할 경우와 전용의 육성사로 할 경우가 있다. 구조는 1두당 2.5∼3.5㎡정도의 면적으로 하고 높이120cm정도의 쇠파이프 목책이 중요하고 급사 및 급수시설을 붙인다. 패독(paddock)을 병설(倂設)하여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
자동 급수기(water cup)
급수용의 기구. 압추식과 플로트(float)식이 있지만 계류식 우사의 경우는 전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소가 음수하고 싶을 때에 입으로 컵가운데의 콕크를 누르면 물이 나오도록 되어 있다. 방사식 우사와 돈사에서는 플로트(float)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
자동 잠금 스탄죤(auto lock stanchion)
급사할 때에 소가 머리를 넣으면 자동적으로 폐쇠하는 구조의 Stanchion. 해방(解放)도 일개소로 원터지로 행하기 때문에 개폐(開閉)의 손길이 덜어지는 생력적인 계류장치이다. 방사의 경우등에 풀어져 있는 많은 소에게 급사할 때는 채식중에 강한 소가 다른 소의 채식을 방해하지 않도록 일차적으로 전부 소를 계류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하는 일이 많다.
-
중앙통로(medial alley)
계류식 우사의 중앙통로. 소의 배열이 대고식의 경우는 여기에 다용통로가 된다. 대두식의 경우는 급사통로가 된다. 마루는 콘크리트 마루로 하고 중앙부문을 거의 높게하고 양단에 경사를 주어 물이 고이지 않도록 유의한다.
-
지면에 우뚝 나와 있는 형식(high-front type manger)
급사통로측에 사조가 우뚝 나와있는 부분이 있고 통로면보다 사조의 가장자리가 높은 사조를 말한다. 급사할 때는 사료를 들어올리기 위한 노력이 들지만 소가 통로상에 사료를 엎지르는 것이 적고 통로상의 이물의 혼입도 없어 좋다. 다만 우뚝 나와 있는 부분이 사내의 통풍을 저해하기 때문에 하계고온 다습지대에서는 우뚝 솟아 있는 부분을 낮게 하든가 도입을 삼가는 쪽이 좋다.
-
지상식 사일로(surface silo)
지면을 기준으로 하여 벽면의 위치에 의해 사일로를 분류할 때에 지상에 있는 사일로. 타워사일로(tower silo), 방커 사일로(bunker silo), 펜스 사일로(fence silo), 스태크 사일로(stack silo)등이 여기에 속한다.
-
진공사일로(vacuum silo)
Bag silo와 Stack silo에 있어서 주입후 진공 펌프 등을 사용하여 공기를 발취(拔取)하여 진공으로 한 사일로. 이것은 사일리지원료를 주입한 후 바로 혐기상태를 만들고 유산발효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 그러나 실제적인 효과는 인정되고 있지 않다.
-
착유센터(milking center)
착유관련시설이 모여있는 장소를 미국에서는 이와 같이 부른다. Free stall방식의 경우는 Parlor, 대기장, 기계실, 우유처리실, 휴식실, 사무실 및 치료장 등이 있다. Stall우사에서는 통상 기계실, 우유 처리실, 휴식실 및 사무실이 있다.
-
착유실(milking parlor)
착유를 위한 방. 보통 방사식의 우사에 있어서 착유의 장소로서 이용된다. 착유시에 소 자신이 이용해 오기 때문에 생력적이다. 또 소를 작업하기 쉬운 배열로 늘어 놓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작업능률이 좋고 또 착유자가 허리를 구부리지 않아도 작업하기 쉽도록 이상식(異床式)으로 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하다. 이외에 위생적인 착유를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소의 배열방식과 소의 출입 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 형의 것이 있다.
-
콘테이너사일로(container silo)
플라스틱제의 콘테이너를 사용한 사일로. 가반식 사일로이고 보조 사일로로서 이용된다. Bag silo에 비하여 내구성이 좋고 취급하기 쉽지만 가격은 비싸다.
-
클램프사일로(clamp silo) → stack silo.
재료를 지상에 퇴적하여 발효시키는 방법이다. 필요에 따라 어떤 장소에서 언제든지 사일리지를 만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혐기성 상태로 보존하지 못하므로 폐기량이 35%정도에 달하게 되어 널리 이용되지 않고 있으나 이들의 결점을 없앨 목적으로 플라스틱으로 기밀하거나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진공압축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한 사일로를 비닐바큠사일로(vinyl vaccuum silo)라고 한다. 이것은 처음 뉴질랜드에서 실험적으로 개발된 것인데 지면에 0.1mm정도의 비닐을 깔고 피복용으로 0.2∼0.35mm두께의 비닐을 덮어 봉하고 바큠으로 내부의 공기를 흡인하여 내고 혐기성 상태로 하여 발효시키는 것으로 이렇게 만든 사일리지의 품질은 양호하다.
-
타워 사일로(tower silo)
지상식의 수식 사일로. 탑형사일로라고도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지상식의 원형 사일로를 가르킨다. 옛날은 벽돌과 목제의 것이 였지만 철근 콘크리트제가 대부분이 되고 다음으로 경량 콘크리트 블록, glass coating한 steel, 스태인리스강(stainless steel) 혹은 FRP등을 구축 재료로 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
타이 스톨(tie stall)
계류식 우사에서 이용하는 stall의 하나. 소에게 목걸이를 하고 체인(chain)등으로 이것을 Stall의 전방에 맨 stall. 매는 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형이 있다. 소의 행동속박은 스탄죤(stanchion)보다도 느슨하지만 소의 출입시간은 많이 걸린다. Stall내의 소가 움직이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우상의 오염범위도 넓지만 경비는 다른 Stall보다 싼 가격이다.
-
탑언로더(Top unloader)
주로 대형의 지상식 원형 사일로로 사용되고 있는 Unloader. 사일로 상부에 설치하고 사일리지 표면상을 360도 회전하면서 사일리지를 Screw conveyor등으로 퍼내고 이것을 사일로의 중심으로 모아서 사일로 밖으로 내뿜는다.
-
탱크로리(tank lorry)
낙농가에서 우유를 모으고 집유소, 우유처리공장 또는 공장사이를 운반하는 우유 전용의 운반차. 우유를 저류하는 탱크는 스테인리스제로 단열재가 짜 넣어져 있고 우유가 보냉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
텐덤형 착유실(Tandem milking parlor)
착유실내의 소의 배열이 종열로 나란히 된 형식의 parlor. 소가 일직선으로 병행하고 작업을 위한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되기 때문에 한쪽 편에 4두 정도가지가 한도이다. 각 stall의 측에 통로를 설치하고 1두마다 소를 출입할 수 있는 방식의 Tandem side-opening type와 빠져나가는 방식의 walk-through 또는 chute type가 있다.
-
통로(alley)
우사내의 통로는 사료, 깔짚, 우유, 분뇨등의 운반 및 관리자 및 소, 작업기등의 통행을 위해 사용한다. 주로 사용목적에 의해 급사통로, 다용통로 또는 다출(多出) 통로 및 횡단통로 대별(大別)되고 또 위치에 의해 중앙통로라고 부르는 쪽도 있다. 통로폭은 넓을수록 작업을 하기 쉽지만 보통 계류식 유우사의 통로면적은 우사면적의 50%이고 건축비에 크게 영향하기 때문에 적정한 통로폭으로 하지 않으면 안된다.
-
퇴비반(solid manure storage)
지붕이 없는 퇴비사로 일반적으로 마루를 콘크리트로 한 것을 퇴비반이라고 부른다. 지붕이 없기 때문에 건물이라고는 간주할 수 없다. 퇴비사에 비해 질소와 가용성 유기물의 손실이 크고 배즙등에 의해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기 쉽기 때문에 2∼3방으로 콘크리트등의 특벽을 설치하고 배즙을 모으는 저류조를 병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퇴비사(roofed solid manure storage)
분뇨와 깔집을 퇴적, 발효시키는 동시에 저장하기 위한 시설. 일반적으로 우사의 근처에 설치하지만 최근은 공동 이용시설로서 사용되는 예도 많다. 보통은 퇴적이고 뒤갈아 엎음과 통기의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반출입, 뒤엎는 작업을 위해서는 지붕높이, 간막이 간격을 크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파이프라인 착유기(Pipe-line milking machine)
착유한 우유를 그대로 파이프를 사용하여 우유처리실까지 송유하는 방식의 착유기. Cow shed(우사)용 pipe-line milking machine과 milking parlor용 pipe-line milking machine가 있다.
-
패독(paddock)
운동장. 우사에 부설하여 소가 운동, 일광욕, 휴양등을 행하는 장소로서 사용한다. 넓이의 기준은 포장한 경우는 성우 1두당 10㎡, 비포장의 경우는 30㎡정도이다. 패독에는 주위에 높이 120cm정도의 철 또는 목제의 목책을 설치하고 필요에 응하여 급사 및 급수시설을 붙인다. 강수량이 많은 곳은 주의한다. 난지에서는 비음수(庇蔭樹)를 심는다.
-
평상식 우사(flatted floor type pen)
우방내의 마루가 평탄한 우방. 경사마루(상)우방과 대나 띠로 발을 엮은 마루 우방이 고안되
었기 때문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보통의 마루식 우방을 평상우방이라고 한다. 마루 재
료는 사리(砂利), 모래, 백사등의 배수가 좋은 것을 사용하든가 콘크리트포장으로 한다. 보통
분뇨는 깔짚에 흡수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다량의 깔짚이 필요하다.
-
폐쇄형우사(closed type cow shed)
개구부가 적고 주위가 폐쇄된 우사. 창과 문짝 등을 적게 하고 외기의 유입과 사내공기의
누출을 적게하고 동계의 보온성을 좋게 한 것으로 한냉지에서 한다. 하계, 동계 때에 환기
가 충분히 행해지도록 설계되지 않으면 안된다.
-
폴리건 착유실(polygon milking parlor)
착유실내 소의 배열이 다각적(polygon)으로 된 형식의 Parlor. Herringbone Parlor와 Tandem side-opening Parlor의 각각의 장점을 조합하여 설계된 것. Polygon에는 보통 4변이 있고 각변에 4∼10두를 비스듬하게 넣는다. 이 형의 이점은 착유자에서 전부 소의 유방이 잘 보이는 것이다.
-
프리스톨(free stall)
계류장치가 없고 소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Stall. 방사식 우사의 휴식장에 설치한다.
Free stall의 설치에 의해 개개의 소가 쉬는 장소가 서로 섞이지 않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 깔짚이 적어 깨끗하고 우두머리소와 발정우가 다른 소의 행동을 방해하기 어려워진다.
Free stall내의 배분뇨시키지 않도록 제작시에 그 구조 특히 길이에 유의한다. 영국에서는
Free stall을 Cubicle이라고 한다.
-
프리스톨우사(Free stall barn)
Free stall형 휴식장을 갖춘 방사식 우사. 방사식 우사의 소 생활의 거점은 휴식장이지만 구
획(區劃)이 없는 종래의 보통형 휴식장은 깔짚이 많이 필요하다. 부족하면 소가 더러워진다.
소끼리 경합경쟁이 심하는 등의 이유로부터 개개의 소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는 Free
stall이라는 구획을 갖춘 휴식장이 이용되게 되었다.
-
헤링본 착유실(herringbone milking parlor)
작유실내의 소의 배열이 작업용 피트에 대하여 30∼40도의 각도로 병행하는 형식의 Parlor.
고기(청어)의 뼈 혹은 삼목의 잎 모양의 줄무늬 모양과 닮은 형이 되기 때문에 이 명칭이
있다. Tandem형에 비하여 유바안격은 3분의 2, 착유능율은 약 3∼4할 정도 높아진다.
Walk-through의 경우는 소의 출입은 편측(片側)마다 일군으로서 취급하기 때문에 전체의
작업시긴에 큰 영향을 받는다.
헤링본형(herringbone type) 착유실은 착유우상을 청어뼈(herringbone)와 같이 비스듬하게
배치한 형태로 사열형이라고도 하면 구조에 따라 Herringbone, polygon herringbone, rotary
herringbone형으로 분류한다. Herringbone형은 착유우가 양쪽으로 비스듬하게 서있기 때문
에 착유자의 보행거리가 짧아 착유상 양쪽에 유두컵을 설치하여 한쪽에 8두씩 16두를 동시
에 착유할 수 있지만 슈트형 착유실과 마찬가지로 유우를 군별로 취급(all-in, all-out)하므
로 착유시간은 그 군에서 가장 늦게 착유되는 개체에 의해여 결정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측면출입식 착유실의 장점을 도입한 것이 Polygon herringbone형
인데 착유가 먼저 끝난 유우를 부분 교체할 수 있어 착유대기 시간을 줄일 수 있고 노동효
율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착유상을 원탁위에 사열형으로 설치하고 착유우가 서
잇는 둥근 철판이 자동적으로 돌아가게 하여 착유자는 고정된 위체에서 유두컵을 부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고안된 Rotary herringbone형이 있다.
-
헤이스택커(hay stacker)
건초집적기계. 집초열을 주워 올리고 세절하면서 상자안에 가득채우고 유압에 의해 상자안
의 건초를 압축한다. 압축을 반복하여 가득차면 상자의 후부를 열고 상면에 설치된 콘베어
(conveyor)로 밖으로 배출하면 각형의 Hay stack가 형성된다. Stack의 중량은 1∼8톤이 되
기 때문에 운반은 포장(圃場)내에 한정된다.
-
화제장(rendering plant)
수축(獸畜)의 고기, 장기, 가죽, 뼈등을 원료로서 사료, 비료, 피혁, 유지등을 조제하는 시설. 이 시설은 종래, "폐수처리장등에 관한 법률(쇼와23년)"에 기초를 두고 설계되었지만 헤이타이(平成)원연에 법률명이 "화제장등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었다. 이 시설의 설치에는 도도부현지사의 허가가 필요하다.
-
회전식 착유실(rotary milking parlor)
착유자의 작업동선을 단축하기 위해 소를 원주가 회전하는 대에 타게하여 그 중에 사람은 거의 이동하지 않고 착유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착유실. 5∼7분에 1회전하는 것이 많다. 소가 일렬로 늘어놓은 쪽에 의해 정치식(定置式)의 경우와 같이 abreast, tandem 혹은 herringbone이라고 하는 각 형태로 분류된다.
-
횡단 통로(cross alley)
계방식 우사의 사내통로 중급사 통로와 다용통로의 상호간을 연락하는 통로. 규모가 작은 단열 우사의 경우는 필요성이 적지만 복열우사에는 중앙의 급사 통로(대두식의 경우) 또는 다용통로(대고식의 경우)와 양측의 다용 또는 급사통로간의 이동을 위해 수∼십두정도두고 폭 1.2∼1.5m의 횡단통로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
픽업웨건(pickup wagon)
집초열을 주워 올리고 세단하여 자동적으로 짐받이에 쌓아 올리는 목초운반차. 그 구조는 목초를 주워 올리는 Pickup부, 짐받이에 쌓아 올리는 Pack부, 짐을 보내거나 내리거나 하는 slat conveyer를 가진 짐받이부로 된다. pack부에는 짐을 싣을 때에 목초를 절단하는 나이프(knife)가 있고 짐을 내린 후의 목초의 취급성을 좋게 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
Unloding box
Dump box라고도 불려지고, Dump truck(덤프트럭)등으로 운반해 가는 재료를 수화 저장하면서 Forage blower로 정량공급하는 장치. 구조는 Forage wagon과 동일하지만 트럭등이 후퇴로 박스내로 짐을 내릴수 있도록 바닥면이 경사져 있다. 이것에 의해 트럭의 짐을 내리는 시간이 단축되고 사일로(silo)을 채워 넣는 작업의 고능률화를 꾀할 수 있다.
-
고삐(halter)
소의 두부에 부착시켜 유도(誘導), 조교(調敎), 보호 및 안정을 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도구. 일반적으로 로프(rope)와 가죽으로 제작되고 있다. 옛부터 이용되고 있고 지역에 의해 부르는 이름과 형상(결박방법)이 여러 가지로 다르다.
-
배출기(방출기: ejector)
분사 펌프의 것으로 원심펌프의 토출구등에 설치하여 오수와 슬러지의에 이용된다. 흡인부,
분사기(diffuser)부터 이루어지고 노즐로부터 분사된 액체에 의해 흡인부로부터 공기(또는
액체)가 흡인되고 분사기로 혼합하여 내뿜는다.
-
보정기(Cow keeper, cattle squeezer)
착유시 및 인공수정등일 때에 후지(後肢)를 올리거나 차는 등의 움직임이 심한 소에 대하여 양협복을 강하게 꽉 조여 후지의 움직임을 규제하는 기구. Cow keeper라고도 말한다. 특히 움직임이 심한 경우에는 특히 고구선골의 후부로부터 유방전부에 걸쳐 로프(lope)로 강하게 꽉조으면 한층 효과가 있다.
-
살포 장치(Rain gun)
펌프로 압송된 액비를 포장에 살포하는 장치. 노즐과 그것을 지탱하는 스탠드로 구성되고 노즐은 자동적으로 선회하고 액비를 반경 15∼30m의 범위로 살포한다.
-
소훈련기(cow trainer)
소의 배분뇨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훈련기. 소는 분뇨를 배설할 때에 등을 들어 올리고 구부려 조금 앞으로 나가는 습성이 있고 배설된 분뇨가 우상에 떨어지기 쉽다. 그래서 등의 전 상방(前上方)위치에 순간전압 7,000∼8,000V, 전류 30mA정도의 전기를 단속적으로 통한 hanger상의 쇠선(철사선)의 cow trainer를 매달아 둔다. 그렇게 하면 배설시에 등을 높이 구부리면 그것에 접촉하여 충격을 받으므로 후퇴하여 직접분뇨구에 배설하도록 습관시킨다.
-
유니트형 포레이지 하베스터(unit type forage harvester)
차륜 부착의 본체에 세단 장치(cutter head)가 있고 세단(細斷)한 사료를 운반차로 불어 넣는 송풍장치(blower)를 가진다. 본체 전부에 부착·이탈 가능한 3가지 장치(unit)를 설치하여 작업한다. Mower bar unit는 목초를 예취하고 곧게 세단(細斷)할 때에 사용. Reciprocating mower의 예취부. 목초를 후방으로 보내는 콘베이어(conveyer)와 Auger로 구성되어 있다. Pickup unit는 집초열을 주워 올리고 세단(細斷)할 때에 사용. 집초열을 주워 올리는 Pickup장치가 붙어 있다. Low crop unit는 사료용 옥수수의 수확에 사용. 줄기의 절단부와 줄기와 잎을 cutter head로 공급하는 Gathering chain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이표(ear tagger)
소의 개체를 식별하기 위해서 귀에 붙이는 이표(耳標), 플라스틱제의 찰(札)로 소번호등을 각인 혹은 전용펜으로 기입하여 개체식별을 하거나 찰의 색을 바꿔 무리속에서 알게하거나 구분하는데 이용한다. 찰의 크기는 형상, 색, 붙이는 방법으로 많은 종류가 있다.
-
자동급사기(auger feeder)
사조에 auger 콘베이어를 설치하여 배사하는 자동급사 장치. 조사료의 사조균배용으로서 feed flow feeder, three way feeder가 있고 곡류용으로는 tube feeder가 있다.
-
콘플랜터(corn planter= 옥수수 파종기)
옥수수전용의 파종기계. 시비, 파종, 복토, 진압을 한 공정으로 행하는 기계이고 복수열 동시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 많다. 일정간격으로 수립씩 종(種)을 떨어뜨린다. 부품의 교환에 의해 두과의 파종도 가능하다.
-
2연 튜브(long pulse tube)
milk claw와 pulsator를 연결한 튜브로 Teatcup의 박동실에 대기와 진공을 서로 인도하는 역할을 한다. bucket milker의 경우는 milk claw와 Bucket의 덮개의 부분의 Pulsator를 Pipe line milker의 경우는 milk claw와 배관의 milk tap에 설치되어 있는 Pulsator를 연결하고 있다. 튜브 2개가 일체가 되어 있기 때문에 2연 튜브라고 불린다.
-
Disk mower
Rotary mower의 일종. 원형 또는 타원형의 회전 disk에 한대(一對)의 나이프(knife)가 설치되어 있고 나이프의 회전주속도를 매초 70m이상으로 하고 예취 작업을 한다. 풀이 휘감고 막힘이 없고 작업속도도 10∼12km/시로 빠르다. 그러나 나이프의 예리도가 저하하면 베는 높이가 가지런하지 않게 되고 소요동력도 증가한다.
-
Feed flow feeder
Auger feeder의 일종. Auger의 양측에 나무나 철제의 측판(側板)이 있어 Auger로 보내져
온 사료를 측판의 아래로부터 사조로 밀어내도록 배사한다. 사조에 나오는 배사량의 가감은
측판을 상하시켜 측판과 사조와의 간극(間隙)의 넓이에 의해 조정한다. Auger의 공급측에
가까운 사조위치로부터 순차적으로 밀어 내어 배사하고 사조 전체로 배사하고나서 채식시킨
다.
-
Heat mount detector
방목중의 자우가 발정하면 다른 자우에게 승가하거나 승가당하거나 하기 때문에 이것들의
행동을 체크하여 발정을 발견하기 위한 기구. 자우의 요부(腰部) 상부에 붙여서 방목해 두면
발정우는 다른 자우에게 승가당하여 기구중의 튜브가 파괴되고 색소가 튀어 나와 기구의 색
조가 변한다. 이 색조의 변화를 체크하는 것에 의해 그 자우의 발정을 알 수 있다.
-
High-density baler
건초 곤포기(梱包機)의 일종. 곤포밀도가 100kg/㎥이상의 bale(곤포)를 High-density baler라고 한다. 구조는 건초를 주워올리는 용도의 Pickup, 가로로 보내는 것, 곤포실, 결속장치등으로 된다.
-
Neck rail
Free stall의 간막이 모책 상부에 설치하여 소가 앞으로 나오지 않도록 소의 행동을 제어하기 위한 봉(棒). Free stall은 Stall내에 배분, 배뇨(排尿)하지 않게 하기위해서 소의 크기에 맞는 길이로 할 필요가 있지만 크기가 다른 개개의 소마다 Stall의 작성할 수 없기 때문에 다소의 부적합함을 이 Neck rail로 조절한다. Head bar라고도 한다.
-
neck tagger
소의 개체를 식별하기 위해서 목에 붙은 번호 명찰. 플라스틱제, 고무제등의 명찰에 각인 혹은 전용펜으로 번호등을 기입하고 로프와 쇄(鎖) 등으로 매단다. 색, 형, 크기가 다른 것이 각종 시판되고 있다.
-
?퍼(chopper)
건초, 짚류, 생초등의 조사료를 적당한 길이로 세절하는 기계. 고기를 써는 기계.
-
개방기(releaser)
Milk receiver내의 우유를 우유통과 Bulk cooler(Bulk milk tank) 등의 저장용기로 이송할 때에 우유를 진공계내에서 대기중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이외 세정시의 세정액의 순환기능을 한다. 보통은 Reseiver의 하부에 설치하든가 Reseiver와 일체로 되어 잇는 것이 많다. 최근은 Milk pump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
개방기(releaser)
Milk receiver내의 우유를 우유통과 Bulk cooler(Bulk milk tank) 등의 저장용기로 이송할 때에 우유를 진공계내에서 대기중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하는 장치. 이외 세정시의 세정액의 순환기능을 한다. 보통은 Reseiver의 하부에 설치하든가 Reseiver와 일체로 되어 잇는 것이 많다. 최근은 Milk pump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
거름살포기(manure spreader)
트럭으로 견인하는 퇴비, 쇠두엄 운반차량으로 살포작업을 할 수 있는 기계. 실린 퇴비는 slat conveyor에 의해 후방으로 보내게 되고 Beater라고 불리는 회전날개에 의해 폭넓게 살포된다. 또 질척질척한 진흙상태의 가축분뇨를 고속 회전하는 체인(chain)에 의해 밭에 살포하는 기계를 로터 살포기(rotor spreader) 또는 chainflail spreader라고 부른다.
-
거름운반기(manure carrier)
축사에서 분·깔짚등을 반출하는 장치를 말한다. 대강 0.6㎥정도의 버킷(bucket)을 monorail에 체인블록(chain block)으로 매단 것으로 사외의 레일의 부설방법에 의해 임의의 장소로 운반할 수 있다. 버킷(bucket)의 승강(昇降)과 주행(走行), 정지를 전기로 행하는 것도 있다.
-
거름적재기(manure loader)
퇴비의 뒤엎음과 싣고 운반에 이용되는 로더(loader). Loader attachment로서는 manure folk, manure bucket등 굵고 큰 유기물을 건져 올리기 쉬운 것에 사용된다.
-
건초곤포기(루즈 베일러: loose baler)
건초곤포기의 일종. 압축 곤포된 Bale의 밀도가 50∼100 kg/㎥로 낮고 통기성이 풍부한 Bale를 만든다. 이 기종은 유럽에서 보급되고 있지만 일본에서의 사용 예는 적다.
-
건초곤포기(루즈 베일러: loose baler)
건초곤포기의 일종. 압축 곤포된 Bale의 밀도가 50∼100 kg/㎥로 낮고 통기성이 풍부한 Bale를 만든다. 이 기종은 유럽에서 보급되고 있지만 일본에서의 사용 예는 적다.
-
건초기(Tedder)
풀을 베어 쓰러뜨린 목초의 반전(反轉)을 행하는 기계. 풀을 베어 쓰러뜨린 풀의 열의 반전외에 집초열의 반전과 확산(擴散)도 할 수 있다. 건조촉진과 균일한 건조로 불가결한 기계이다. 종축 회전형, 횡축 회전형이 있다. 반전(反轉)의 시간은 집초열의 상하층의 수분차가 10%전후에 달할 쯤을 가늠해 보고 맑은 날은 많이 흐린 날은 적게 뒤집으면 좋다.
-
건초반송기(hay carrier)
우사의 급사통로상 등의 높은 위치로 레일등을 설치하여 Bucket등을 현수하여 건초를 초가
(草架) 또는 사조로 반송하는 장치. 최근은 건초의 곤포형태도 다양화되고 특히 Roll baler가
급속히 보급되기 때문에 Roll bale건초와 Roll bale wrap 사일리지의 이용이 많아지고 그 운
반에는 트럭의 Front loader가 사용되게 되었기 때문에 Hay carrier의 사용은 그다지 볼 수
없게 되었다.
-
고덤프트레일러(high dump trailer)
Trailer의 짐받이가 유압(油壓)에 이해 올리고 높은 위치에서 측방 또는 후방으로 짐받이를 기울여 짐을 내릴 수 있다. 타의 운반차량으로의 옮겨 쌓는 것과 높은 퇴적을 만들 경우에 편리
-
공기유통관 송풍장치
Duct(관)에 공기를 송치하고 관의 소공(작은 구멍)으로부터 바람을 불게하고 이것을 가축체에 적용시킨 하계용의 간이한 방서장치. 유우사에서 이용할 때는 서열시에 우체의 위쪽 50cm정도의 곳에 설치한 비닐제의 원통형관으로 열린 구멍으로부터 송풍한다. 저비용인 방서대책장치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
그라인더(choper, meat grinder, mincer)
식육을 가늘게 자르는 기계이고 소세지 제조에 필요하다. 원통형의 본체, 그 중에 회전하는 나선상의 로터(rotor), 구멍이 있는 플레이트(plate) 및 육괴를 절단하는 십자형의 나이프로 이루어진다. 수동식과 동력식이 있지만 육제품 공장에서는 대량으로 저리하기 위해서 3매의 플레이트(plate)와 나이프(knife)를 서로 세트한 3단으로 자르는 것이 이용되고 있다.
-
급사관리기술(feeding management)
Free stall에서의 급사나 계류방식에서의 급사나 조사료와 농후사료는 혼합급여나 분리급여나, 사료의 급여순서와 회수는? 사조의 형상·위치는? 사조안에서의 사일리지의 2차발효는? 등 사료급여전반에 관한 기술이 포함된다.
-
급사목책(feeding fence)
건초, 사일레지등의 사료의 주위 및 사조의 가장자리등에 설치한 목책. 사료의 먹이를 엎지르거나 채식시의 경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운동스탄?(stanchion)도 급사목책의 일종이다. 건초와 방커사일로등의 저장시설로부터 자유채식시키는 경우에는 이동가능한 급사목책을 이용하고 목책 앞의 사료가 없어지면 목책을 전방에 순차이동하여 채식시키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
급사차(feeding cart)
급사통로를 주행하면서 배합사료와 조사료를 사조에 배사하는 자동식 차량. 동력으로서는
일반적으로 소형의 것은 배터리, 대형의 것은 엔진을 사용하는 것이 많고 보행형과 승용형
이 있다. 급사하는 사료의 종류와 형상, 급사용량에 의해 각종의 기구를 갖추고 Auger의 회
전시간등으로 급여량을 조정할 수 있는 자동식 급사차가 시판되고 있다.
-
급속동결(quick freezing)
최대빙결정생성대(-1∼-5℃)를 급속히 통과하는 동결방법. 실제로는 액체질소와 드라이 아이스의 사용 혹은 -30℃이하에서 동결한다. 식품의 수분을 동결하여 식품성분의 변화를 억제하고 보존성을 높이기 위해서 동결하지만 빙결정이 켜지면 세포가 파괴되고 식품의 품질
열화(劣化)가 문제가 된다.
-
급속동결건조(accelerated freeze-drying)
식품을 동결하고 저온하와 진공중에 얼음을 승화(昇華)하여 건조하는 방법을 동결건조라고 하지만 승화(昇華)의 잠열(潛熱)을 공급하지 않으면 건조에 장시간 걸리고 고비용이 된다. 본 방법은 이 점을 개량한 것으로 동결물을 2매의 가열판에 밀착시켜 가온하고 건조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영국에서 개발되었다.
-
기계착유(machine milking)
유방에서부터 유즙을 기계(milker)를 이용해서 착유하는 것. 수착유에 비해 그다지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노력과 시간의 절약을 할 수 있다. 보통은 작업자가 milker의 장착과 이탈을 행하지만 최근은 자동이탈장치의 이용도 많아지고 있다. 또 milker의 장치와 이탈의 양방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착유로보트의 개발이 되고 실용화가 바로 가까워져 왔다.
-
농업용 운반차(farm wagon)
농업용운반차. 부속장치를 교환하는 것에 의해 용도의 확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퇴비살포장치, 석회살포장치, 급사장치, 덤프장치등.
-
뇨 산포기(尿散布機: urine spreader)
가축의 요분을 주로 액상물을 산포(散布)하는 기계의 총칭. Rain gun, Furrow gun, 요 산포차, Slurry lorry등.
-
더블나이프모워(Double knife mower)
reciprocating mower의 일종. 상하 한쌍의 반사 방향으로 움직이는 knife bar로 되기 때문에 왕복 행정도 보통 mower의 절반이 되고 진동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고 고속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knife bar를 보호하는 guard가 없기 때문에 포장은 평탄하고 협잡물(挾雜物)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
델타형 반스크레퍼(delta type barn scraper, mechanical scraper)
Barn scraper의 퍼내는 판이 중앙에 2개로 접히도록 된 구조의 Scraper. 2연으로 왕복 운동을 하고 반송시는 블레이드(blade)가 직선상으로 되어 있어 오물을 한 방향으로 보내지만 되돌아 올 때는 블레이드가 중앙으로 접히게 되므로 오물은 그 위치에 남아 있는다. 왕복 운동의 반복에 의해 오물은 사외로 반송된다.
-
델타형 반스크레퍼(delta type barn scraper, mechanical scraper)
Barn scraper의 퍼내는 판이 중앙에 2개로 접히도록 된 구조의 Scraper. 2연으로 왕복 운동을 하고 반송시는 블레이드(blade)가 직선상으로 되어 있어 오물을 한 방향으로 보내지만 되돌아 올 때는 블레이드가 중앙으로 접히게 되므로 오물은 그 위치에 남아 있는다. 왕복 운동의 반복에 의해 오물은 사외로 반송된다.
-
도어피더(Door feeder)
특정의 개체가 올 때만 목책이 열려 채식할 수 있도록 한 개체별 급사장치. 소에게 개체식별 장치를 붙이고 급사목책에 개체식별 자동개폐문을 설치하여 각 문에 해당하는 식별코드를 붙인 소가 접근할 때에 문이 열리고 소가 채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도유관(teat canula)
유두관에 삽입하여 유즙을 배출시키기 위해서 특별하게 만들어진 금속제와 합성수지제, 고무제의 관. 선단은 둥근 형상으로 삽입시에 유두관의 점막을 상하지 않도록 고안되어 있다. 유두의 상처(부상)와 동상 등으로 착유가 곤란한 경우에 이용한다.
-
드럼모워(드럼제초기: drum mower)
Rotary mower의 일종. 하나에서 수개의 종형 Drum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Drum의 저부에 1∼2대의 Knife가 설치되어 있고 Knife의 회전주속도을 매초 70m이상이상으로 예취 작업을 한다. Disk mower보다 소음이 적고 예취한 풀을 후방으로 두고 간다.
-
라운더 피더(rounder feeder)
사일로 주위에 Endless형의 Chain conveer가 붙은 사조를 설치하고 사일레지(Silage)를 빼내는 구로부터 직접사조에 사일레지를 받고 Conveer로 배사하는 급사기계.
-
로드셀(load cell)
중량과 힘을 전기적인 출력(전압)으로 변환하기 위한 센서. 소형에서 대형까지 각종의 용량이 있고 고정 밀도의 측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 유량 측정, 체중 측정, 사료의 계량 등의 기기로 편입되고 컴퓨터와 조합시켜 처리하고 우군의 개체 관리등에 이용되는 것이 많아 지고 있다.
-
로라인 착유기(low-line milking machine)
Pipe-line milking machine으로 진공 파이프와 밀크 파이프를 낮은 위치에 배관한 착유기. 이와 같이 한 것으로 사내의 배관이 지면에 우뚝 나와 있는 것을 없게 하고 밀크 파이프내의 진공 변동을 억제하도록 배려한 것. 설정 진공도로 High-line milking machine의 그것보다도 낮게 할 수 있다.
-
로터리 레이크(rotary rake)
종축 회전형 레이크. 1축식 레이크라고도 한다. 축의 회전에 의해 갈퀴의 각도가 변화하고 집초판을 설치하여 좌후쪽에 집초열을 만든다. Side rake(Side-delivery rake)와 같이 건초를 새끼모양으로 꼬지 않는 장점이 있다.
-
로터리 모워(rotary mower)
회전식 모워. 받침 칼날이 없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나이프로 예취하기 때문에 구조는 간편하고 그 진동이 적다. 고속 작업이 가능하고 작업능률도 높다. 그러나 목초의 벤자리가 불량하기 쉽고 특히 새로운 파초지에서는 주의를 요한다.
-
롤밀(roll mill)
사료분쇄기의 일종. 옥수수, 맥류, 대두등의 사료 곡물의 분쇄에 이용한다. 특히 옥수수 등의 곡류를 맷돌로 곡식을 타는 것과 같이 거치게 부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사용한다. 회전하는 roll사이로 둘려 부서지지만 이 정도는 roll의 간격으로 조정한다.
-
롤베일 랩퍼(roll-bale wrapper)
roll-bale에 stretch film를 둘러감은 기계. 정치식과 이동식이 있다. 구조는 roll-bale를 싣고 매분 약 20회전하는 받침대와 stretch film(폭 50cm)를 둘러 감은 장치로 된다. film을 사중으로 싸면 완전한 밀봉이 가능하고 수분이 있어도 고품질의 사일리지를 조제할 수 있다.
-
롤베일 핸들러(roll-bale hander)
Wrap된 Roll-bale의 집적기. 트럭의 front loader의 앞을 개조하고 roll-bale를 잡고 올렸다 내렸다 하는 기계를 Roll-bale creeper, 더욱더 방향 변환도 할 수 있는 기계를 Roll-bale crab라고 하여 구별하고 있다.
-
롤베일러(roll baler)
집초열을 주워 올리고 말려들게 하면서 원통형의 대형 Bale을 만드는 기계. 직경 1∼1.8m, 길이 1.2∼1.7m와 Baler에 의해 차이가 있지만 1개의 중량으니 최저라도 200kg, 최대로는 800kg에 달하는 것도 있다. 체인(chain) 또는 벨트(belt)로 Bale의 한가운데를 형성하고 나서 마는 가변경식과 일정한 크기의 곤포(bale)를 만드는 벨트분할 방식 회전 룰러식이 있다. 작업 능률이 높고 Twain의 사용량이 적은 등의 특징이 있다.
-
리터케리어(litter carrier)
우사(牛舍)로부터 쓰레기(오물)등을 반출하는 운반기. Manure carrier이라고도 한다. 우사의 대들보등의 하부에 레일(rail)을 설치하고 이것을 우사밖의 퇴비반까지 연장하고 이 레일로 carrier이라 부르는 현수식의 상자를 매달고 보통 이것을 손으로 당겨 이동시킨다. 이 carrier 의 안에 우사내의 분뇨·깔짚등을 퍼서 반출한다. 반클리너(barn cleaner)의 보급에 의해 최근은 대부분 볼 수 없게 되었다.
-
리터케리어(litter carrier)
우사(牛舍)로부터 쓰레기(오물)등을 반출하는 운반기. Manure carrier이라고도 한다. 우사의 대들보등의 하부에 레일(rail)을 설치하고 이것을 우사밖의 퇴비반까지 연장하고 이 레일로 carrier이라 부르는 현수식의 상자를 매달고 보통 이것을 손으로 당겨 이동시킨다. 이 carrier 의 안에 우사내의 분뇨·깔짚등을 퍼서 반출한다. 반클리너(barn cleaner)의 보급에 의해 최근은 대부분 볼 수 없게 되었다.
-
마전봉(馬栓棒)식 스톨(stall)
소를 로프(rope)등으로 지주(支柱)에 매고 스톨(stall)의 앞 가장자리에 높이 100∼110cm의 가로 봉(棒)을 설치하고 소가 이것보다 앞으로 나가지 않도록 한 스톨. Tie-stall(타이스톨)의 변형인데 종일 소를 매어 사육하는 일본의 독특한 스톨. 소의 행동은 매우 자유롭지만 소를 매고 푸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또 소가 불결하기 쉽다.
-
머조니어 시험기(mojonnier teste)
우유, 유제품의 지방율 및 전고형분율의 검사장치. 지방율은 Rose-Gottlieb법, 전고형분율은 가열수분 건조법의 각각 변법을 채용하고 원심기, 건조·냉각기, 열판, 천평 등의 필요한 기기 일식을 간결하게 합친 장치. 요사이 광학적인 분석기기가 개발된 것으로 그다지 사용되고 있지 않다.
-
모워컨디션너(mower conditioner)
Mower와 Hay conditioner을 일체화한 기계. 자주식과 견인식이 있다. 예취와 동시에 압쇄(壓碎) 처리하기 때문에 건조 촉진 효과가 높다. Mower와 Hay conditioner의 분리작업보다 건초조제 기간이 반나절에서 1일 단축할 수 있다. 롤(roll)의 폭이 베는 폭에 가까운 것을 wind roller라고 하여 구별하고 있다.
-
목초 운반차(Forage wagon)
세절목초의 축척, 운반, 짐내리는 전용의 운반차. 2축(軸) 4륜식으로 마루에는 floor conveyer가 또는 전부(前部)에는 Cross conveyer가 설치되어 있다. Forage harvester로 수확한 사일리지 재료를 사일로까지 운반하고 Blower의 Hopper로 정량공급한다. 짐받이 용적(容積)은 8∼12㎥로 비산(飛散) 방지용으로 지붕을 설치하고 있다.
-
무상산수장치(안개모양으로 물뿌리는 장치: mist and fan apparatus)
물이 증발할 때에 기화열을 주위로부터 빼앗는 것을 이용한 축사의 냉각장치. 물이 바로 기화하도록 대단히 가는 안개상태의 수적(水滴)으로 하여 노즐(nozzle)로부터 분출하고 송풍기에서 축사내로 송치(送致)한다. 더욱 이것을 직접 우체(牛體)에 맞게 기화시킨쪽이 효과가 크다.
-
밀크 클로우(Milk claw)
4개의 Teatcup로부터 착유된 우유를 모아서 Milk tube를 통해서 통 혹은 Milk line으로 우유를 보내는 중계기지(中繼基地)의 역할을 하는 부분의 명칭. 또 2연 튜브(tube)를 통해서 Pulsator의 박동을 4개의 Teatcup에 분배하여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Claw에는 밸브와 콕크가 있고 이 전환에 의해 착유시 이외는 진공이 Teatcup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
밀크라인(milk line)
Pipe-line milking machine를 구성하는 일부로 우유를 보내는 배관계를 말한다. 스테인리스(stainless)와 경질 유리관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두수 규모가 커지면 배관계가 길어져 압력손실이 커지기 때문에 내경(內徑)이 큰 것이 사용되게 되었다. 우유처리실로 향해오는 것에 경사를 둘 필요가 있다.
-
밀크리시버(milk receiver)
우유배관을 통해서 보내져 온 우유를 일시적으로 머물게 하기 위한 용기로 Releaser와 Releaser milk pump와 같이 된 투명한 유리용기. 여기에서 우유와 공기의 분리가 행해진다. 보통은 Releaser와 일체로 되어 기능하기 때문에 종종 Releaser와 혼동하여 불리는 일이 있지만 본래는 다른 것이다.
-
밀크탭(milk tap)
Bucket milking machine에는 air line과 milk line이 평행하여 배치되어 있는데 착유시에는 Teatcup unit와 이 2개의 배관을 연결할 필요가 있고 그 연결한 콕(cock)의 부분을 이와 같이 부르고 있다. 이 2개를 따로 연결한 형식과 동시에 연결한 것이 있다. Bucket milking machine의 경우 진공배관과 연결한 것을 Stall cock이라고 한다.
-
밀크튜브(milk tube)
Milk claw에 모여진 우유를 Bucket 혹은 Milk line으로 보내기 위한 튜브. 동시에 Bucket 및 Milk line으로부터 착유에 필요한 진공을 Milk claw로 전달하는 작용도 하고 있다. 종래는 고무제의 것이 많았지만 최근은 투명한 플라스틱제의 튜브(tube)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밀크파이프(milk pipe)
Pipe-line milking machine을 구성하는 부품으로 우유를 보내기 위한 파이프. 예전에는 수지제의 파이프가 많았지만 최근은 경질 유리파이프 또는 스테인리스파이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 착유중 압력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최근에는 구경(口徑)이 큰 파이프가 사용된다.
-
밀크펌프(milk pump)
Pipe-line milking machine의 Releaser에 모인 우유를 Bulk cooler등의 저유 시설로 보내기 위한 펌프. 보통 Releaser중에 우유의 양을 검지(檢知)하는 전극이 들어 있고 우유가 전극 위치에 달하면 펌프가 작동하고 우유를 Bulk cooler등으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
바텀언로더(bottom unloader)
주로 기밀사일로에서 사용되고 있는 사일리지를 퍼내는 기계. 사일로의 저면에 설치한다. Arm에 설치한 체인(chain)과 사일리지를 퍼내는데 사용하는 기계 끝에 달린 발톱모양의 부분으로 사일리지를 퍼내면서 사일로 밖으로 반출한다. 퍼내는 기구(機構)에 의해 Sweep arm식, Cross cut식, Flail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
박동실(pulsation chamber)
Teatcup shell과 Teatcup liner의 사이의 원통상의 공극(空隙)으로 착유중은 pulsator의 작용에 의해 여기에 대기압과 진공압이 서로 인도되어 Teatcup liner가 넓어지거나 눌러 찌부러뜨리거나 하여 착유가 행해진다.
-
박동장치: 펄세이터(pulsator)
박동실내를 진공압과 대기압으로 일정한 주기로 바꾸는 일종의 밸브로 Milking parlor의 중요한 기능의 하나를 다하고 있다. 밸브의 변환은 좌우 또는 전후의 2개씩 박동실을 서로 행하는 것이 많다. Pulsator의 작동은 기압식이 많지만 액체식(기압식의 일종)과 전자식도 채용되고 있다.
-
박동튜브(short pulse tube)
milk claw와 Teatcup shell의 사이를 연결하는 약 20cm정도의 가는 고무관으로 2연튜브로 milk claw로 보내져 온 박동을 박동실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있고 4개가 필요하다.
-
반스크레퍼(barn scraper)
광의로는 축사내의 깔짚과 분뇨 및 이것들의 혼합물의 쓰레기, 오물, 퇴비등을 사외로 반출하는 기계의 총칭. 협의의 Barn scraper는 퍼내는 판 1개의 폭이 1∼4m로 이것이 2연으로 된 기계를 말한다. 이것은 스테인레스 와이어 또는 체인으로 직선형 판상의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구(溝)내를 천천히 왕복하여 분뇨를 일정한 방향으로 반송한다.
-
반클리너(barn cleaner)
축사내의 깔짚과 분뇨 및 이것들의 혼합물의 [쓰레기, 오물, 퇴비]을 사외로 반출하는 기계. 주로 계류식 우사에 있어서 이용된다. 이것에는 체인식 반클리너와 Shuttle stroke type barn cleaner가 있다. 분뇨구의 소제기(掃除機)로서 Gutter cleaner이라고 말하는 것도 있다.
-
배기량(vacuum pump capacity)
진공펌프의 공기의 배기능력(공기를 빨아내는 능력)을 말하고 보통 Nℓ/분(Nℓ는 표준대기압에 있어서 공기용량ℓ로 노르말 리터라고 부른다)으로 표현한다. milker의 진공펌프의 필요배기량은 착유중의 milker 각 부분으로부터 흡입되는 공기량을 여유를 가지고 배기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
배사차(feed car)
급사통로를 주행하면서 배합사료, 조사료(사일리지), 혼합사료 및 세절된 건초등을 배합하는 차량. 손으로 당기는 식의 것과 엔진과 바테리를 동력으로 한 자동식 배사차(feeding car)가 있고 또 트럭 견인식의 배사차도 있다.
-
배수밸브(Drain valve)
진공 파이프내에 잘못하여 흡수된 물과 우유를 배출하기 위한 밸브로 진공파이프의 배관중 제일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밸브는 배관내가 진공이 되면 자연히 닫히고 진공이 걸려 있지 않을 때에는 열린 상태가 되어 안에 고인 물 등이 배출된다.
-
백 사일로(bag silo)
주머니를 사용한 사일로. 비닐과 폴리에틸린제의 주머니에 사일리지원료를 주입하는 것. 간편하고 안가(安價)인 사일로로 운반도 용이하지만 주머니가 파괴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직포에 비닐을 증착(蒸着)하거나 포대 중에 비닐주머니를 넣어서 2중으로 하는 등의 대책이 취해지고 있다. 또 개봉후의 재밀봉이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고안이 되어 있다.
-
백레이크(back rake)
포크형의 집초용기계. 포크의 길이는 1.4m, 그것에 붙은 간격은 20∼25cm이다. 포크는 트럭에 설치되어 집초작업을 행한다.
-
버킷형 착유기(Bucket type milking machine)
짠 우유를 일단 용기(bucket)에 저장하는 방식의 착유기. 착유두수가 20∼30두 전후까지의 우사에 적당하다. floor 형과 Suspending 형이 있고 각각 일장일단(一長一短)이 있다.
-
버터교반기(butter churn)
크림을 기계적으로 심하게 교반하여 버터입을 생성시키는 조작을 Churning라고 하며 Churning를 행하는 기계를 Butter churn이라고 한다. 현재 버터는 연속식 버터제조기로 생산되는 것이 많고 butter churn으로의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다.
-
버터파우더(butter power)
유지방함량이 현저하게 높은 분말크림상 제품을 말한다. 유지방에 카제인 나트륨과 각종 고결방지제(인산칼슘, 규산알루미늄등)를 배합하고 분말상으로 한 것. 제과용등에 이용되지만 산화되기 쉽기 때문에 보존에 주위할 필요가 있다. 일본에서는 대부분 생산되고 있지 않다.
-
버터포장기(butter printer)
버터성형기의 것. 제조기로부터 보내져 온 버터는 통상 전자동식 버터프린터로 각종 크기로 충진 포장된다.
-
벙크급사기(bunk feeder)
조사료, 특히 사일리지를 자동적으로 운송하여 진 사조에 배사하는 장치. 일반적으로는 사일로 언로더(silo unloader)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conveyer feeder, auger feeder등 많은 형식이 있다. 사조상부에 Belt conveyer를 현가(懸枷)한 conveyer feeder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
베일 어큐물레이터: 곤포축적기(bale accumulater)
Automatic bale wagon이라고도 불리는 Bale 집적운반기계. 포장(圃場)에 산재(散在)되어 있
는 Bale을 주워 올리고 전용의 Bale fork에 의해 8개씩 단을 쌓아올려 Bale stack를 만든다.
가득 차게되면 집적장으로 이동하고 자동적으로 짐을 내리게 된다. 생력화가 필요한 큰 목
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
베일로더: 곤포적재기(bale loader)
포장(圃場)에 산재된 Bale를 주워 올리고 운반차에 쳐넣는 기계. 일반적으로 콘베어
(conveyor)식이 많다. Bale loader를 운반차(트럭과 트레일러)의 가로에 설치하여 지상에 산
재되어 있는 Bale를 주워 모아서 간다. 차상(車上)에서는 작업자가 이것을 수취(受取)하고
쌓아 올려 간다. 가득 차게 되면 Loader를 떼고 다른 운반차에 설치하여 작업을 계속한다.
-
베일슬레지: 곤포썰매(bale sledge)
Bale의 운반·집적에 이용하는 일종의 썰매(sledge). Baler의 후방에 견인하여 Bale를 직접
썰매의 위에 받고 사람의 손으로 쌓는다. 가득 차면 따로 떼고 다른 썰매로 바꾸어 집적(集
積)한다. 작업종료후 가득 찬 썰매를 견인하여 수납장소로 운반한다.
-
베일쓰로워: 곤포 투입기(bale thrower)
High-density baler의 Bale출구에 설치하고 Bale를 후방의 운반차(bale wagon)내에 자동적
으로 쳐넣는 장치. 이것을 집어넣으면 운반차로 쳐넣는 일손을 줄일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짐이 무너지지 않도록 단단히 곤포할 필요가 있다.
-
베일웨건: 곤포운반차(bale wagon)
Baler의 후부에 견인하는 가마 모양의 운반차. Bale chute로부터 밀려 나온 Bale를 직접 받
는 Bale전용운반차.
-
보온급수조(nonfreezing waterer)
급수관 및 급수조가 동결하지 않도록 동결방지대책을 세운 급수조. 수조의 저부에 전열 히터매트(heater mat)를 설치하거나 수조와 급수관, float 밸브의 주위에 전열테이프, 단열재등을 감고 동결을 방지한 것이 많다.
-
분뇨구(gutter)
분뇨를 일시 저류하고 사외로 배출하기 쉽게 하기 위한 구(溝). 분뇨의 배출방법과 우사 구조에 의해 여러 가지의 형상의 구가 있다. 계류식 우사에서 수작업 반출의 경우는 분리형 또는 비분리형 분뇨구가, 기계사용의 경우는 반클리너용의 분뇨구가 이용되고 이외에 자연 유하식과 수세식의 분뇨구도 있다. 방사식 우사의 경우는 Free stall의 후방의 통로가 분뇨구를 겸하는 것이 많다.
-
분류식유량계(milk meter)
Pipe-line milking machine의 착유에 유량을 계측하는 기구. 우유가 흐르는 통로의 일부를
가늘게 좁혀 우유가 거기를 빠져나갈 때에 좁음의 전후에서 생기는 흐름의 압력차를 이용하
는 등으로 흐르는 우유의 량에 비례하여 그 일부를 분류시켜 저류하고 그것을 측정하는 것
에 의해 전체의 유량을 안다.
-
분배기(distributer)
지상원형 사일로에 사일리지 원료초를 가득 채울 때에 퇴적이 고르게 채워 넣게 하기 위한 분배장치. 위쪽으로 뿜어 올리는 파이프선단의 각도를 조정하는 간단한 것으로 위쪽으로 뿜어 올리는 파이프자체를 선회(旋回)(90도)시키는 방식. 파이프 토출구 직하(사일로내)에 원형판(바람이 불기 시작되는 재료의 중력과 풍압 또는 모터 구동(驅動))을 설치하고 이것을 회전시키는 방식등이 있다.
-
분쇄기(feed grinder)
곡류전용의 소형 분쇄기. 철제의 Grinding plate가 회전 Plate에 Spring으로 꽉 눌러 양
Plate의 사이에 곡실을 압송하고 분쇄한다. 양계에서는 패각(貝殼)과 난각(卵殼)의 분쇄에도
이용한다.
-
브릭스당도(brix degree)
브릭스(Brix)란 녹은 설탕의 비중을 측정하는 농도계. 포도의 당분을 측정하는데 쓰이고 독
일의 발명가 A. F. W. 브릭스의 이름에서 유래된 명칭. 휴대용의 브릭스당도계에 의해 측정
한 당농도. 사일리지 제조에 있어서 그 품질을 좌우하는 유산발효는 재료중의 당함량에 의
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당농도의 측정은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수분함량이 높은 경우 원물
재료중에 2%이상의 당이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
비유기(lactation period)
분만(비유개시)후 건유(비유정지)까지의 기간(비유기간)내에 있어서의 시기. 비유초기, 비유
중기 및 비유말기로 나누어 진다.
-
살포 장치(Rain gun)
펌프로 압송된 액비를 포장에 살포하는 장치. 노즐과 그것을 지탱하는 스탠드로 구성되고 노즐은 자동적으로 선회하고 액비를 반경 15∼30m의 범위로 살포한다.
-
석회살포기(lime sower)
석회산포기, 트랙터 부착장치와 견익식이 있다. 석회를 조파하는 방식과 흩어뿌리는 방식이 있고 흩어뿌리는 기계를 Broadcuster라고 부른다.
-
석회살포기(lime sower)
석회산포기, 트랙터 부착장치와 견익식이 있다. 석회를 조파하는 방식과 흩어뿌리는 방식이 있고 흩어뿌리는 기계를 Broadcuster라고 부른다.
-
세절기: 촙퍼(forage chopper)
청예사료의 예취·세절을 행하는 기계. 횡축 회전식의 flail mower로 예취하면서 위로 뿜는다. 이것을 1단 절단형이라고하지만 세절길이가 불균일되기 쉽다. 세절 길이를 균일하게 하는 Recutter장치가 붙은 2단 절단형도 있다.
-
소의 보정기(treatment stall, cattle squeezer)
유우의 치료와 삭제(削蹄), 인공수정등을 할 때에 우체를 보정하는 틀. 일반적으로는 통나무 또는 철파이프제로 고정한 틀으로서 설치되어 있지만 가동식의 것도 시판되고 있다. 틀에 우체를 보정하기 위한 용구로서는 로프가 사용된다.
-
송풍기(Forage blower)
사일리지 원료를 타워사일로에 주입하는 기계. 그 구조는 원료공급과 뿜어 올리는 부분으로 되어 있다. 공급부로는 테이블형과 Hopper형이 있다. 테이블은 벨트콘베어나 체인 콘베아로 재료를 뿜어 올리는 부분으로 보낸다. 뿜어 올리는 부분은 Flywheel의 외주(外周)에 4∼6개의 날개를 설치하고 그 회전에 의해 재료를 파이프안으로 차올리고 바람에 실어 높은 곳으로 뿜어 올린다. 파이프의 선단의 곡관(曲管)에 의해 사일로안으로 떨어진다.
-
수확기(Forage harvester)
청예사료(dent corn)과 사일리지용의 재료를 예취하고 또는 주워 올려 세절하고 운반차로 불어 넣는 기계. 그 예취부의 형식에 의해 Unit형과 Flail형으로 나누어진다. 일본에서는 전자를 Forage harvester, 후자를 Forage chopper라고 불러 구별하고 있다.
-
연동 스탄?
일개소에서 복수개의 개폐조작을 할 수 있는 스탄?(stanchion). 스탄?의 상부에 개폐 장치를 두고 이것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1개소에서 수∼십수개의 스탄?의 조작할 수 있다. 소의 출입회수가 많을 경우는 생력적이어서 좋지만 소의 속박이 가장 심하기 때문에 장시간 계류하는 쪽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사품으로 소가 들어 올 때만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해방은 1개소에서 조작하는 자동 잠금 스탄?이 있다. 모두 방사식의 경우의 급사시에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우수하다.
-
연동 스탄?
일개소에서 복수개의 개폐조작을 할 수 있는 스탄?(stanchion). 스탄?의 상부에 개폐 장치를 두고 이것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1개소에서 수∼십수개의 스탄?의 조작할 수 있다. 소의 출입회수가 많을 경우는 생력적이어서 좋지만 소의 속박이 가장 심하기 때문에 장시간 계류하는 쪽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사품으로 소가 들어 올 때만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해방은 1개소에서 조작하는 자동 잠금 스탄?이 있다. 모두 방사식의 경우의 급사시에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우수하다.
-
연동 스탄촌
일개소에서 복수개의 개폐조작을 할 수 있는 스탄?(stanchion). 스탄?의 상부에 개폐 장치를 두고 이것을 원격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1개소에서 수∼십수개의 스탄?의 조작할 수 있다. 소의 출입회수가 많을 경우는 생력적이어서 좋지만 소의 속박이 가장 심하기 때문에 장시간 계류하는 쪽에는 적합하지 않다. 유사품으로 소가 들어 올 때만 자동적으로 폐쇄하고 해방은 1개소에서 조작하는 자동 잠금 스탄?이 있다. 모두 방사식의 경우의 급사시에 사용하는 장치로서는 우수하다.
-
예취기(모워: mower)
목초를 예취하는 기계. 예취하는 기구의 차이에 의해 왕복형 모워(Reciprocating mower)와 회전형 모워(Rotary mower)로 구별된다. 왕복형 모워에는 Pitman mower와 Pitmanless mower가 있다. 회전형 모워에는 Disk mower, drum mower, flail mower가 있다. Mower를 트럭에 설치하는 위치에 의해 전부(前部), 복부(腹部), 후부(後部) 장치식으로 나눌 수 있다. 작업속도에 의해 보통 Mower와 High-speed mower로 나눌 수 있다.
-
왕복형 모워(reciprocating mower)
왕복형 제초기. 받침 칼날을 고정하고 나이프가 왕복하는 방식과 상하의 나이프(double knife)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하는 방식이 있다. 흔히 바리캉형 제초기라고 불려지고 있다. 예취한 후의 절단면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Mower의 각종 조정이 불량할 경우는 가드의 사이에 풀이 가득 차는 것이 생기기 쉽다.
-
왕복형 모워(reciprocating mower)
왕복형 제초기. 받침 칼날을 고정하고 나이프가 왕복하는 방식과 상하의 나이프(double knife)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왕복하는 방식이 있다. 흔히 바리캉형 제초기라고 불려지고 있다. 예취한 후의 절단면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Mower의 각종 조정이 불량할 경우는 가드의 사이에 풀이 가득 차는 것이 생기기 쉽다.
-
우 형기(牛衡器: weighing scales)
소의 체중을 측정하는 저울. 낙농에서 사용하는 우형기는 고정식과 이동식의 대칭형식이 많다. 최근은 load cell을 사용하고 디지탈로 표시하는 우형기가 시판되고 착유실(milking parlor)의 출구등의 상면(床面)에 설치하고 자동계량과 기록·인자(印字)하는 것이 있다.
-
우상(stall, bed, platform)
stall자체를 말하는 경우와 stall의 상의 부분을 말하는 경우가 있다. → Stall.
-
우상매트(rubber cow mat)
우상의 위에 까는 고무제의 매트. 계류식우사의 우상은 소를 긴 시간 묶어놓고 휴식하는 장소이고 거주성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매트의 재질은 고무이외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있지만 단열성이 풍부하고 적도(適度)의 유연함과 탄력성을 가지고 게다가 미끄러지기 어렵고 내구성이 있는 것이 요구된다.
-
우유관(milk churn)
우유와 저유(貯留)하고 냉각, 냉장, 운반할 때에 이용하는 스테인레스(stainless)의 통을 말한다. JIS규격에 의해 A형과 B형으로 구분되고 각각 치수, 중량등이 규정되고 있다.
-
우유교반기(milk agitator)
우유를 냉각하는 경우에 냉각효율을 높이고 또 유온을 균일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교반하는 장치. 예전부터는 수류에 의해 교반날개를 회전시켜 우유구중의 우유의 교반과 냉각을 행하는 수류식교반냉각기등이 이용되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bulk cooler에 의한 냉각이 대부분이고 이것들은 이용되지 않게 되었다. Bulk cooler에는 우유의 온도변화에 응하여 자동적으로 운전되는 모터(moter)식의 교반기가 갖쳐져 있다.
-
우유냉각기(milk cooler)
우유의 변질을 막기위해 착유후의 우유를 냉각하고 출하까지 저온으로 일시적으로 보지(保持)하기 위한 기기. 최든은 대부분이 Bulk cooler에 의해 냉각되고 있지만 그것까지는 냉각기에 의해 만들어진 냉수에 우유관을 침지하여 차갑게 하는 방식의 Unit형 Coole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다른 것은 냉각기에 넣기 전에 예냉하는 기기로서는 Plate cooler가 사용된다.
-
우유비중계(lactometer)
유조계라도고 한다. 우유비중계는 1.015∼1.045의 범위를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이 15∼45일 때 나머지이다. 비중계를 우유에 띄우게 하여 눈금을 읽고 유온을 동시에 측정하고 비중온도보정표에 의해 15℃의 비중으로 환산하여 나타낸다.
-
우유운반차(milking cart)
착유할 때에 사용하는 용기류를 운반하는 차. Milker unit, 유두를 깨끗이 닦는 포, 살균액통과 종이 수건(paper towel)류, 사용기구를 깨끗이 닦는 포가 들어있는 용기, 유두소독제등 착유관련기구와 용기를 소의 근처까지 일괄하여 운반하기 위한 운반차로 우사내 착유시에 있어서 능률의 향상과 위생적 착유를 위해서 사용한다.
-
원추화서 형성기(panicle formation stage)
화본과 작물과 목초에 있어서 장래의 이삭의 원기(原基)가 생장점으로 형성되는 시기. 다년생 화본과 목초로는 전년에 형성되는 것과 당년에 형성되는 초종이 있다. 옥수수와 같이 잎이 나는 매수가 거의 정해져 있는 것에서는 그 매수의 절반의 잎이 날 때에 유수(어린 이삭)의 형성이 시작된다.
-
유니트형 쿨러(chilled-water cooler)
냉각수가 담긴 수조에 우유통을 그대로 담구어 안의 우유를 냉각·보존하는 방식의 cooler. 수조의 물을 한쪽에서 빨아 올리고 기계내부에서 냉각하고 다른 쪽에서 되돌리는 방식이 많다. 별명이 Immersion cooler라고도 불린다. 냉각기는 자동온도 조절기(thermostat)가 붙어 있고 수온을 5∼8℃로 유지되도록 세팅한다.
-
유량계(milk jar)
Milking parlor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유량계(유리제의 용기)로 착유 unit와 Pipe-line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착유된 우유의 전량(全量)을 저류하고 종료후 눈금을 읽어 착유량이 된다. 눈금을 읽고 이해함이 정확하면 높은 정밀도(精密度)를 얻을 수 있다.
-
유량계(milk meter)
유량을 계측(計測)하는 기구. Bulk cooler등에 모여 있는 우유를 계측할 경우와 착유중의 유량을 계측할 경우가 있다. Pipe line milker의 경우에 개체우의 착유량을 파악하기 위해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방식으로는 중량식, 용적식, 분류식, 전도절 방식이 있다. 또 유량계, load cell등과 연결하여 유량을 자동적으로 계량·표시 혹은 기록하는 것도 있다.
-
유방커버(cow brassiere)
소의 유방·유두를 보호하는 덮개. 유방이 현저하게 늘어져 있어 보행이 어려운 소와 유두의 밟아서 나는 상처등을 일으키기 쉬운 소, 이미 유두손상이 있는 소등에 이용한다. 포(布), 고무, 비닐등으로 만들어져 있고 유방 전체를 몽땅 덮고 이것을 띠로 가슴, 등, 엉덩이에 걸쳐서 매달아 올려서 유방·유두의 손상을 막는다.
-
유압모워(hydraulic driven mower)
Reciprocating mower의 일종. 트럭의 유압 동력을 이용하여 Mower를 구동하기 때문에 Mower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여도 기름이 댐퍼(damper)로서 회피할 수 있고 Mower를 큰 파손으로부터 시킬 수 있다.
-
쟁기(plow)
작토(作土)를 경기반전하는 기계. bottom plow와 원판형(disk plow)가 있지만 전자가 자주
사용되고 있다. 지표를 완전하게 반전하는 신간(新墾)용, 반전과 쇄토에 특장(特長)이 있는
재간용, 양자의 중간에 해당하는 초지용이 있다. 기타로 작토층의 확대와 토양개량의 목적으
로 심경용, 심토파쇄용 등이 있다. 또 좌우로 대칭적인 Plow을 가진 호용(互用) Plow는 왕
복의 공정으로 흙의 반전방향을 같게 할 수 있다. 특히 경사지의 경기(耕起) 작업에 편리하
다.
-
전기 조절기(electric controller box)
전기 목책에 전류를 보내는 전류 조정기. 용량형과 펄스형이 있고 펄스형이 보급되고 있다. 25mmA, 접촉시의 순간적인 고전압 전류를 단속적으로 전기 목책으로 흐르게 하여 소에게 위험이 없는 범위에서 전기 쇼크를 준다. cow trainer의 송전에도 이 전기 조절기가 사용되고 있다.
-
전기목책(electric fence)
방목초지와 운동장의 주위에 나선을 치고 이것에 전목기로 전류를 흐르게 하고 전선에 접촉한 소에게 전기쇼크를 주어 목책의 밖으로 탈출하는 것을 막는 목책. 구성은 전목기, 항(杭), 애자, 전목선, 접지봉으로 된다. 이동·설치가 가능한 간이 목책이고 초지를 집약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경비, 유지비가 싸서 경제적이다.
-
전기바리캉(electric clipper)
전기바리캉. 우체 혹은 유방주위의 털을 깎아서 손질하는 등에 이용한다.
-
절단기(cutter)
건초, 볏짚, 사일리지 원료초등을 세절하고 절단하는 기계. 모터와 엔진으로 칼이 붙은 드럼을 회전시켜 거기에 절단하는 재료를 송치하고 세절한다. 세절 길이의 설정은 치수가 다른 치차(齒車)의 조합하여 재료의 송치속도를 변하는 것에 의해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
제각기(dehorner)
Dehorner. 뿔이 생기기 전의 소에서는 각근부의 가성(苛性) 칼륨과 전기인두로 지지고 영향이 미치고 나서는 제각용 고무고리를 기부에 장착하여 탈락시키거나 제각기로 잘라낸다. → 제각(除角)
-
제초기(cultivator)
작물 밭사이의 중경제초기. 손톱모양의 것을 설치한다. 중경보습, 체초보습, 배토판등을 설치하는 방식이 많다. 손톱모양의 지주가 스프링이 되어 있는 것을 spring cultivator라고 한다. 그외에 트랙터의 동력을 이용하고 손톱모양의 것 또는 원판을 회전시키는 rotary cultivator가 있다.
-
조사료:마초(forage)
본래는 우마등의 초식가축에게 주는 식물성 사료의 마량(馬糧)을 의미하고 있지만 방목 또는 예취이용하는 목초 및 사료작물의 총칭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건초, 엔실리지, 사일리지, 청예작물등을 포함한다. 광의로는 조사료를 의미하는 경우도 있지만 볏짚류와 작물부산 경엽류를 포함하지 않는 것도 있다.
-
조파기(drill)
시비 장치에 붙은 조파기. 골파기, 시비(施肥), 복토(覆土), 종파(種播), 복토(覆土), 진압(鎭壓)이 일공정으로 할 수 있다. 곡류전용을 grain drill, 목초 종자전용을 grassland drill 또는 grassland seeder라고 부른다.
-
종파기(packer seeder)
소형의 culti packer로 목초종자를 조파하는 장치를 부탁한 종파기. 종(種)을 뿌리는 것과 동시에 진압하기 때문에 종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고 종(種)과 토양의 빌착이 좋다.
-
지방신속측정기(milko-tester)
덴마크에서 개발된 광도계에 의한 우유의 지방신속측정기. 정량의 시료를 흡입(吸入)시키면 균질화, 약액(藥液)에 의한 희석(稀釋)·투명화 처리를 받고 관류식(貫流式) 큐빗에 넣어 탁도를 지방율로 환산하여 표시한다.
-
지하식 사일로(underground silo)
지면을 기준으로 하고 벽면의 위치에 의해 사일로를 분류할 때에 지하에 있는 사일로. 피트 사일로, 트렌치 사일로(trench silo)등이 이것에 속한다.
-
직원통형 집초기(cylindrical reel head rake)
Side-delivery rake의 일종. Spring갈코리를 설치한 회전면이 원통상인 것으로 cylind형이라고도 한다. 진행방행과 40∼45도의 각도를 가지고 건초를 끌어 넣는 것같이 측방으로 밀려간다. 이 형식은 집초시의 건초의 이동거리가 길고 집초손실이 많기 때문에 최근은 제조되고 있지 않다.
-
진공 조절기(vaccuum regulator)
진공파이프내의 진공도를 항상 착유에 맞는 일정한 값으로 유지하기 위한 일종의 압력 조절판. 여러 가지의 종류가 있지만 크게 나누어서 중추식, spring식 및 diaphragm식의 3가지의 형이 있다. 어느 형도 공기를 안에 넣는 부분은 대단히 불과 극간(隙間)밖에 없기 때문에 여기에 먼지등이 가득 차면 작동 불량이 되고 적절한 착유 진공도를 얻을 수 없어지므로 정기적인 점검·소제가 중요하다. → 그림 [milker의 구성]
-
질경(vaginal speculum, colposcope, vaginoscope)
질에 넣어 안을 열고 질의 점막과 점액을 검사하는 기구이고 자궁과 질의 질병진단 치료 혹은 인공수정할 때에도 자주 이용되고 소의 번식 관계에서는 지극히 사용 빈도가 높은 것이다. 금속성으로 집오리의 주둥이와 비슷하고 가로로 벌리는 것이 많이 이용되고 있지만 세로로 벌리는 것도 있다. 또 플라스틱과 경질 Glass제로 원통형의 것도 있다.
-
질밴드(vagina band)
질벽의 일부 도는 전부가 음부외로 탈출하는 질탈할 때에 압정대로서 사용하는 것. 질탈의 경증의 예로는 구부리고 누울 때에 주먹 크기의 점막이 보이는 정도이지만 임신월령이 됨에 따라 커지게 되고 또 다음에 낳게 됨에 따라서 질탈의 정도가 심하게 되기 때문에 Vagina band를 사용한다.
-
착유기(milking machine, milker)
우유를 짜기 위한 기계. 통상 모터(motor) 등으로 진공파이프를 움직이게 하여 생긴 진공을 파이프로 착유장치로 인도하여 Teatcup를 통하여 흡인·착유한다. 영어에서는 Milker는 착유종사자 혹은 유우의 것을 가르키는 것이 많고 착유기는 통상 Milking machine이라고 부른다. Milker 각부의 구성은 그림을 참조할 것.
-
체인형 반클리너(chain type barn cleaner)
체인(chain)에 패들(paddle)이라는 퍼내는 판을 40∼50cm간격으로 설치하고 분뇨구내를 3∼6m/분의 속도로 회전시켜 분뇨등의 오물을 사외로 반송하는 기계. 체인 회전식 반클리너라고도 한다. 분뇨구는 사전에 사용하는 기계의 패들폭에 맞게 작성한다. 보통 사외에 나온 곳에 분뇨를 높은 위치로 들어올리는 엘리베이터를 설치하지만 깔짚부족의 경우는 분뇨가 올라가기 어렵다.
-
체인형 테더레이크(chain type tedder rake)
목초의 반전·집초 겸용기. hay maker라고도 말한다. spring타인을 설치한 체인(chain) 또는 벨트(belt)가 트랙터(tractor)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회전하고 목초를 가로 방향으로 내던지다. 타인의 각도와 본체틀의 좌우높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고 목초의 반전·집초열의 반전과 확산을 할 수 있다. 또 집초는 내던지는 측에 집초판을 설치한다.
-
체중추정 줄자(weighting tape, tape for estimating live weight)
체중저울을 이용하지 않고 흉위등의 체자(줄자)로 체중을 추정하는 줄자. 유우용(홀스타인종)과 돼지용에서는 흉위를 측정하면 그대로 추정체중을 가르키게 되고 흉위, 사체장 및 관위등의 측정으로 추정하는 화우용의 전용 줄자가 각각 시판되고 있다.
-
초지재생기(Pasture renovator)
초지 재생용기계. 초지 식생의 유지와 수량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추비(追肥), 추파(追播)를 동시에 행하는 기계. 뿌리의 절단에 의해 초지의 활성화, 분얼(分蘖) 촉진, 표층토의 통기성과 투수성을 개량하고 추비추파의 효과를 높인다. 방목초지용을 Pasture renovator, 채초지용을 Grassland renovator이라고 부른다.
-
최고속 모워(high-speed mower)
고속 예취기. 작업속도가 약 10km/시의 mower(보통 mower는 약 7km/시). Rotary mower, Double knife mower등이 있다.
-
커팅롤러(Cutting roller)
초지의 생산력 향상·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초지 관리용 기계의 일종. 나이프(Knife)를 단 롤러(roller)로 초지의 위를 전동시켜 단속적인 절단면을 취한다. 초근(草根)의 매트층을 절단하고 분얼 촉진과 통기성의 향상과 추비효과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나이프(knife) 대신에 흙속에 구멍을 낸 손톱모양을 설치한 것도 있다.
-
컴퓨터자동급사장치(computer automatic feeding system)
각 개체의 체중, 유량 및 임신상태등의 자료를 기초로 하여 컴퓨터로 사료의 양분요구량을 산출하여 급여량을 결정하고 그 사료를 급여하는 장치. 방사식의 경우는 개체식별장치로 소의 번호를 판독하여 그 개체의 사료를 사조에 공급하고 계류식의 경우는 Stall를 판별하여 그 소의 사조에 계산된 량의 사료를 급사하는 자동급사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
케니스터(canister)
액체질소정액보존기에 정액을 보존하기 위한 병이 붙은 통상(筒狀)의 금속용기. 통의 밑 또는 측면에 작은 구멍이 열리게 되고 액체질소가 유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canister당의 Straw동결액의 수용체수는 보존용기의 크기에 의해 다르다.
-
쿼터 착유기(quater milking machine)
4우유구를 다른 용기에 착유하도록 한 Milker. 주로 시험연구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분방별의 유량과 착유속도의 측정으로 이용된다. 유방염등 정상이지 않는 분방으로부터의 이상유를 타른 정상의 우유와 ?이지 않도록 한 장치를 부르고 있는 경우도 있다.
-
크랙킹(cracking)
곡류의 분쇄법의 하나. 롤러(roller)로 압력을 걸어 조잡하게 깨뜨리는 것. 또는 깨뜨린 것을 말한다. 그대로 단단한 곡식에 숨겨진 종실등의 내부에 소화액이 침투하기 쉬워진다. 미분쇄에 비하여 채식하기 쉽고 호기성이 우수하다.
-
크리프피더(creep feeder)
포유자우로 따로 사육하는 사료를 급여하기 위한 자우전용의 급사장치. 육용우의 방목자우의 발육을 촉진하기 때문에 모우와는 따로 자우만 농후사료를 보급할 경우에 이용한다. 농후사료를 넣는 hopper와 사조를 설치하고 모우가 들어가지 않도록 자우의 몸만이 들어갈 정도의 목책을 설치한다. 자우가 농후사료를 먹으면 hopper의 밑으로부터 사료가 사조로 자연낙하하도록 되어 있다.
-
크림분리기(cream separator)
원심력을 이용하여 우유를 크림과 탈지유로 분리하는 기계. 우유를 고속회전하는 bowl안에 송치하면 비중이 무거운 탈지부분은 bowl의 외측에 비중이 가벼운 크림성분은 내측으로 나누어진다. 보통 32∼38℃에서 행해진다.
-
클러스터(cluster)
Teatcup(liner와 shell), milk claw, 이연tube, 박동tube 및 milk tube로부터 이루어지고 있는 집합체의 명칭. → 그림[milker의 구성]
-
테더레이크(tedder rake)
목초의 반전 작업외에 집초 작업도 가능한 겸용기. 각 작업마다 갈퀴의 각도를 바꾸거나 부속품(집초판)을 설치하거나 하는 조절이 필요하다. 엄밀하게는 완전한 겸용기는 적고 반전과 집초 작업의 어느쪽 인가에 결점이 있다. 종축회전의 자이로(gyro)형과 체인(chain)형이 있다.
-
토양탈취장치(deodrant apparatus using soil)
축사 또는 분뇨처리시설(특히 퇴비화 시설)등으로 발생한 악취를 토양중에 매설한 풍도(風道)로 송치하고 옥석(玉石), 모래, 화산회 토양층을 통과시켜 악취물질을 여기에 흡착(吸着)시켜 토양미생물에 의해 분해·무취화시키는 시설을 말한다. 높은 탈취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비교적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
통기공(Breather bag)
기밀사일로의 최상부 안쪽에 설치한 주머니 모양의 장치. 이것은 외기(外氣)와 통해 있고 사
일로 내무의 온도변화와 가스에 의한 내부의 기압변화에 응하여 수축 팽창하고 사일로 내부
의 압력을 조절하고 사일로의 파손방지와 사일리지로의 외기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
다.
-
퇴비·통기발효시설(composting facility)
분뇨, 오니, 가정쓰레기등의 퇴비화를 행하는 시설. 간이 퇴적 발효시설과 교반통기발효시설로 분류되고 전자에는 퇴비사와 상자모양의 발효조가 포함된다. 후자에는 횡형 회전식, 종형, Scoop식, 회전식(로터리식, 스크류(screw)식)등이 있다. 이것들의 시설에 의해 대량으로 양질의 균질한 퇴비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
튜브 그라인더(tub grinder)
roll-bale한 목초와 짚류등의 곤포(梱包) 조사료를 세절하는 기계. 대형의 Hopper의 중에 bale를 투입하고 bale를 천천히 수평회전시키고 hopper저부의 고속 hammer chip으로 자른다. 가늘게 절단된 건초, 짚은 cyclon으로 먼지를 분리한다.
-
튜브피더(Tube feeder)
auger feeder의 일종. tub(둥근관)의 중에서 auger가 회전하는 방식으로 곡류, 입상사료등에 적당하다. Bunk feeder로서 이용할 경우에는 둥근 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고 사료가 feeder의 선단에 달하면 원관을 회전시켜 개구부를 아래로 향하고 사조로 낙하시킨다.
-
트렌치 사일로(trench silo)
지하식 수평 사일로의 일종. 본래는 맨 굴의 구덩이에 사일리지재료를 주입하고 흙으로 덮는 가장 간소(簡素)한 사일로. 비가 많은 지역에서는 비닐 시트등으로 주위를 쌀 필요가 있지만 그것에도 지하수가 높은 장소에는 적합하지 않다. 보조 사일로의 일종.
-
티드컵라이너(Teatcup liner)
유두에 흡착시켜 우유를 짜내는 부분을 Teatcup라고 하지만 그 내측의 합성고무제의 부분을 말한다. 직접 유두에 접촉하는 부분인 것으로 그 재질·경도(硬度) 및 형상이 적절할 필요가 있고 또 세정제, 소독제 및 고온수 등에 의해 변질하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
-
티트컵 셀(Teatcup shell)
Teatcup liner의 외측의 원통상의 부품의 명칭으로 liner와의 사이에 박동실을 구성한다. 스테인리스(stainless)제가 많지만 최근은 착유의 상태가 관찰할 수 있도록 수지제의 것(투명liner와 조합시겨)도 이용되고 있다.
-
티트컵(teatcup)
유두에 흡착하여 우유를 짜는 부위의 명칭으로 Teatcup liner, shell, 박동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을 조립(組立)하면 shell과 liner의 사이에 공간(박동실)이 생기고 여기에 펄세이터(pulsator)의 작용에 의해 대기와 진공이 교호하게 유도되고 착유가 행해진다.
-
패독(paddock)
방목지를 목책으로 구획 짓을 때의 한 구면을 말한다. 방목시스템의 차이에 의해 패독의 나누는 쪽이 다르다.
-
펠렛(pellet)
분상(粉狀)의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가압하여 증기를 불어놓고 대를 통해서 밀어내고 성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원주상의 것이 많다. 펠렛의 크기는 가축의 종류에 의해 적당한 정도로
조정한다. 분(粉)의 사료에 비하여 수송성이 우수하고 기호성도 좋으므로 채식량은 증가하는
것이 많다.
-
평판형 냉각기(plate cooler)
Milking machine에 의해 착유된 우유를 Cooler에 투입하기 전에 예냉하는 장치로 우유가 통과하는 부분과 냉수가 통과하는 부분이 서로 나란히 늘어져있다. 이것들의 부분이 평판형으로서 서로 다르게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이 명칭이 붙었다.
-
포유기(nursing bottle)
포유자우에게 우유 등의 액상사룔ㄹ 먹이는 기구. 포유 Bucket와 플라스틱제의 포유병에 고무제의 인공유두를 설치하여 그것을 흡인시켜 포유하는 간단한 것이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있다. 더욱 인공유두를 사용하지 않고 포유 Bucket으로부터 벌떡 벌떡 마시게 하는 경우도 많다. 대용유를 조제·가온하여 급여하는 자동포유기도 개발되고 있다.
-
표토진압기(culti packer)
표토진압기의 일종. 주판알모양의 철제 ring(링)을 나란히 한 롤러로 파상(波狀)의 진압면을 만든다. 진압력이 강하므로 바람에 의한 종자와 표토의 이동이 적다. 또 적도의 통기성이 보존되는 등의 특징이 있고, 풍식을 받기 쉬운 포장에 적합하다.
-
프론트로더(front loader)
겸용 트럭의 앞쪽에 설치하는 Lift장치. 유압장치에 의해 긴 Arm을 올리거나 내리고 그 선단에 목적에 따라 각종 부속품을 설치하여 작업을 한다. 퍼올리는 거리(높이)가 3m 전후로 높기 때문에 주로 쌓아 올리는 작업에 적당하다. 들어올리는 중량은 30마력등급의 트럭용으로 500kg정도이다. 축사작업으로는 Free stall통로의 분을 퍼내는 등에 사용되고 있다.
-
플레일모워(flail mower)
Rotary mower의 일종. 수평회전축에 회전칼날이 설치되어 있고 매분 1,000회전 이상으로 회전한다. Flail가 목초를 집어 올리듯이 하여 자른다. 그후 Cover에 부딪쳐 후방으로 배출된다. 그 과정에서 잘리거나 뽑히거나 하여 Hay conditioner를 붙이도록 한다. 야초를 벨 때와 소제할 때에도 사용된다.
-
플로어형 착유기(floor type milking machine)
Bucket을 마루에 두고 짜는 형의 착유기. 일본에서는 가장 보급되어 있다. 4개의 유두로부터 짠 우유를 Milk claw로 모이고 나서 Bucket에 넣는 방식 때문에 Claw type milking machine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
하로우(harrow)
쇄토(碎土) 정지용기계. 흙덩어리를 가늘게 파쇄하고 지표를 평탄하게 하여 종자의 발아에 적합한 상태로 한다. 다수의 원판으로 흙덩어리를 자르거나 쪼개는 Disc harrow, 다수의 칼코리가 지표를 나아가면서 자르고 표층의 토괴(土塊)를 부수는 tooth harrow, spike tooth harrow, spring tooth harrow, net harrow등이 있다. 요사이는 트럭의 동력으로 구동(驅動)하는 Rotary harrow가 잘 이용되고 있다. 이것은 수평축의 손도끼(날) 또는 꽃모양의 회전칼(날)을 고속회전시켜 표토를 쇄토정지하는 기계로 Power harrow의 다른 이름이다.
-
하이라인 착유기(High-line milking machine)
Low-line milking machine이 출현한 것으로부터 종래의 Stall 상부에 배관한 pipe-line milking machine를 이와 같이 부르게 되었다. milk pipe는 낮게 배관하는 쪽이 우유를 위로 올리는 힘이 적어지고 착유시의 유두에 미치는 불규칙한 진공변동이 경감되기 때문에 좋다. 그러나 위생적 및 작업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에 High-line으로 진공변동이 작은 milker가 검토되고 있다.
-
햄머밀(hammer mill)
타쇄(打碎)식의 분쇄기. 고속으로 Hammer를 회전시키고 분쇄하는 곡류, 세단(細斷) 건초를 분쇄실상주면의 분쇄반에 때리고 찌르고 타쇄(打碎)하고 하부의 스크린의 강목(綱目)을 통과하기까지 타쇄한다. 강목의 구멍지름이 다른 스크린을 선정하는 것에 이해 분쇄입자의 크기를 바꿀 수 있다. 주로 사료공장에서 사용한다.
-
헤이글란더(hay grinder)
곤포건초를 절삭하고 가늘게 세절(細切)하는 기계. Compact bale용과 Roll bale용이 있다.
후자는 보통 Tub grinder라고 부른다. 절단은 고속회전 Hammer chip에 의한 타쇄(打碎) 방
식이다.
-
헤이드라이어(hay dryer)
목초건초기. 자연(태양) 건조만으로는 건초(수분 10∼15%)를 만드는 것이 곤란한 경우에 이
용된다. 강제통풍방식으로 상온 통풍과 가열통풍이 있다. 가열 통풍에는 직접 가열과 간접
가열이 있다. 피(被)건조재료의 상태에서 낱개 건조와 곤포건조가 있다. Hay dryer에서 건
조하는 것을 인공건조라고 부른다.
-
헤이레이크(hay rake)
건초의 집초를 행하는 기계. 건초를 곤포와 세단(細斷) 작업을 위해서 집초할 때에 이용된
다. Hay rake에는 Side delivery rake, Rotary rake 등이 있다. 집적운반용에는 Sweep rake
와 Back rake가 있다.
-
헤이로더(hay loader)
집초열을 주워 올려 운반차에 싣는 기계. 트럭의 Front loader의 Attachment의 하나. Fork
에 의해 건초를 주워 올려 운반차에 싣는다.
-
헤이베일러(hay baler)
집초열을 주워 올리면서 단단하게 성형하고 곤포하는 기계. 건초를 일정한 크기로 곤포하고
운반과 저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곤포밀도가 낮은 Bale를 만드는 Loose
baler, 밀도가 높은 Bale를 만드는 High-density baler, 대형의 원형 Bale를 만드는 Roll
baler가 있다.
-
헤이엘리베이터(hay elevator)
건초를 건초수납사와 축사의 2층 등에 수납(收納)할 때에 이용하는 콘베이어. 경사각은 48도
이하로 모터 또는 엔진으로 구동한다. 체인콘베어(Chain conveyor)방식과 벨트콘베어(belt
conveyor)방식이 있고 또 곤포용과 건초용이 있다.
-
헤이컨디션너(hay conditioner)
예취한 목초를 압쇄(壓碎)하는 기계. 예취 직후에 압쇄하면 목초 전체를 일률적으로 건조할
수 있고 건조 촉진효과가 크다. Roll에 의해 압쇄하는데 Roll면이 평평하고 미끄러운
Crusher형, Roll단면이 톱니바퀴모양의 Crimper형이 있다. 또 양자의 장점을 합친 것도 개발
되었다. 예취후 30분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그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
헤이큐버(hay cuber)
세절된 목초를 건조성형하는 기계로 정치식과 이동식이 있다. 주로 구성요소는 건조기와 성
형기이다. 건조기는 회전식으로 그 회전드럼 안에 목초를 송치하고 직접 가열하여 건조를
행하고 드럼출구에서 건초(수분 10∼15%)로 마무리한다. 성형물의 직경이 40mm이하를 헤
이큐브(hay cube), 그것이상을 헤이웨이퍼(hay wafer)라고 부른다.
-
헤이큐브(hay cube)
건초를 저장 혹은 운반의 편의를 위해서 각종의 가공처리를 행하지는 각형으로 성형한 것이
큐브(cube)이고 큐버(cuber)라는 장치를 이용하여 건초를 각형으로 성형하는 것을 말한다.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팔파헤이큐브(alfalfa hay cube)가 있다.
-
헤이타워(hay tower)
예건한 세절목초를 Forage blower로 뿜어 올리고 중심부에 원통상의 구멍(텅빈)이 생기도록
하면서 탑모양으로 퇴적하고 하부보다 상풍(常風) 또는 온풍을 구멍을 통해서 보내고 건조
시켜 그대로 건초저장하는 시설. 건초를 빼내는 것은 표층부터 타워 중앙의 구멍을 통해서
하방으로 떨어뜨리고 저부의 통풍관내의 콘베어로 반출한다.
-
헤이프레스(hay press)
정치식의 건초곤포기. 주로 판매용의 고밀도 건초곤포에 사용된다. 재료의 공급은 인력으로
행하고 철사로 결속한다. 포장용의 wire baler를 사용하는 경우와 전용의 유압식 성형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건초를 판매할 경우는 1곤포 중량 30kg이 표준이고 그 밀도를
300kg/㎥전후로 조절한다.
-
호이스트: 승강기(hoist)
중량물을 매달아 올리고 그대로 천장에 부설(敷設)된 레일(rail)로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거
나 운반차에 적재시키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기계. 사일로의 건물의 천장에 부설하고 사일
리지를 빼낼 때에 사일리지를 넣은 운반차와 바구니를 매달아 올리고 우사의 2층으로 레일
을 부설하고 건초, 사료등의 중량물을 매달아 올려 수납하는 등에 이용한다. 건물의 건축시
에 중량물 이동의 도선(導線)을 고려하여 레일, 기계를 부설한다.
-
혼합기(feed mixer)
수종류의 사료를 혼합하는 기계. Batch식과 연속식이 있다. 혼합방식은 스크류교반을 채용
하는 것이 많다. 요사이는 투입사료의 계량도 할 수 있는 mixer가 시판되고 complete feed
용의 Mixer로서 보급되고 있다.
-
휴지기(resting phase)
Teatcup의 박동실에 대기압이 통하고 liner가 억지로 누루게 되고 동시에 유두를 압박하여 우유의 유출이 정지하고 있는 시기. 마사지(massage)기라고도 한다. 흡인기로 유두에 진공압이 걸리는 것에 의해 모여진 혈액, 림프(lympha)액등을 이 시기에 분산시켜 유두의 울혈(鬱血: 병난 곳의 정맥이 확대돼 충혈을 이루는 증세)을 막는 작용이 있다. → 박동.
-
흡인기(suction phase)
펄세이터(pulsator: 고동장치)의 작용으로 Teatcup liner와 Shell의 사이의 박동실에는 진공압과 대기압이 교호(交互)하게 이끌여 착유가 행해지지만 이 박동실에 진공이 이끌여 Teatcup liner가 넓어지고 거의 원형에 가까운 형이 되어 유두에 진공압이 걸리고 우유가 흡출(吸出)되고 있을 시기를 말한다. → 박동(拍動)
-
Cowshed type pipe-line milking machine, round the shed pipe-line milking machine: RTS)
우사내에서 사용하는 pipe-ling milking. 우유의 흐름을 순조롭게 하고 진공변동을 일으키지 않게 하기위해서는 milk pipe는 첫시작을 취하지 않고 수유조로 향하여 100분의 1정도의 구배(句配)(경사)를 취할 필요가 있다. 약칭은 RTS.
-
ISO규격(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착유기 및 그것에 관련된 시설에 관한 국제규격을 말한다. 이 작업은 국제 기준 기구에서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착유시설의 수출입이 원활하게 행해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 러나 제각기 나라에 따른 사정이 있기 때문에 각국에서는 자국의 사정에 ?추면서 이 규격에 준하는 방향으로 대응하고 있다. 일본에는 북해도(北海島: 훗카이도)규격이 있다.
-
공기 흡입공(air bleed hole)
Milker의 Milk claw로 열려진 직경 0.7mm정도의 작은 공기흡입공. 이 구멍으로부터 대기가 Milk claw내에 흡인되는 것에 의해 Milk claw로 모여진 우유가 Milk tube을 통하여 원활하게 버킷(bucket) 또는 Milk line의 쪽으로 흐르고 착유중 Teatcup내의 진공도의 변화가 적어지는 효과가 있다.
-
에어라인(air line)
기압식의 Pulsator를 작동시키기 위한 진공을 공급하는 배관계. Pipe-line milking machine으로는 Milk line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Bucket type milking machine의 경우는 Milk line은 없고 이 air line 1체로 착유용과 Pulsator용의 진공을 전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진공배관이라고도 부른다.
-
Walk-through milking parlor
착유가 마친 소가 그대로 직전하여 밖으로 나가는 방식의 Parlor. 통상 Tandem(종열)식의 착유실이 많고 소의 두부에 있는 사조등의 간막이로 소와 소를 구분하고 착유가 종료된 소를 나가게 할 때는 간막이를 작업피트(Pit)내로 끌어들이고 소가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측방통로가 필요없으므로 건물면적이 적게 되어 건축비는 싸진다.
-
Asulam
비호르몬형 흡수 이행성 제초제. 경엽(莖葉)에서부터 흡수되고 동화산물(同化産物)과 같은 경로로 뿌리로 전류(轉流)하고 세포분열을 저해하고 식물체를 말라죽게 한다. 그 약효의 발현에는 시간이 걸리지만 광엽형 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는 크고 목초지의 강해 잡초인 고사리등에 효과가 있다. 때로는 목초에 약해(藥害)가 나타나는 것도 있다.
-
락토페린(lactoferrin)
철킬레이트(chelate)작용을 가진 단백질로 정균 및 살균작용을 나타낸다. 초유와 건유기의 유방내에는 특히 고농도로 분비된다. 유즙뿐만 아니라 혈액중에도 약간의 찌꺼기가 보이게 되고 비면역형의 생체방어기능을 담당함과 동시에 세포증식을 조절하는등 여러 가지 생체조절기능을 나타낸다. 식품과 의약품으로서 이용될 가능성이 크고 사람의 lactoferrin을 소로 생산하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
래소(lasso) 유제(lasso emulsifiable concentrate)
산 아미트계의 제초제 alachlor의 제제. 잡초발생전의 토양처리에 의해 일년잡초, 특히 화본과 잡초의 유아로부터 흡수되고 단백질의 합성저해에 의해 유묘를 고사시킨다. 발생후의 잡초에는 대부분 효과가 없다. 옥수수와 대두의 재배밭에서 gesaprim등과 혼용하여 산포된다.
-
약욕시설(dipping pool)
소독, 살균, 구제등을 위해서 가축의 몸전체 또는 일부를 약제액에 담그는 시설. 방목 가축에 붙은 외부 기생충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전신 약욕(藥浴)을 행한다. 기생충이 붙기 쉬운 양에게는 정기적인 약용이 필요하다.
-
제초제(gramoxone)
비호르몬형의 접촉성제초제의 Paraquat의 제제(製劑). 초종에 의한 선택성은 없고 경엽(莖葉)처리에 의해 강력한 살초효과를 나타낸다. 토양중에 빠르게 불활성화되기 때문에 뿌리에 주는 영향은 적다. 따라서 숙근성(宿根性) 잡초에 대한 방체효과는 낮다. 인체내에 받아 들이면 유효한 해독법이 없으므로 다루는 데는 주의를 요한다.
-
제초제(라운드업: roundup)
비호르몬형의 비선택성의 제초제(Glyphosate)의 제제. 경엽부터 흡수되고 뿌리로 이행한다. 단백질질의 합성을 저해하고 살초효과를 나타낸다. 대사활동이 왕성한 생육최성기에 산포하면 효과가 높다. 토양중에서 미생물에 의해 급속하게 분해되기 때문에 잔유성은 대부분 없고 목초지와 밭지대의 잡초방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
구충제(insecticide)
외부 및 내부기생충을 구체 또는 기피하는 약제. 외부기생충은 약욕(藥浴), 약제분무·산포(散布)에 의한 구제, 침파리등은 기피제에 의한 습래방지를 행한다. 내부기생충의 구체는 발증가축만이 아니라 동거·동군가축으로의 집단구충이 원칙이다. 기생충의 발육환경과 습성에 의해 구충시기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 내부기생충구제제를 authelmintic drug라고 한다.
-
모넨신(monensin)
폴리에테르계의 항생물질로 항원충 작용이 있기 때문에 닭의 항콕시듐제로서 세계 각지에서 사용되고 있다. 제 1위 발효에 있어서 메탄 생성을 감소시키고 프로피온산 생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특히 육우에 대하여 비육 효과·사료효율의 개선 효과가 있고 일본에서도 이용되고 있다.
-
아술람(Asulam)
비호르몬형 흡수 이행성 제초제. 경엽(莖葉)에서부터 흡수되고 동화산물(同化産物)과 같은 경로로 뿌리로 전류(轉流)하고 세포분열을 저해하고 식물체를 말라죽게 한다. 그 약효의 발현에는 시간이 걸리지만 광엽형 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는 크고 목초지의 강해 잡초인 고사리등에 효과가 있다. 때로는 목초에 약해(藥害)가 나타나는 것도 있다.
-
OCC(organic cellular contents)
세포 내 유기물질. 효소법에 의한 사료분석에 있어서 아밀라제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가
용부로부터 회분을 제거한 분획(分劃). 단소당류, 전분, 유기산, 단백질, 비단백질 소화합물
기타 가용물로부터 된다. 소화성이 높고 사료로부터의 섭취량과 가소화량과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하고 영양적으로 균일한 분획이라고 말 할 수 있다.
-
OCW(organic cell wall)
세포벽 물질. 효소 분석법에 있어서 아밀라제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잔사로부터 회분을 제거한 분획.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구닌, 열변성 단백질등이 주성분. 시료중의 총 섬유량을 표시하고 Detergent법에 있어서의 NDF에 상당한다. 셀룰라아제(cellulase) 처리에 의해 고소화성 섬유분획 Oa와 저소화성 섬유분획Ob로 나누어 진다
-
가소화양분(digestible nutrients)
가소화성분이라고도 불려진다. 일반분석으로 구한 사료의 6성분중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가용무질소물의 4성분의 소화·흡수된 부분을 가르킨다
-
가소화에너지(digestible energy: DE)
사료중의 소화흡수되는 에너지. 섭취한 사료의 총에너지로부터 분으로 배출된 에너지를 뺀 것. 분중의 에너지손질은 사료의 총에너지의 40∼60%을 차지한다. DE의 높은 사료는 대체로 에너지의 이용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사료의 총에너지에 그 소화율을 곱해서 구한다.
-
가소화영양소총량(total digestible nutrients : TDN)
현재 일본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사료에너지함량을 나타내는 단위. 사료의 일반분석과 소화시험에 의해 가소화 4성분함량을 구하고 다음의 식에 의해 계산된다.
TDN = 가소화조단백질 + 가소화가용무질소물 + 가소화조지방 ×2.25 + 가소화조섬유.
단위로는 kg과 g 혹은 %가 사용된다. 성격으로서 대사에너지에 거의 가깝다. 대체로 조사
료의 TDN은 농후사료의 그것보다도 과대하게 견적(見積)된다.
-
가소화조단백질(digestble crude protein: DCP)
사료조단백질 중 동물에 소화·흡수되는 부분. 소화시험을 행해서 동물이 섭취한 조단백질량으로부터 분으로 배설된 조단백질량을 뺀 량. 또는 사료의 종류에 의해 단백질의 소화율에 차가 있기 때문에 사료의 조단백질 함량에 그 소화율을 곱해서 구한다.
-
에너지 조효율(gross energetic efficiency: GEE)
섭취한 가소화에너지중 우유생산, 체중증가등으로서 이용되는 생산물중의 총에너지 비율을 가르킨다. 동물의 유지소요에너지를 빼지 않으므로 [조]를 붙인다.
-
에너지 출납(평형)(energy balance)
사료로서 섭취된 에너지양과 분, 뇨, 메탄등의 배설 및 열로서 체외에 잃게 되는 에너지양과의 출입의 관계를 나타낸 것. 에너지 출납이 제로의 경우 동물체는 평형의 상태에 있다. 출납이 정의 경우는 에너지의 축척의 상태. 부의 경우는 에너지 소모의 상태에 있다.
-
에너지가(energy value)
사료에 함유된 총에너지중 가축에 이용되는 에너지의 함량의 것. TDN(가소화영양소 총량), DE(가소화 에너지), ME(대사에너지), NE(정미에너지)등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면 짚류는 총에너지는 목초등과 거의 동일하지만 소화율이 낮기 때문에 에너지가는 낮다.
-
염소 유당가(chloric lactose value)
케스틀러수 또는 유방염지수라고도 한다. 유방염유의 검사에 이용된다. (염소%/유당%) ×100의 값을 말하고 상유에서는 염소가 약 0.1%, 유당이 약 4.5%이므로 2정도의 값을 나타내지만 유방염유에서는 3 또는 그것 이상의 값을 나타낸다.
-
영양소 요구량(nutrient requirement)
가축이 몸의 유지, 성장, 번식 및 우유, 고기, 계란의 생산등 여러 가지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영양소의 것으로 사양표준에 표시되어 있다.
-
영양소(nutrient)
가축이 생명유지와 생산을 위해서 필요한 물질을 섭취하고 고유의 체물질로 바꿔 신진대사를 반복해 가는 것을 영양이라고 하고 그 경우의 체내로 흡수된 물질을 영양소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및 기타 무기물, 비타민등으로 크게 구별된다.
-
영양율(영양비: nutritive ratio: NR)
사료의 평가를 행할 경우의 하나의 방법으로 가소화 영양소 총량(TDN)중 가소화 단백질(DCP)와 그것이외의 에너지비로 영양가를 나타낸다. NR = (TDN - DCP/DCP), DCP가 많고 NR이 적은 것을 영양비가 좁다고 하고 그 역을 넓다고 한다.
-
이온 평형(Ion balance)
동물체액의 산-염기평형상태의 것으로 체액은 여러 가지의 이온(전해질)에 의해 pH7.30∼7.45의 사이로 유지되고 있다. 사료중의 Ion balance(Na + K - Cl)의 값을 적게하면 산성으로 기울고 유열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카제인미셀(casein micelle)
카제인은 복잡하게 상호작용하여 우유중으로는 평균직경 약 150nm의 큰 카제인 micelle입자로서 존재하고 있다. Casein micelle은 특히 작은 단위인 Sub micelle로부터 구성되고 그것들은 콜로이드성 인산 칼슘으로 결합되고 있다. micelle의 표면에는 Ca이온에 대하여 안정한 χ-카제인이 많이 존재하고 한편 Ca이온에 대하여 불안정한 타의 카제인성분은 micelle내부에 존재하고 있다. micelle 표면에 존재하는 χ-카제인이 Ca이온을 많이 함유한 우유중에서 카제인 micelle를 안정하게 보존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
수중의 유기 오탁(汚濁)의 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유기물질과 무기물질이 산화제에 의해 산화될 경우의 산소 요구량을 말하고 오탁이 큰 만큼 높은 값이 된다. 측정방법에는 과망간산 갈륨법과 중크롬산 갈륨법이 있고 전자는 산화율은 낮지만 간편하고 환경기준, 폐수기준의 COD측정법으로 지정되고 있다.
-
영양가(nutritive value)
급여사료의 영양적 가치의 것. 기본적으로는 가축생산의 각기 목적으로서 각 동물을 사용한 대사시험등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에너지가를 나타내는 TDN(또는 ME)함량과 단백질가를 나타내는 CP(혹은 DCP)함량으로 나타내는 일이 많다.
-
RDP
반추 분해성 단백질
-
가결아미노산(non-essential amino acid)
비 필수아미노산이라고도 한다. 정상인 발육과 체내의 질소평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동물체내에 당질과 지질의 중간 대사산물과 다른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아라닌등이며, 단백질의 합성에는 가결아미노산도 필요하기 때문에 사료에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하
-
암모니아성질소(ammonium nitrogen)
유기성질소는 호기성균에 의해 무기성 질소로 변하지만 이것이 암모니아성질소이다. 총질소란 무기성, 유기성 질소의 총량으로 전자는 암모니아성, 아초산성, 초산성질소의 합이다. 유기성질소란 단백성, 비단백질성 질소의 합이다. 토양중 수중의 암모니아성 질소는 초화균(硝化菌)과 탈질세균의 작용으로 질소가스로서 공중으로 방출되고 제거된다.
-
유황(硫黃: Sulfar)
원소기호 S로 표현되는 무기원소. 메티오닌(methionine:유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한가지)등의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의 구성분. 소등의 반추가축에서는 제 1위내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각종의 유황원으로부터 황을 함유하는 아미노산이 합성되기 때문에 유황을 공급하면 함황아미노산의 결핍은 막을 수 있다.
-
인슐린(insulin)
췌장(膵臟)의 랑게르한스섬(Islets of Langerhans)의 β(베타)세포로부터 분비되는 펩티드호르몬(peptide hormone). 51개의 아미노산으로 되어 분자량은 약 5,700이지만 그 구성은 동물에 의해 다소 다르다. 당질(糖質), 지질(脂質) 및 단백질대사(蛋白質代謝)에 있어서 동화작용(同化作用)을 나타내고 물질대사(物質代謝)의 조절의 요(要)로서 결정되어 중요한 역할을 부과한다. 인슐린이 결핍하면 혈당(血糖)이 상승하여 요(尿)로 이행하여 당뇨병이 된다.
-
카제인(casein)
주요한 우유단백질로 우유중의 전단백질의 약 80%를 차지한다. 카제인은 탈지유를 산으로 pH4.6으로 하면 침전(沈澱)하는 우유단백질과 정의되고 있다. 카제인은 평일한 단백질이 아니고 주요한 4개의 성분 즉 αs1-, αs2-, β- 및 χ- 카제인으로부터 구성되고 있다. 모두가 인단백질이지만 인의 함유량은 다르고 결과적으로 Ca이온에 대한 안정성이 다르다. 또는 양친모성의 분자구조를 가진 상호작용하기 쉽고 우유중에서는 거대한 복합체(micelle)의 형으로 존재하고 있다.
-
SCP(single cell protein)
효모, 박테리아, 곰팡이등은 다량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의 단세포 그것을 SCP라고 한다. 펄프(pulp)폐액을 배양액으로 하여 얻어지는 (토루라)효모. 맥주(Beer)와 증류주 제조공정으로 얻어지는 맥주효모, 알콜효모등은 옛부터 사료로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석유의 부산물을 배양원료로서 제조된 탄화수소효모가 주목되지만 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실용화되기에는 미치지 않는다.
-
가수검사(added water test)
생유에 물이 혼입하든가 어떤가를 검사하는 방법으로서 빙점측정법 또는 침투압측정법가 있다. 생유의 빙점은 보통 -0.51∼ -0.53℃으로 0℃에 가까워 지는 만큼 가수율이 높은 것이 된다. 빙점측정법은 이 빙점강하를 측정하는 기기이다. 또는 빙점강하는 침투압을 나타내는 오스몰(osmol)농도와 연동하기 때문에 침투압측정법도 가수율을 산정할 수 있다.
-
황저(荒煮: fore warming)
연유와 분유의 제조공정에 있어서 사용되는 일본에서의 독특한 용어. 예열(豫熱)이라는 것이 일반적인데 농축을 하기전에 먼저 열을 가하는 것. 이 처리에 의해 살균과 동시에 단백질이 적당한 정도로 변성하고 칼슘(Ca)은 불용화하여 열 안정성이 증가한다. 또는 제품이 되고 나서 점도(粘度)의 증가를 막는다. 실제 예로서 95℃ 10분, 또는 120∼140℃ 24초가 있다.
-
알콜시험(alcohol test)
생유의 가열에 대한 저항성을 보기 위해 넓게 이용되고 있는 방법. 70%알콜과 생유를 등량(等量) 혼합하고 응고의 유무를 판정한다. 산도가 높은 생유와 Ca, Mg에 대한 인산, 구연산의 비가 이상적으로 회분평균이 내리고 생유 및 초유, 말기유등의 카세인(Casein:치즈등의 원료로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이 알콜의 탈수 작용에 의해 불안정으로 되고 응집(凝集)한다.
-
Imitation milk
전후의 식량난의 시대에 우유와 이질의 성분, 예를 들면 대두 단백질과 식물지방을 첨가한 우유로 유사한 우유를 말한다. 그러나 현재에서는 싼 물건의 모조품이라기보다도 부가가치가 있는 건강식품으로서의 이미지가 강하다.
-
인스턴트 분유(instant milk powder)
분무(噴霧)건조된 통상의 분유는 물에 녹으면 소위 반죽이 잘 안 되어 덩어리가 되어 쉽게 녹지 않는 성질이 있지만 이 성질을 바꿔 곧 녹을 수 있는 분유를 말한다. 1950년경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미세한 분유의 입자로 수분을 주어 습하게 하여 입자를 서로 결로, 단립화시켜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침투(浸透)하기 쉬운 구조로 한후 재차 건조하여 만들어 졌다. 예전부터는 탈지분유였지만 제조기술의 진보로 인해 고지방, 고유당의 분유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
호르몬(hormone)
기관과 조직 혹은 조직내의 특정의 세포에서 생산되고 혈액 등에 의해 다른 조직과 세포로 운반되고 그 세포의 형태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화학적정보전달물질(Chemical messeger). 극히 미량으로 효과를 나타낸다. 호르몬을 분비하는 대표적인 기관으로서 시상하부, 하수체, 난소, 정소 등이 알려져 있다.
-
H-Y항원(H-Y antigen, Histocompatibility Y antigen)
수컷에 있고 Y염색체상의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 그 존재는 유전적으로 균일한 근교계 마우스(쥐)의 피부이식실험으로 수컷에서부터 암컷에게 이식할 때의 거절 반응이 일어나는 것으로 수컷만이 가지는 항원단백질의 존재가 나타나게 된 것에 의한다. 일찌기 성의 결정에 관한 단백질이라고 생각되지만 최근 H-Y항원의 유전자와는 다른 정소결정의 유전자(SRY)가 Y염색체의 단완(短腕)부분에 존재하는 것이 증명되었다.
-
화이트빌(white veal)
생후 1주간 전후의 유용 숫송아지를 특수한 케이지모양의 스톨(stall)에 넣고 대용유만으로 약 3개월간 생체중 140∼160kg 혹은 8∼9주령으로 90kg전후까지 사양한 자우육. White veal(흰 송아지고기)라고 불리는 것은 유성분만의 급여로 철분이 부족하고 육의 색조가 거의 백색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고 부드럽고 다즙성이 풍부하고 밀크의 방향(芳香)이 있다.
-
안정기준가격
축산물의 시장가격에 대하여 그 변동을 억제하여 정책적으로 안정시키는 목적으로 설정된 가격의 것. [축산물의 가격 안정등에 관한 법률]에 기초를 두어 원료유, 지정유제품, 지정식육을 대상으로 하고, 그것들의 수급조작의 목표가격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가격과 따로 결정된 안정상위가격과의 가격대에 머물도록 축산진흥사업단이 매입, 매도등으로 수급조작을 행하고 있다.
-
안정상위가격
축산물의 시장가격에 대하여 정책적으로 그 변동을 억제 안정하게 하는 목적으로 설정되는 안정가격대의 최고 가격을 가르킨다. 원료유, 지정유제품, 지정 식육의 시장가격이 고등(高騰)할 경우 축산진흥사업단은 재고의 방출등을 행위 시장가격이 안정상위가격을 상회하지 않도록 조작한다.
-
안정지표가격
부족지불법에 기초를 두어 소비의 안정을 목적으로서 결정된 지정유제품(버터), 탈지분유, 전지가당연유, 탈지가당연유)의 가격 안정을 위한 지표이고 기준거래가격의 산정기초로도 된다. 각 유제품의 과거의 수급실세가격을 기초로 산정되고 축산진흥사업단은 이 안정지표가격에 가까이 하기 위해 유제품의 매입, 매도를 행한다.
-
상대거래(Cross trading)
물건을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1대1로 직접거래 교섭을 하는 것. 거래상대를 상호선택하여 거래수량과 시가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다수의 물건을 파는 사람과 다수의 사는 사람과의 사이에 행해지는 시장거래에 비교해서 공정함을 줄인다고 말할 수 있지만 현재에도 농가와 가축상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농가의 앞마당에서의 거래, 매각시장(뒷거래시장)에 있어서의 예약 상대 거래등 상대거래형태가 남아있다.
-
RVI
조사료가 지수
-
건물섭취량(dry matter intake: DMI)
사료의 수분은 변동하기 때문에 원물의 채식량에서는 객관적인 비교를 할 수 없다. 그래서 건물의 총섭취량이 중요한 지표가 된다. 건물섭취량은 가축의 요인(연령, 유기 및 임신등), 사료적인 요인, 환경적인 요인등에 의해 크게 영향을 준다. 건물섭취량을 대충이라도 파악하는 것이 영양설계에 있어서 불가결하다.
-
비타민 결핍증(vitamin dificent)
동물의 영양과 성장에 불가결의 미량영양소인 비타민의 결핍증. 많은 질병이 알려져 있지만 소에서는 소화관내 미생물에 의해 수용성 비타민과 지용성 비타민의 일부가 합성되기 때문에 결핍증으로서는 비타민 A, D, E 및 B1결핍증이 주질병이다.
-
능동면역(active immunity)
병원 미생물의 감염 혹은 백신과 톡소이드(toxoid: 화학적인 처리 또는 물리적 수단에 의하여 무독화된 독소, 항체의 산출을 촉진하여 특수한 면역을 얻기 위해 씀)의 투여에 의해 획득하는 면역. 감염으로부터 회복후 혹은 백신투여에 의해 면역을 획득하고 동물은 동일 질병에 걸리기 어려워진다.
-
Herd health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 우군 단위의 위생관리. 종래의 우개체의 질병치료와는 다르고 농가단위·우군단위로 번식과 영양상태의 검진, 유방염과 생산병의 예방, 예방접종등을 스케줄화하여 종합적으로 행하는 것.
-
가축전염병예방법(law of prevention for animal infectious disease)
가축의 전염병질병의 발생과 예방하여 만연(蔓延)을 방지하고 축산의 진흥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 법률. 질병의 예방, 만연방지, 수출입검역등의 방법을 세밀하게 정하고 있다. 그것에 위반하면 5만엔이하의 벌금(罰金)이든지 3년이하의 징역형으로 부과된다. 이 법률에 의해지정되고 있는 전염병을 [법정전염병]이라고 불리고 일본에서는 25종류의 지정이 있지만 그 중 14종류가 우병이다. 특히 법정전염병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질병이라도 축산경영상에서 문제가 되는 15종류의 질병(우병은 그중 6종류)이 [계출전염병]으로서 지정되고 있고 행정당국으로의 계출(屆出)의무가 부과되고 있다.
-
대사 프로파일 시험(metabolic profile test)
유우의 건강 상태와 영양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혈액검사. 소의 혈액성분은 급여사료등의 영양 섭취량 상태를 반영하고 있고 영양섭취와 유생산의 평형이 유지되고 있을 경우 일정한 범위내이 값을 나타내지만 이것들의 사이에 불균형이 있을 경우 그 정도에 반응하여 변동한다. 이것을 이용하여 혈액 성분의 검사로부터 에너지 대사, 단백질 대사, 부기질 대사등을 판정한다.
-
레자주린 시험(Resazurin test)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환원 시허과 동양의 생유 등의 세균학적 품질의 판정법. 시료 10ml를 시험관에 넣고 Resazurin시약 1ml를 가하여 교반하고 37℃의 항온조에서 1시간 보존하여 색조의 변화를 읽어 낸다. Resazurin은 우유를 파랗게 염색하지만 환원되면 자적색, 담홍색으로 변화하고 결국에는 퇴색하여 무색이 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세균수의 대략을 추정할 수 있다.
-
레자주린 시험(Resazurin test)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환원 시허과 동양의 생유 등의 세균학적 품질의 판정법. 시료 10ml를 시험관에 넣고 Resazurin시약 1ml를 가하여 교반하고 37℃의 항온조에서 1시간 보존하여 색조의 변화를 읽어 낸다. Resazurin은 우유를 파랗게 염색하지만 환원되면 자적색, 담홍색으로 변화하고 결국에는 퇴색하여 무색이 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세균수의 대략을 추정할 수 있다.
-
루멘균 면역(rumen microbiol immune response)
루멘 미생물은 소의 사료 소화와 영양에 관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질병을 예방하는 면역시스템의 발달에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이지만 최근 명확하게 되었다. 생후 자우(子牛)에게 루멘균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고 면역능력이 높아지고 병원균의 침입을 예방한다. 이와 같이 루멘균이 소의 건강상태의 보지 능력을 높이는 작용을 루멘균 면역이라고 부른다. 루멘균 면역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생(初生) 자우에게 양호한 루멘 미생물을 빨리 정착시키는 것이다.
-
루멘균 면역(rumen microbiol immune response)
루멘 미생물은 소의 사료 소화와 영양에 관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의 질병을 예방하는 면역시스템의 발달에 크게 관여하고 있는 것이지만 최근 명확하게 되었다. 생후 자우(子牛)에게 루멘균에 대한 항체가 형성되고 면역능력이 높아지고 병원균의 침입을 예방한다. 이와 같이 루멘균이 소의 건강상태의 보지 능력을 높이는 작용을 루멘균 면역이라고 부른다. 루멘균 면역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생(初生) 자우에게 양호한 루멘 미생물을 빨리 정착시키는 것이다.
-
면역(immunity)
병원미생물 등의 항원에 대한 동물의 저항성. 특이적 면역과 비특이적 면역이 있고 특이적 면역에는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이 있다. 모두 호중구와 림프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감염에 의해 획득한 감염후 면역과 백신투여에 의한 인공 면역을 능동면역, 모자면역은 수동면역이라고 한다.
-
바이옵시(Byopsy)= 생검
질병의 진단으로 위해서 장기의 작은 조각, 또는 체강, 골(骨)·척수(脊髓)강내의 내용액을 채취하여 검사하는 것. 생검이라고도 한다. 주로 착자법(窄刺法)이 이용되고 유우의 지방간의 진단에 유효하다.
-
방비제(mold inhibitor)
사료의 저장중과 혹은 꺼내는 직후의 사일리지 등에 온습도와의 관계로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막는 목적으로 첨가하는 것. 동물이 섭취한 경우의 안전성과 기호성에 대한 영향이 적은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프로피온산나트퓸과 프로피온산이 있다.
-
백신(vaccine)
균체, 아포(芽胞), 바이러스, 톡소이드(toxoid)를 함유하는 예방약. 백신을 접종하여 면역을 획득시키는 방법을 vaccination이라고도 한다. 사균, 사득, 생균, 생득의 백신이 있다. 생균 또는 생바이러스를 사용한 생백신을 항체의 산생이 빠르고 면역지속시간도 길다. 집단 다두사육이 된 현재 가축에서는 백신을 이용한 예방주사가 중요시 된다.
-
보액요법(fluid therapy)
하리등에 의한 탈수와 산염기 평형을 개선할 목적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보급하는 것. 수액이라고도 한다. 자우 하리증의 경우 경증예로는 경구보액을 행하고 중증예로는 정맥주사에 의한 보액을 병용(倂用)한다. 또 Ketosis 등의 경우 포도당 등의 영양보액을 행한다.
-
유두소독(dipping)
Ceatcup를 뗀 직후에 각 유두를 소독하는 것. 라노린과 글리세롤을 첨가한 요드폴제제와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항균제의 하나. 광범위한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 세균에 대하여 효과적임)제제가 이용된다. 유두에 부착한 세균을 살균하고 새로운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소독. 최근에는 착유전의 Predipping도 행해지고 있다. → Dipping.
-
유방색(udder colour)
유우의 건강 상태를 반영하는 유방표면의 색. 비유를 유지하기 위해 유방내에서는 대량의 혈액이 순환하고 있고 건강에 있어서 에너지 대사가 정상인 경우 유방은 충실하고 표면은 핑크(pink)색의 선명한 색채를 나타낸다. 그러나 질병우등에서는 유방의 혈액순환이 감퇴하고 유방표면은 창백해진다.
-
유방염 억제(mastitis control)
착유 위생과 올바른 착유 수순(手順), milking system의 평가, 건유기 및 비유기의 유방염대책등 종합적인 대책에 의해 유방염을 방제하는 방법·프로그램(program). 벌크(bulk)유의 체세포수를 정기적으로 검사하고 우군 중의 체세포수가 많은 착유우와 잠재성 유방염우를 적발하는 것. 또 유방염우에서는 병원세균의 종류를 명확하게 알고 방제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기본이 된다.
-
직장촉진(直腸觸診: rectal palpation)
소, 말 혹은 대형의 돼지에 있어서 직장벽을 통하여 손가락끝 내지는 손바닥을 이용하여 복강내의 기관을 촉진(觸診)하고 형상의 변화, 질병의 유무 등을 검사하는 방법. 특히 번식영역에서는 난소, 난관, 자궁 등의 내부 생식기의 관찰, 형태 이상 혹은 질환의 유무, 난포의 발육, 배란의 확인, 황체형성 과정의 관찰, 조기임신 진단, 채란, 배이식, 번식장해의 치료 등 폭 넓게 임상에 응용되고 있다. 이 기술은 기구를 요하지 않는 간편한 진단법이고 손가락 끝의 감각이 예민한 일본인에게 적당한 방법이다.
-
침지(浸漬: dipping)
Teat dipping는 유방염을 예방하기 위해서 유두를 소독액으로 침지(浸漬)하는 것. Dipping액에는 염소계 혹은 요드계등의 살균제와 피부의 보호제등이 함유되어 있다. dipping(post dipping)는 착유직후에 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최근은 착유 전에도 dipping(pre-dipping)를 행하게 되었다. 또 유방염에 감염하기 쉬운 건유(乾乳) 초기와 분만 직전에 행하는 경우도 있다.
-
캘리포니아 유방염시험(california mastitist test: CMT)
CMT시험으로 약칭되는 유방염의 검별시험법. 우유의 세포수(백혈구)와 pH변화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다. 1㎖중 세포수가 50만 이상으로 유방염유라고 가정한다. 일본의 실정에 맞쳐 그것을 개량한 것이 PL test이다.
-
가축보건위생소(animal health station)
가축의 위생 및 방역, 지정질병의 예방을 위한 진단, 지방적 특수질병의 조사등의 업무를 행하는 시설. 도도부현이 설치한다.
-
소 림프구 항원(BoLA: bovine lymphocyte antigens)
소에 있어서의 조직이식, 질병 저항성등 면역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형질을 지배하는 유전자가 집중하여 있는 염색체상의 영역으로 제 23번 염색체의 q13∼23에 위치한다. 림프구 항원은 Class Ⅰ과 Ⅱ로 나누어지고 각각으로부터 다수의 유전자와 DNA다형을 알 수 있고 그것들을 이용한 개체식별, 유방염등 백혈병과의 관계등이 연구되고 있다. BoLA는 사람과 다른 동물의 MHC와 동일 유전자군이다.
-
고사리 중독(bracken poisoning)
고사리의 대량섭취에 의해 반추동물이 범골수(汎骨髓)이라고 부리는 골수의 조혈기능저하를 일으키는 질병. 중증예로는 원기 소실, 식욕감퇴외 빈혈과 혈액응고부전을 보이고 예후불량이 되는 것이 많다. 고사리가 많은 방목장에서는 방목계시후 3∼4개월경부터 발생한다. 만성고사리중독으로서 방광종양에 의한 혈뇨증을 알 수 있다.
-
고사리(brackenfern)
다년생의 고사리류, 전국의 산야에서 햇빛이 좋은 곳에 군생하고 있다. 불이 난 때와 관리가 나쁜 초지에 침입하고 굵고 긴 지하경으로 영양번식을 한다. 경엽에 비타민 B를 파괴하는 효소를 함유한다. 이것을 채식한 우마는 영양불량과 후구 마비를 일으키는 것이 있다. 이 증상을 고사리 중독이라 부르고 과방목에서 발생하기 쉽다.
-
맥각(麥角)중독(ergotism)
곰팡이의 일종인 맥각균이 부착하여 있는 호밀, 연맥, 대맥등의 사료용 맥류를 채식한 소가 발증하는 중독. 급성증상은 마비, 경련, 실명등의 중추신경장해, 만성으로는 파행(跛行), 지단의 종창, 괴사, 하리, 유산등이 일어난다
-
중독(poisoning)
유독한 식물과 화학물질의 섭취에 의해 여러 가지의 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소의 중독은 협죽도, 침향(팥꽃나무과의 상록교목, 동인도 지방의 원산인데 향료로 이름남), 굴거리 나무(상록교목의 하나. 제주도, 울릉도에서 나며 관상용, 약제로도 씀), 고사리등의 유독식물, 초산염, Beettop, 양배추(cabbage), 흑반병, 맥적곰팡이, 요소등의 사료. 농약, Kumarin화합물등의 살서제등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
쿠마린 중독(kumarin poisoning)
살서제(殺鼠劑)의 Kumarin계 약제에 의한 중독. 들쥐구제용의 단자를 소가 먹어서 발증하는 것이 있다. 식욕 폐절(廢絶), 유연(流涎), 심장기능장해, 기립불능, 혈액응고부전에 의한 출혈등이 주징. 치료는 수혈(輸血), 수액(輸液), 강심·이뇨제, 비타민 K 및 B12의 투여. 발견이 늦을 경우 사망하는 것이 많다.
-
직장진단(rectal examination)
장관(腸管)의 이상, 신장(腎臟)과 방광(膀胱) 등의 검사에 중요한 진단방법이다. 직장검사법이라고도 한다. 수완(手腕)을 직장내에 삽입하고 직장점막을 통해서 복강(腹腔)내의 모든 장기의 변화를 만져 보고 진단한다. 임신진단, 난소와 자궁등의 이상에 의한 번식장해의 진단에도 이용된다.
-
(grasstetany)
돌연히 흥분(興奮), 과민 및 경련등의 신경증상을 보이는 질병. 중도의 저마그네슘(Mg) 혈증(血症)과 중등(中等)정도의 저 칼슘혈증을 특징으로 하고 중증 예로는 전신강직하고 사망한다. 토양중에 Mg이 적은 지방에 발생한다. 제 1위내의 암모니아가 많으면 사료중에 Mg이 있더라도 호흡되지 않고 저Mg혈증을 일으키는 일이 있다. 치료는 Mg제의 주사, Mg 결핍지대에서의 예방대책으로서는 Mg과 칼슘(Ca)의 시비(施肥) 또는 급여가 있다.
-
Crown rust
rye grass류와 김의털(fescue)류에 감염한 식물병해. 발생은 기온의 영향을 받고 20℃이상에서 많아지고 주로 잎으로 감염한다. 처음은 적미를 띠는 작은 얼룩이 생긴다. 다음에 부풀어 오르고 이윽고 표피가 갈라지고 가운데서부터 오렌지색의 분(하포자)이 나온다. 잎은 곧 고사한다. 수량을 현저하게 감소시킨다. 저항성 품종이 육종되고 있다.
-
가축해충(injurious insect)
가축의 건강과 발육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부기생충. 위생해충이라고도 부른다. 방목우에서는
등에, 파리매, 침파리등의 혼충으로 흡혈되기 때문에 증체와 발육에 악영향이 있고 또는 우
백혈병등의 질병의 전파에도 관여한다. 등에는 초지, 임지, 습지로부터 침파리는 소의 분, 파
리매는 청류(淸流)로부터 발생한다. 방제법으로는 가축의 몸으로의 약제산포, 분제처리법등
이 있다.
-
간농양(liver abscess)
괴사간균의 감염에 의해 간장에 농을 형성하는 질병. 농후사료를 다급되고 있는 비육우에서 제 1위에 반추·부전각화증(Rumen parakeratosis)과 제 1위염을 병발하고 있는 것이 많다. 간장에 다수의 혹은 거대한 농을 가지고 있는 소에서는 식욕부진외 영양저하, 황달(黃疸) 및 빈혈등의 증상을 보인다. 예방법으로서는 농후사료의 증량을 삼가하고 조사료를 다급하는 것.
-
간질증(肝蛭症: fascioliasis)
소와 면양의 간장에 기생하는 간질에 의해서 일어나는 기생충병. 간질의 성충은 목엽상, 체장2∼4cm로 간장내 담관(膽管)에 기생한다. 분과 함께 배설된 충란은 고운명주우렁이를 매개하여 감염자충으로 되고 수변의 풀등에 부착한다. 예방법으로서는 수변(水邊)의 풀과 볏짚은 충분히 건조시켜 급여하는 것. 또 정신적인 분변검사와 구충의 힘쓴다.
-
감염(증)(infection (disease)
종종 미생물이 생체에 투입하고 증식하여 투입국소로 병리적 변화를 나타내는 상태(질병). 감염의 결과 숙주가 증상을 나타내는 상태를 발병 또는 감염하고도 발병으로 이르지 않는 경우를 불현성 감염이라고 한다. 전신 감염과 국소감염이 있고 미생물의 종류에 의해 특정의 경로로 감염된다. 또 발병으로는 숙주의 건강상태와 면역기능이 관련하고 있다.
-
개선증(疥癬症: scabies disease)
진드기류, 개선충의 기생에 의해 일어나는 전염성의 질병. 소에서는 주로 밀모(密毛)부의 표피·안쪽다리·유방·구간(軀幹)등에 기생하는 흡인개선충, 미근, 항문, 항문주위, 사지등에 기생하는 식피개선충이 있다. 사사(舍飼)에서 보살핌이 나쁜 소에게 많다. 심한 가려움, 표피의 탈락, 피부의 비후(肥厚)등의 증상을 보인다. 개선충을 제거하면 용이하게 치료한다.
-
건유기유방염(dry period mastitis)
이상하게 알아차리지 못하고 건유한 경우와 건유 실의(失宜)의 경우에 일어나는 건유기의 유방염. 건유초기의 2∼3주는 비유기보다도 세균에서 감염하지 쉽기 때문에 건유중에 새롭게 감염하는 것이 많다. 발견이 늦은 경우 이미 만성화하고 있는 것도 있다. 조기에 발견하면 치료효과가 있다. 건유기간중의 유방관리가 중요하다.
-
관절염(arthritis)
좌상(挫傷)과 창상(創傷)으로부터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관절의 염증. 사지이 관절 특히 비절과 제관부에 제병으로부터 염증이 파급하여 일어난다. 급성기에는 관절의 종양, 동 통, 열감이 현명하고 파행(跛行)을 도모한다. 급성기에는 안정하게 유지하고 항생물질투여와 냉습포를 행한다. 만성에 이행하면 예후불량이 되는 일이 많다.
-
괴저성 유방염(壞疽性 乳房炎: gangrenous mastitis)
대장균등의 감염으로 인해 일어나는 급성유방염. 고열을 수반하고 중독된 증상을 보이고 패혈증 때문에 기립불능에 빠질 수가 있다. 유방은 종창과 동통(疼痛)외 냉감과 청자색을 도모하여 괴사하고 유즙은 초코렛색이 된다. 경과가 급성이고 치료에 의해 생존하여도 이환 유방은 훙에 탈락한다. 사망 또는 폐용이 되는 일이 많다.
-
구루병(rickets)
구루병은 유우에게 발생하고 뼈의 석회침착장해 때문에 장골골단의 확장. 근골의 흉골접속단의 비후 및 사지의 만곡등을 보이는 질병. 골연증은 성숙한 비유우에게 보이고 골다공증과 석회침착부전 때문에 파행(跛行)·보행곤란, 골의 변형, 호흡장애, 채식과 저작곤란등을 보이는 질병. 모든 원인은 사료중 인부족과 칼슘과잉이지만 비타민 D부족의 경우도 있다. 예방대책으로서는 Ca, P의 적정급여, 일광욕, 장기의 포유, 청초급여(초식동물)가 좋으며 기타 대증(對症)요법을 한다.
-
균핵병(sclerotinia root rot)
대부분의 화본과, 두과 목초를 침해하는 식물병해. 전국각지에 발생하지만 특히 적설지대에서의 발생이 많고 피해도 현저하다. 줄기와 지하부에 병징(病徵)이 발생한다. 우선 시들고 전체가 회색으로 되고 부패하고 청각채상태이 된다. 포장에서 발생한 경우 처음은 흰 면과 같은 균사(菌絲)로 덮이고 이윽고 그 위에 검은 소형의 균핵을 형성한다.
-
급성고창증(acutebloat, ruminal tympany)
제1위내에 급격하게 대량의 가스가 저류하고 배출되지 않고 복부가 팽창(膨脹)한 상태. 원인은 두과 목초의 급격한 대량채식, 변패곡류의 급여등에 의한 이상발효로 발견과 처치가 늦어지면 팽대한 제 1위의 압박에 의한 호흡장애 때문에 사망하는 것이 많다. 위카테터(catheter)를 이용하여 제 1위내의 가스를 배제(排除)하거나 포말(泡沫)성 고창증의 경우는 유지와 각종의 계면(界面) 활성제등의 소포제(消泡劑)를 투여한다.
-
기립불능증(symptomatic impossible rise)
기립할 수 없는 상태의 총칭·증후군명. 소에서는 분만전후에 발생하는 것이 많고 혈중칼슘농도의 저하외 지방간등의 간장장해, 난산에 의한 산도손상, 병원균에 의한 급성감염증, 활주전도에 의한 사지의 골절과 탈구(脫臼), 근육의 마비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예방대책으로서는 분만저의 비타민 D3주사와 직후의 칼슘제경구투여외 임신우에서는 과비를 피하는 것과 개체관리에 힘쓴다.
-
기생충(병)[Parasite (disease)]
가축에 기생하는 편형동물, 원형동물, 환경동물, 원생동물 및 절족동물. 소에서는 편형동물에 의한 간질증. 원형동물에 의한 폐충증이 대표적. 원생동물(피로플라즈마(piroplasma)등)에 의한 것은 전염병. 절족동물(개선(疥癬)등)에 의한 것은 피부병으로서 취급된다. 환형동물(거머리류)에 의한 기생충병도 있다.
-
기종저(氣腫疽: blackleg)
기종저균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법정전염병. 돌연의 발열을 수반하고 피하와 근육의 두꺼운 부분에 기종이 확대한다. 부종부를 누루면 특유의 염발음(捻髮音)을 보인다. 발병후 12∼24시간에 사망하는 것이 많다. 감염초기이면 항생물질투여는 효과가 있고 백신접종이 가장 유효한 예방대책이다. 현재에서는 산발적으로 발생이 보이는 것에 불과하지만 한번 발생한 장소에서는 아포(芽胞)가 토양중에 생존하여 상재 오염지역이 된다.
-
난소낭종(ovarian cyst)
난포가 직경2.5cm이하의 크기로 발육하여 배란하지 않고 낭종난포로 이행하고 오래 존속하는 난포낭종과 난포벽이 황체화한 황체낭종으로 분류된다. 난포낭종의 발생빈도는 황체 낭종의 그것보다 높고 난소낭종이라 하면 난포낭종을 가르키는 것이 많다. 더욱 황체낭종은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난포낭종으로 병발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
난소발육부전(Ovarian hypoplasia)
성성숙에 달한 시기(생후12개월)를 지나더라도 발정이 발현하지 않고 난소는 적고 난포의 발육, 배란 및 황체의 형성이 인지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원인은 하수체전엽의 성선자극호르몬 분비기능저하에 의하지만 염색체이상으로 인한 선천성의 것도 있다. 치료는 난포발육장해와 같지만 선천성의 것으로는 치료의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
-
난포낭종(follicular cyst)
난소에 난포가 발육하고 직경 2.5cm이상의 크기에 달하지만 배란하지 않고 낭종난포로 이행하여 오래 존속하는 것을 말한다. 낭종난포가 1개 또는 그것 이상존재하고 소난포가 다수존재하는 것도 있다. 증상은 무발정의 것이 많다. 사료의 부적정 급여, 스트레스의 유전적 요인에 의한다. 치료에는 배란 유기호르몬제제의 투여가 행해지고 있다.
-
난포발육장해(Ovarian Subfuction)
난소발육부전. 난소정지 및 난소위축을 일괄하여 말한다. 난소에 난포가 완전히 발육하지 않은가 어느 정도까지 밖에 발육하지 않고 무발정의 상태가 지속된다. 원인은 하수체 전엽의 성선자극호르몬분비기능저하에 의하지만 영양환경, 비유, 유전등의 요인, 전신성 질환이 관여하고 있다. 치료로서는 사양관리의 개선과 병행하여 호르몬요법이 행해지고 있다.
-
내성균(resistant bacteria)
약제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세균. 약제 내성균이라고도 한다. 동시에 2종류이상의 약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세균을 다제 내성균이라고 한다. 항생물질은 대량·장기간 연용할 경우등에 그 약제에 대해서 내균성이 되지만 약제와 세균의 종류에 의해 내성획득의 난이는 다르다. 페니실린과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lycin)은 내성균이 생기기 쉽다.
-
농양(膿瘍: abscess)
한국성(限局性)의 화농성 염증 때문에 국소(局所)의 조직이 융해(融解)하여 농이 모인 상태. 체포의 농양(膿瘍)은 외과적으로 절개하여 배농하는 것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치료한다. 그러나 체내의 폐(肺), 위벽(胃壁), 간장(肝臟)등에 생긴 농양(膿瘍)은 발견이 어렵고 치료도 곤란하여 예후는 불량
-
단백질요(protein uria)
단백질을 함유한 오줌(尿). 요중의 단백질은 주로 혈청유래의 알부민(albumin)과 글로블린(globulin)이고 정상인 요에는 미량의 단백질 밖에 함유되어 있지 않지만 통상의 검사로 단백요가 인정되는 경우는 대부분이 병적. 위장질환외 심장질환, 발열을 수반하는 감염증, 여러 가지의 혈액병등이 있다.
-
당뇨병(糖尿病: diabetes)
오줌중에 포도당이 나오는 질병. 혈중의 포도당 농도를 조절하고 있는 췌장(膵臟), 부신(副腎)등의 이상으로 혈당(血糖)이 상승한 경우 혹은 신장의 이상으로도 당뇨가 나온다. 소에서는 췌장, 신장등의 질병으로 당뇨가 나오는 것이 많다.
-
대사병(metabolism disorder)
탄수화물, 지질 및 무기질의 대사 장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의 증후군 명. 유우에서는 분만전후에 다발하며 과비우 증후군, 유열, Ketosis, 제 4위 변위등 또한 비육우에서는 지방괴사증, 요석증과 제엽염등이 포함된다. 생산병과 유사한 증후군 명.
-
대장균 군(coliform bacteria)
식품 미생물학과 위생 미생물학에서는 호기 또는 통성 혐기성균으로 무아포간균이고 유당을 분해하고 가스를 생성하는 그람음성균(Gram-negative cell)을 대장균군으로 정의한다. 이 그룹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외 Klebsiella, Citrobacter, Enterobacter등을 포함한다. 본균이 식품으로부터 검출될 때는 식품이 비위생적으로 취급되는 것이 의심되므로 식품의 위생지표균으로 되고 있다.
-
대장균증(colibacillosis)
대장균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고 하리외 패혈증, 수막염, 관절염등을 보이는 질병. 특히 하리는 생후 1주령이내의 자우에게 많다. 하리의 치료는 항생물질의 주사와 경구투여외 대증요법으로서 탈수와 Acidosis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액요법을 행한다. 예방으로서는 적절한 위생관리와 스트레스의 경감외에 대장균성 하리의 예방을 목적으로 한 백신이 있다.
-
독초류(poisonous plants)
유독한 물질을 함유한 식물을 말한다. 가축은 이것들을 보통은 채식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춘(早春)의 방목시와 과방목의 상태에서 때로는 채식하고 중독을 일으키는 것이 있다. 일본에서는 고사리중독이 대표적이다. 또 두과 목초에는 맹독(猛毒)한 청산(靑酸) 화합물과 알칼로이드(alkaloid: 식물 속에 있는 질소를 포함한 염기성 유기화합물의 한 무리. 코카인, 모르핀, 퀴닌따위)를 함유한 것도 있다. 어느 것이나 육종에 의해 무독한 품종이 만들어지고 있다.
-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
렙토스피라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인축공통 전염병. 증상을 보이지 않는 불현성 감염도 많고 급성형으로는 발열을 수반하는 패혈증으로 되고 식욕 부진, 호흡 곤란, 황달(黃疸)을 가지는 용혈성 빈혈이 특징이고 유산도 일으킨다. 치료는 항생물질(streptomycin: 흙 속의 방선균에서 취한 항생물질의 일종. 페니실린이 듣지 않는 티푸스·이질·결핵등에 들음)의 투여가 효과적이고 예방을 위한 백신도 있다.
-
렙토스피라병(leptospirosis)
렙토스피라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인축공통 전염병. 증상을 보이지 않는 불현성 감염도 많고 급성형으로는 발열을 수반하는 패혈증으로 되고 식욕 부진, 호흡 곤란, 황달(黃疸)을 가지는 용혈성 빈혈이 특징이고 유산도 일으킨다. 치료는 항생물질(streptomycin: 흙 속의 방선균에서 취한 항생물질의 일종. 페니실린이 듣지 않는 티푸스·이질·결핵등에 들음)의 투여가 효과적이고 예방을 위한 백신도 있다.
-
리스테리아증(listeriosis)
리스테리아균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소, 양, 산양의 화농성 뇌염을 주징으로 한 질병. 선회운동(旋回運動), 회전운동과 기립불능등의 평형감각의 실조외 사경(斜頸), 유연(流涎), 교근(咬筋)마비등의 증상을 보인다. 소에서는 조기에 발생된 경우 항생물질투여는 효과가 있다. pH상승등의 사일레지품질 저하에 의해 본균이 증식하는 것이 있으므로 사일로의 관리등에 주의한다.
-
만성고창증(chronic bloating)
소의 제 1위에 반복하여 가스가 축적하는 질병. 제 1·2·3, 제 4위 및 장등의 모두 질환이 계속 발생한다. 가스의 조성은 탄산가스보다 메탄가스가 많다. 유웅(乳雄) 비육우와 조사료가 극도로 적고 박류와 농후사료 다급농가의 유우에 많다. 고창증을 반복할 때는 사료급여의 개선이 필요하다.
-
만성자궁내막염(chronic endometritis)
자궁 내막의 만성적인 염증. 급성 내막염은 자궁외구에서 다량의 점액을 누출하고 농즙 때문에 백탁(白濁)한 점액을 배출하는 것이 많지만 만성적인 자궁 내막염은 점액의 이상을 수반하지 않는 잠재성 증상을 보인다. 일본과 같은 사육형태에서는 급성보다도 만성의 경과를 가져오는 것이 많다. 조기이면 자궁 세정외에 항생물질 등의 약액(藥液) 주입에 의해 치유한다. 더욱 잠재성의 만성 자궁 내막염은 Repeat breeder(저수태)의 원인이 된다.
-
맹장고창(盲腸鼓脹: tympany of cecum)
맹장내에 가스가 이상하게 저류하고 급성 소화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맹장의 확장·변위 때문에 돌연의 식욕 폐절(廢絶), 배뇨량과 유량의 감소외에 염전(捻轉)을 수반할 경우는 산통(疝痛) 증상을 보인다. 많은 농후사료, 박류, 수분함량이 많은 Corn silage의 과잉급여등이 원인. 경증의 예로는 내과적 약물 요법으로 치유하지만 염전(捻轉)을 수반하는 중증의 예에서는 외과적 수술이 필요하다.
-
무유증(agalactia)
분만후에도 불구하고 비유를 개시하지 않는 것. 원인은 유전, 호르몬 실조(失調), 산후질병의 영향, 미경산 혹은 산전유방염, 유두협착, 조·유산등 다수이지만 그 원인과 적절한 처지·치료에 의해서 회복하는 것도 있다. 유방에 문제가 없고 전신적 질병 때문에 무유증을 보이는 것은 예후(豫後) 불량이 되는 것이 많다.
-
무정액증(aspermia, aspermatism)
성욕, 교배동작이 정상이고 사정의 동작은 있더라도 사정되지 않는 것. 본증의 원인으로서는 선천적으로는 정관의 폐쇄와 부생식선의 발육부전등이고 후천적으로는 정낭선염과 전립선염등이 있다.
-
무정자증(azoospermia)
성욕 및 교배동작은 정상이고 사정을 하지만 정액중에 정자가 완전히 인정되지 않는 증상. 원인으로서는 잠재(潛在) 정소와 정소발육부전에 의한 조정장해(원발성 무정자증) 및 정소상체와 정관등의 선천적 또는 후천적 원인에 의한 정자의 통과장해(폐쇄성 무정자증)등이다.
영양장해에 의한 정소 위축도 본증의 원인이 되는 것이 있다.
-
문고병(紋枯病: sheath blight)
옥수수를 포함한 화본과 식물에게 많이 감염되는 식물병해. 20℃이상의 고온에서 발생하기 쉽다. 지표에서 월동한 균핵으로 줄기와 하위의 잎에 감염되고 상위의 잎으로 퍼져나간다. 우선 암녹색으로 작은판 모양의 수침상(水浸狀)의 얼룩무늬가 생긴다. 점점 커지고 퇴색하여 회백색이 되고 건조해진다. 이윽고 엷은 갈색의 2mm전후의 균핵(菌核)이 생긴다.
-
미경산우 유방염(heifer mastitis)
방목중의 미경산우와 건유기의 유우에게 다발하여 온 하계 유방염중 미경산우의 유방염은 하계에 한하지 않고 동계를 포함하고 연간을 통해서 발생한다. 주요 증상은 유방의 종창(腫脹)과 내부의 경결( 結)이고 세게 짜면 유두구로부터 농즙을 배설하는 수가 있다. 임상적으로 치유하여도 무유증이 되는 것이 많다.
-
바이러스(virus)
세균보다 더욱 작고 리보핵산이라든가 데옥시리보핵산의 어느쪽이든 한쪽의 핵산과 단백질로부터 된 미생물. 효소의 결핍, 증식은 숙주세포에 존재하고 있다. 바이러스 감염·증식에 의해 일으키는 질병을 바이러스 병이라고 한다. 치료약은 거의 없기 때문에 예방접종외 발증우의 격리와 도살처분등의 방역대책이 주체가 된다.
-
발꿉바닥의 부란(蹄底腐爛: sole rot)
발꿉 바닥 후반의 각질이 부란(腐爛)·융해(融解)하여 발꿉바닥이 작은 구멍이 생길 경우에 파행(跛行)을 보이는 질병. 후지, 특히 외측발꿉에 많다. 또 장령기(壯齡期)이후의 사사(舍飼)의 소에게 많다. 제(발꿉)병중에는 지간부란(趾間腐爛)과 함께 발생이 많다.
-
방사선균병(Actinomycosis, lumpy jaw)
소의 구내점막의 손상과 충치등으로부터 하악골, 상악골, 안면등의 골조직에 화농소(化膿所)을 만드는 미생물병. 경상으로는 페니실린등의 항균제가 효과가 있다.
-
방사선균병(Actinomycosis, lumpy jaw)
소의 구내점막의 손상과 충치등으로부터 하악골, 상악골, 안면등의 골조직에 화농소(化膿所)을 만드는 미생물병. 경상으로는 페니실린등의 항균제가 효과가 있다.
-
방선균증: 엑티노미세스증(actinomycosis)
actinomyces·보비스균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고 소의 하악부 등에 종유(腫瘤), 농양(膿瘍), 골염 및 화농성 육아조직이 보이는 만성 질환. 항생물질요법과 적절한 외과요법을 편성한 경우 치유율은 높지만 채식곤란으로 예후불량이 되는 것도 있다.
-
백근증(white muscle disease)
비타민 E와 세레늄(Se)의 결핍에 의해 어린 말·어린 송아지의 운동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토양중의 세레늄결핍지대(북해도의 일부)의 어린 말과 어린 송아지에게 발생한다. 비타민E와 세레늄이 결핍하면 근육의 변성과 위축(萎縮)에 의한 운동장해가 일어난다.
-
백내장(白內障: cataract)
눈의 수정체가 희고 혼탁한 상태. 원인에 의해 외상성(外傷性), 전신병성, 말에서는 월맹성등으로 구별되고 있다. 소에서는 외상성의 것이 많다. 드물게 선천성의 것도 있다. 외상성의 것은 점차로 소실하는 것이 있다. 약치료법은 없다.
-
백리(white scour)
회백색 내지는 황백색의 하리를 보이는 질병. 포유중의 자우에게 볼 수 있고 원인은 다기(多岐)에 미치지만 포유량 과다에 의한 유지방의 소화불량의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우유의 급여를 중지하고 경구보액제를 주면 치유된다. 치료는 하리증과 동일. 유방염유를 급여한 경우도 백리가 되는 것이 있고 주의를 요한다.
-
법정전염병(infections disease designated law)
가축의 전염병의 발생을 예방하고 그 만연(蔓延)를 방지하기 위해서 시행되고 있는 것이 가축전염병 예방법이다. 이 법률에는 가축전염병의 대상이 되는 가축도 정해져 있다. 일본의 가축 법정전염병은 25종 그중 소는 14종이다. 따라서 법정전염병의 환축과 의사(비슷하여 구별하기 어려운 것) 환축을 진단 혹은 검안(檢案)한 수의사 또는 그 소유자는 바로 시동 면장에게 보고하는 것이 의무시되고 있다. 또 기타의 전염병 15종(그 중 소는 6종)은 행정당국에 보고할 의무가 있는 전염병이 있고 이것들은 계출(신고)전염병이라고 불린다.
-
봉소염(phlegmone)
창상(創傷)으로부터 세균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급성의 피하조직의 염증. 근막(筋膜)하 혹은 근육사이의 결합조직에 미치는 것도 있다. 사지에 많고 환부의 종창, 열, 동통(疼痛), 부종(浮腫)을 수반한다. 발열, 식욕부진, 보행곤란을 보이는 것이 많다. 초기에는 냉습포와 항균성물질의 전신투여를 행한다. 근간까지 염증이 미치면 예후(豫後)는 불량하게 된다.
-
부검(autopsy)
병인(病因) 혹은 사인(死因)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사망후 혹은 도살후 그 개체를 해부하고 병적 변화를 육안적으로 검사·관찰하는 것. 병리해부라고도 한다.
-
블루셀라병(brucellosis)
블루셀라균, 특히 블루셀라·아보타스균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법정 전염병. 인축 공통 전
염병이기 때문에 가축 전염병 예방법에 기초를 두고 정기적 검사가 행해지고 있다. 본병에
서는 전구(前驅) 증상과 발열을 수반하는 것 없이 임신 6∼8개월에 유산이 일어나고 다른
소에게도 속발(續發)하는 것이 특징.
-
빈혈(anemia)
형액중의 적혈구수와 혈색소량(헤모글로빈)이 감소하는 것. 빈혈의 정도는 적혈구수와 혈구
용적을 계측하여 조사하지만 증상으로서는 안점각과 질점막(가시점막)의 창백(蒼白)화를 보
인다. 영양장해외에 대량출혈, 피로플라즈마원충의 기생, 고사리중독등 수 많은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
-
산성증(Acidosis)
소에게 농후사료를 다량 급여할 경우 제1위의 미생물이 대응하지 않고 액과 혈액중 pH가 저하한 상태를 말한다. 전관(專管) 밀기울과 대맥등을 몰래 훔쳐먹을(盜食) 경우등도 급성 acidosis가 되는 일이 있다. 만성적으로 acidosis의 상태가 계속되면 비육우에서는 간에 고름과 농이 많아진다. 예방법은 조섬유를 충분히 주는 것. 균형이 잡힌 적당량의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다.
-
산성증(Acidosis)
소에게 농후사료를 다량 급여할 경우 제1위의 미생물이 대응하지 않고 액과 혈액중 pH가 저하한 상태를 말한다. 전관(專管) 밀기울과 대맥등을 몰래 훔쳐먹을(盜食) 경우등도 급성 acidosis가 되는 일이 있다. 만성적으로 acidosis의 상태가 계속되면 비육우에서는 간에 고름과 농이 많아진다. 예방법은 조섬유를 충분히 주는 것. 균형이 잡힌 적당량의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다.
-
소백혈구 점착불완증(bovine leukocyte adhesion deficiency: BLAD)
홀스타인(Holstein)종자우에게 볼 수 있는 전염병. 혈액중의 백혈구수는 정상의 10∼20배로 되지만 호중구가 체내로 침입한 세균의 부위로 집합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의 미생물로 감염되기 쉬워지는 것. 생후 1∼5개월에서의 발증이 많고, 발육불량, 원기·식욕의 감퇴외 구강내 절치와 구치의 탈락, 치조부의 괴양과 치주위염을 볼 수 있다. 혈통(Blood)의 유전자를 가진 종자우가 공표되고 있다.
-
소백혈증(bovine leukemia)
림프계 세포의 이상증식에 의해 일어나는 악성종양, 혈액중 백혈구수의 증가와 체내의 각 장기로 종양을 만드는 것이 특징. 유행형과 산발형이 있고 유행형은 소백혈병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고 흡혈곤충이 매개하지만 산발형의 원인은 불명. 성우(성우형)에 많지만 생후 6개월전의 자우(자우형)에게도 볼 수 있고 또는 흉선(흉선형)과 피부(피부형)에 병변을 일으키는 것도 있다. 현재의 경우 유효한 치료법은 없다.
-
쇠파리 유충증(bovine hypodermosis)
겨울부터 이른 여름에 발생하는 쇠파리유충의 피부기생이 원인이다. 배선(등선)의 양측과 요부(腰部)등의 피부에 종기가 생겨 그 개구부로부터 농즙을 배설한다. → 계출(屆出) 전염병.
-
수송열 증후군(shipping fever complex)
소의 장거리 수송에 의한 피로, 스트레스(stress) 등에서 오는 급성 호흡기 질환. 특히 이유직후의 자우의 수송후에 발생하기 쉽다. 소호흡기 질병군(bovine respiratory disease)라고도 한다.
-
아밀로이드(유사전분체: amyloidosis)
아밀로이드 물질이 체내의 각 장기에 침착되고 여러 가지 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5세 이상의 소에게 발생하고 관절염과 유방염등의 만성화농성 질환으로 계속 발전하는 것도 많다. 소화관과 신장으로의 아밀로이드 침착 때문에 식욕부진, 만성설사와 부종을 나타내어 여윈다. 유효한 치료법과 예방법은 없다.
-
아밀로이드(유사전분체: amyloidosis)
아밀로이드 물질이 체내의 각 장기에 침착되고 여러 가지 장해를 일으키는 질병. 5세 이상의 소에게 발생하고 관절염과 유방염등의 만성화농성 질환으로 계속 발전하는 것도 많다. 소화관과 신장으로의 아밀로이드 침착 때문에 식욕부진, 만성설사와 부종을 나타내어 여윈다. 유효한 치료법과 예방법은 없다.
-
아카바네병(Akabane disease)
아카바네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유산, 사산 및 선천성 신체이상과 기형을 보이는 질병. 모우는 증상을 나타나지 않지만, 자우에서는 사지의 관절 만곡외 척추의 만곡, 사경등을 보이는 내수두증(대뇌결손증)을 수반하는 것도 있다. 예방법은 임신우와 임신전의 소에게 백신을 주사는 것. 법정 전염병.
-
알레르기(allergy)
어떤 종의 물질(항원)에 접한 적이 있는 동물이 일정기간을 경과하고 나서 두 번째 그 항원에 접하면 과민하게 반응하여 병적 상태를 나타내는 반응. 과민증이라고도 한다. 증상은 발열, 눈물, 콧물, 발진, 관절통등외에 전신적인 쇼크(shock)증상도 있다. 재감작(再感作)을 받은 직후에 발생하는 즉시형 알레르기와 수시간부터 수일후에 발생하는 지연형 알레르기가 있다.
-
열사병(sunstroke)
고온다습등의 환경하에서 체온의 방산(放散)이 지장을 주는 것에 의해 체온이 이상하게 상승하고 여러 가지의 증상을 보이는 증후군. 무더운 하계에 41℃ 이상의 고온이 되고 호흡촉박·유연(流涎)하여 괴로워한다. 급성의 예는 낮보다 저녁쪽이 많고 고비유·농후사료의 다급의 유우에게 발증하기 쉽다. 우사의 통풍·환기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오제스키병(aujeszky's diseease)
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virus)·1형(오제스키병 바이러스), 가성( 性) 광견병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전염병. 일본에서는 돈(豚)병으로서 취급되는 일이 많지만 돈 이외에도 소와 개의 전염병에도 있다. 소의 오제스키병의 특징적인 증상은 소심증(搔 症)과 복통등의 격렬한 신경증상을 도모하여 급사한다. 치료법은 없다. 예방으로서는 전염돈과 전염우로부터 소와 사료등을 격리하는 것.
-
요네병(juhne's disease)
파라결핵균(요네균)의 감염에 의해서 일어나는 소, 면양, 산양의 법정 전염병. 주로 유령기에 감염되고 발증 연령은 3∼5세에 많다. 분만후에 증상을 보이는 것이 많고 초기에는 식욕부진과 연변, 첨차로 만성 완고한 하리를 되풀이 하게된다. 환축(患畜)의 격리·도태가 중요하지만 무증상 보균우도 많다.
-
요독증(uremia)
배뇨장해에 의해 일어나는 일종의 중독. 신염(腎炎)에 의한 뇨 분비의 정체(停滯)로부터 일어나는 진성요독증. 요결석과 방광마비에 의한 요폐(尿閉)로부터 일어나는 가성요독증이 있다. 요도결석에 의한 것은 외과적으로 결석을 제거하면 치유된다. 유웅비육우에서 요도 결석에 의한 것이 많지만 유용자우(乳用雌牛)에는 적다.
-
요석증(urolithiasis)
요중의 무기염류가 요결석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요도 폐쇄와 배뇨 장해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 소의 요석은 인산 마그네슘이 많고 기타의 인산염의 경우도 있다. 경증의 예로는 제모 선단부에 백색 내지 회갈색의 입자를 부착(付着)하고 중증의 예로는 발한, 고민(苦悶), 신음(呻吟)등을 보이고 오줌이 자주 나오는 것과 오줌이 잘 안나오게 되고 요폐(尿閉)와 방광 파열을 초래한다. 비육우에서는 충분한 조사료와 물을 급여, 조기 발견으로 치료가 중요.
-
요석증(urolithiasis)
요중의 무기염류가 요결석을 형성하고 이것에 의해 요도 폐쇄와 배뇨 장해등의 증상을 보이는 질병. 소의 요석은 인산 마그네슘이 많고 기타의 인산염의 경우도 있다. 경증의 예로는 제모 선단부에 백색 내지 회갈색의 입자를 부착(付着)하고 중증의 예로는 발한, 고민(苦悶), 신음(呻吟)등을 보이고 오줌이 자주 나오는 것과 오줌이 잘 안나오게 되고 요폐(尿閉)와 방광 파열을 초래한다. 비육우에서는 충분한 조사료와 물을 급여, 조기 발견으로 치료가 중요.
-
요질(尿膣: urovagina)
질이 이완하여 요가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질강내에 저류하는 것. 노령우, 난산경험우, 등선이 완만한 소, 영양저하우에게 볼 수 있다. 운동 부족의 고비유우에도 일어나기 쉽다. 요질우에서는 수태율이 저하한다. 노령우 이외는 영양개선과 충분한 운동에 의해 회복하는 것도 있다.
-
용혈성황달(hemolytic jaundice)
적혈구의 용혈에 의해 혈소계의 붕괴산물이 이상하게 산생(産生)될 때에 일어나는 황달(黃疸). 피로플라즈마병, 산욕성 혈색소 요증 등의 경우에 일어난다. 용혈의 원인이 제거되면 황달은 점차 소실한다.
-
우 전염성비기관염(牛傳染性鼻氣管炎: infectous bovine rhinotrachitis)
소로 허어페스 바이러스(herpes virus)의 감염에 의해 일으키는 소의 호흡기관증상을 주징으로 하는 질병. 발열, 눈물, 호흡곤란, 해수(咳嗽), 농성비즙의 배출, 비점막의 충혈외 자궁의 질등에도 염증을 일으키고 유산의 원인으로도 된다. 예방으로서는 백신이 있고 IBR, 소바이러스성 하리·점막병 및 파라인 플루엔자의 3종 혼합백신도 있다.
→ 계출(屆出) 전염병.
-
우신우신염(牛腎盂腎炎: bovine pyelonephritis)
빈번히 배뇨하여 혈뇨가 되고 이윽고 요중에는 혈괴(血塊)와 점막편을 보이는 것 같이 된다.원인은 세균의 코리네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다.
-
우역(rinderpest)
우역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법정전염병. 고열과 심한 하리를 주징으로 하고 전염성과 치사성이 높다. 현재 일본에서의 발생은 없다. 해외악성 전염병중 가장 중요한 질병이다.
-
우폐역(contagious bovine pliuropneumonia)
Mycoplasma mycoides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소 및 물소의 법정 전염벙. 현재 일본에서의 발생은 없지만 해외 악성 전염병의 하나. 급성기에는 발열과 습성의 기침, 콧물등의 호흡기증상을 보이고 만성으로 이행하면 복식호흡과 삭수(여윔)를 볼 수 있다.
-
우폐역(contagious bovine pliuropneumonia)
Mycoplasma mycoides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소 및 물소의 법정 전염벙. 현재 일본에서의 발생은 없지만 해외 악성 전염병의 하나. 급성기에는 발열과 습성의 기침, 콧물등의 호흡기증상을 보이고 만성으로 이행하면 복식호흡과 삭수(여윔)를 볼 수 있다.
-
유누(乳漏: lactorrhea)
유두관의 폐쇄기능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끊임없이 소량의 유즙이 유두로부터 새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유두의 손상이 원인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유두 괄약근이 약한 소에서는 유방이 딱딱한 초산시와 비유초기에 유즙이 새어나온다. 또 착유직전에 유방이 팽팽해 질 경우 혹은 횡와시에 유방이 후지로 압박되면 유즙이 새는 것이 있다.
-
유두손상(teat injury)
유두의 절상(折傷), 좌상(挫傷), 열상(裂傷), 단열(斷裂), 유두구 반전등 뒷다리 발꿉과 milker에 의한 손상의 총칭. 유두관 혹은 유두구의 협착(狹窄), 폐쇄(閉鎖), 누유(우유가 새는 것)가 일어나고 유방염이 병발한다. 유두구가 정상으로 회복하고 착유장해가 개선하지 않는 한 완치되지 않는다. 손상의 발생에는 짧은 우상, 우상과 통로의 큰 차이등 소의 일상생활을 부자유하게 하는 요인이 관여한다.
-
유두종(papillomatosis)
소의 유두종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체표와 일부의 점막에 보이는 만성의 증식성의 종양. 소의 연령, 종류, 성에 관계없이 동계를 중심으로 산발적으로 발생한다. 외과적 절제와 자가백신이 응용된다.
-
유방 혈종(乳房血腫: udder hematoma)
유방의 타박(打撲)등에 의한 내부 출혈 때문에 유방의 종창·경결(硬結)을 일으키는 질병. 손상한 분방은 혈유가 되는 것이 많다. 초기는 외부로부터 냉습포(冷濕布)로 하고 이환(罹患) 유방의 착유를 비교해 본다. 그 후에 손으로 착유하고 혈액 응괴(凝塊)를 제거한다. 세균 감염이 일어나지 않으면 자연히 치유(治癒)된다. 유즙의 정상화는 비교적 빠르지만 경결의 소실에는 시간을 요한다.
-
유방부종(udder edema)
임신말기에 농후사료와 고단백질 사료를 다급한 경우 유방이 이상하게 커지고 초산우등에서는 하복부로부터 뇌수부에 부종이 미치는 것. 많게는 분만후 약 20일로 자연히 소멸된다. 더욱 좌우 유방간의 제인(提靭)간에 참출액이 대량으로 저류한 것을 유방 중격수종(乳房中隔水腫)이라고 한다. 이것은 부종 때문에 지지조직(유방하수를 막는 인대)의 취약화가 일어나고 유두가 접지하는 만큼 하수(下垂)한다.
-
유방염(mastitis)
유방내에 침입한 병원 미생물의 감염에 의해 일어나는 유관계와 유선조직의 염증. 원인균은 전염성 세균과 우사·생체에 항상 살고 있는 환경성 세균이 있고 유두구와 유두의 상처로부터 침입한다. 유즙의 합성 기구가 조해되고 이상유를 분비하거나 체세포수(특히 백혈구)가 증가한다. 임상형으로는 유방의 종창(腫脹), 동통(疼痛) 및 경결(硬結)을 수반한다. 방제 대책의 기본은 우사·우체의 청결화와 올바른 착유이다.
-
유열(milk fever)
분만직전으로부터 분만후 2일 이내에 혈중 칼슘(Ca) 농도의 저하 때문에 기립곤난에 빠지고 마비(麻痺)와 의식장해를 보이는 질병. 경산우, 특히 고비유우에서 많고 혈중으로부터 초유로의 Ca이행과 장관(腸管)으로부터의 Ca흡수장해 때문에 일어난다. 발증에서 치료까지의 시간이 짧을 때는 브로글루콘산(Brogluconic acid) Ca제의 주사에 의해 기립 가능하게 된다. 예방법으로서는 건유기에 있어서 Ca의 제한, 분만전의 비타민 D3 주사와 분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