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술정보

환기용 개구부의 규격과 설계

자연환기의 원리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자연환기방식에서 환기(배기)는 주로 (90%정도) 축사의 배기구를 스쳐 지나가는 바람에 의하여 일어난다. 그러므로 배기구는 바람에 가장 잘 노출되는 곳, 즉 축사의 가장 높은 속(양면물매형에서 용마루부분)에 설치되면 입기구는 양면벽에 설치하고 입기구의 면적은 최소한(환기를 가장 적게 할 때) 배기구의 면적과 같아야 하고 환기를 위한 개구부(Opening Size)의 면적은 다음 계산식으로 계산한다.

A= 4.7Q
V

※ A = 개구부 (임기구, 배기구)의 면적(평방인치)
Q = 환기율(cfm : 1분간의 환기해야 할 양(입방피드))
V = 풍속(mph, 시간당 마일)

  • 계산 예
    A= 4.7Q = 4.7(사사오입시 5) 평방인치
    V

    (1두당 배기구 및 벽 각각의 입기구 면적)


    <표 2-5>는 표하단 주기의 조건시에 자연환기형 축사의 동계와 하계에 축사별환기용 개구부의 추천개방폭이다.
    이 추천폭은 폐쇄형 축사의 바닥면적과 가축을 기준을 산출하였다.


    <표 2-5> 자연환기형 축사의 축사별 환기용 개구부의 추천폭

    축사별 동 계 용
    배기구·입기구 폭
    하 계 및 개 방 폭
    양면물매형지붕 한쪽물매형
    뒷벽 앞벽
    돈 사 0.5인치 14인치 7인치 21인치
    비육돈사 2.0 9 5 15
    유 우 사 1.0 6 4 12
    면 양 사 0.75 6 4 12
    • 건물폭 10피트당 개구부 폭임.
    • 동계개구부(배기구, 입기구)폭은 바람속도 10mph때의 기준이며, 용마루 배기구의 폭은 어 느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폭을 4인치(10cm)로 설치하여야 함.
    • 양쪽 물매형 지붕건물의 하계 벽 개방폭은 혹서기 대비 풍속 1mph를 기준으로 한 것임.
    • 한쪽 물매형 지붕은 깔대기와 같은 형으로 여름철 환기효과가 매우 높음.
  • 저온기 입·배기구 개방폭 치수결정(계산)
    • 폭 28피트(835cm) 길이 96피트(2,926cm)의 양쪽 물매형돈사에서 비육단계 돼지 320두를 사육할 경우로 계산하려 보면 〈표2-5〉에서 동계용 개방폭은 10피트당 0.5인치이므로 돈사폭2.8피트 때는 1.4인치(0.5?2.8)가 된다. 이 계산에 따르면 돈사 용마루 전체와 벽상단과 트러스 사이(eave라고 함)전체에 1.4인치(35.5mm)를 개방하여야 하는 것이 된다. 용마루와 이브(eave : 벽상단)의 〈표2-5〉개방폭은 최소한계(minimum)치수이다. 용마루배기구와 벽상단 입기구(eave)를 열고 닫아 조절할 수 있는 축사에서는 바람이 없는 날의 적정한 환기를 위하여 개방폭을 20∼50%증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러나 매우 저온인 날씨에는 따뜻하고 습한 냐부 공기가 용마루 배기구를 빠져 나갈 때 찬공기와 갑자기 접촉하면 서 성애로 변하고 배기구에 성애가 겹쳐 끼어서 배기구가 좁아지고 배기가 정상으로 안 되는 경우가 생긴다.(여유폭을 두는 이유)
      한쪽몰매형 지붕의 배기구도 지붕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불어 내려오는 바람에 의하여 배기구에 서리가 끼는 경우가 생긴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배기구폭은 최소폭을 4인치(10cm)로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성애가 끼지 않는 곳에서는 그럴 필요가 없다) 앞에서의 계산으로 배기구폭은 1.4인치(35.5mm)이므로 4인치(10cm) 폭으로 하려면 용마루 총길이가 96피트중 33.7피트의 (96.285) 용마루에만 4인치폭의 배기구를 설치하고 실무적으로 세 개의 트러스마다. 하나의 트러스에 4.2인치 목의 용마루 배기구를 설치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하면 96피트 전체에 1.4인치폭의 배기구를 설치하였을 때와 배기구의 총면적은 같아진다.
  • 고온기(벽 개방폭(면적) 결정(계산)
    • 자연환기형 축사의 축사형태별 고온기(여름) 벽개방 하한폭은 <표2-5>와 같다. 앞에 예로 든 돈사(폭 28피트, 길이 96피트, 양면 물매형)의 앞뒷벽 하계 개방폭을 <표2-5>의 하한폭으로 계산하여 보면 이 돈사의 여름대비 개방폭은 다음과 같다.
      건물폭 10피트(3.48m)때 벽 개방폭은 14인치(35.5cm)이므로 건물폭이 28피트일 때는 14인치×2.8을 하면되어 최소개방폭(양쪽:앞뒤)은39.2인치(99.5cm≒100cm)가 된다. 이것은 건물벽상단 전체를 100cm개방하는 것이다. 이 돈사의 지붕용마루에 설치된 동계용 배기구(ridge open)는 하계에는 돈사(축사)내에 온도가 상승한 공기를 깔대기현상(자연환기형 축사는 천장을 설치하자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므로 생기는 모양)에 의하여 밖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한다.
      앞에서의 계산으로 폭 28피트 돈사에 하계환기용 벽 개방폭은 39.2인치이나 건물 벽에는 기둥 또는 기둥을 지지해주는 보조기 등 통풍장애물 이 있으므로 이런 것들이 가로막는 공간을 계산하면 높이 42인치 정도의 창문을 설치하여야 계산 통풍공간(39.2인치)을 확보하는 것이 된다. 만일 양면물매형건물에서 한쪽벽의 통풍(환기)공간을 앞의 설비 치수(42인치)이상으로 (예:완전개방)하더라도 뒷벽의 개방공간을 보다 적게해서는 안 된다. 그 까닭은 입기쪽 개방폭을 크게 하더라도 배기쪽 개방폭이 적으면 환기량은 배기쪽 공간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 용마로 배기구의 설계와 설치
    • 축사별(가축) 요구(필요) 환기용 공간의 최소 한계폭은 <표 2-5>와 같으나 이것은 공기흐름의 장애물이 없을 때 <표 2-5>보다 커져야 한다. 그러므로 실제 설치규격은 장애물에 의한 통풍장애를 보상할 수 있는 크기로 하여야 하며 보상률은 최소 35% (<표 2-5>계산치보다 크게)이다. 응용설비방식으로 배기 또는 입기구 폭을 조절할 수 있는 설비를 할 수 있다.(예:〔그림2-23〕과 같은 개폐식 조절설비를 이용하면 필요시 개폐폭을 필요에 따라 적의 조절할 수 있다. 가축별로 보면 소와 양은 돼지에 비하여 추위에 잘 견디므로 용마루를 개방하는 (Ridge opeing) 환기방식에서 배기구에 모자(작은지붕)을 씌우지 않는 설치 방식을 권장한다. 용마루 배기구에 모자(작은지붕)를 씌우면 환기(배기)에 장애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그림2-23〕용마루 배기구폭을 조절할 수 있는 일부 응용설비 방식


      용마루 배기구에 모자를 씌우지 않았을 경우 지붕틀(트러스)이 상할 우려가 있으므로 〔그림2-24〕와 같이 트러스 보호 덮개를 씌워준다. 많은 농가의 경우 눈이 용마루 배기구를 통하여 축사내로 들어가는 것에 대하여 우려를 하여왔다.(미국에서). 그러나 개방식 용마루 배기구는 배기구에 모자(작은 지붕)를 씌었을 때보다도 오히려 눈이 축사내로 적게 들어간다.


      〔그림2-24〕수직 눈막이 판자에 의한 눈의 유입 조절과 트러스 보호덮개에 의한 노출 트러스의 보호


      그래도 눈이 축사내로 날려 들어가는 것이 문제가 되면 〔그림2-24〕와 같이 용마루 배기구를 따라 눈막이 판자(배기구 양쪽)를 세워주면 눈이 날아 들어가는 것은 줄일 수 있고 환기효과도 약간 개선된다.

      〔그림2-25〕와 같이 바람과 눈이 용마루 배기구와 평행으로 날릴 때는 눈이 더 많이 들어가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는데 그 까닭은 아랫 방향으로 눈이 떨어지는 때는 기압이 낮은 때이기 때문이다.

      〔그림2-25〕눈과 비 유입 방지용 판


  • 벽상단 환기설계

    벽상단 환기공간(동계 입기구)은 지붕틀(트러스)이나 서까래와 벽상단간의 공간을 이용,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벽상단고 지붕틀(또는 서까래)사이의 공간은 <표 2-5>의 입기구 요구폭을 확보하는데 넉넉한 공간이 된다. 단 건물폭이 매우 넓어질 때는 (40∼50피트 이상)공간이 부족한 경우도 생긴다.

자연환기시스템 설계에서 고려할 사항

다음의 자료들은 자연환기형 축사에서 환기효율을 높이는데 도움을 주는 것들이다.

  • 지붕경사
    • 지붕물매 각도는 자연환기에 영향을 주는 중요 요소이다. 완만한 경사보다 급한 경사가 공기흐름이 빠르고 환기도 잘 된다. 가능한 한 지붕의 물매(경사)는 3/12(수평길이 12인치에 높이 3인치)이하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축사쪽이 넓어지는데 따라 물매 경사를 더 크게 한다.
  • 공기흐름 방해물
    • 자연환기방식 축사에서는 천장을 설치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공기는 지붕내면을 타고 용마루 배기구를 향하여 흘러(올라)간다. 그러므로 트러스(지붕틀)나 중도리가 공기흐름을 방해하며 공기가 습하고 결로점이 되었을 때는 결로현상이 일어나 건물을 상하게 한다. 그러므로 중도리가 너무 넓은 것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추천규격은 6인치(15cm)를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4인치(10cm)가 적정하다(공기흐름을 심하게 방해하지 않음).
  • 벽높이
    • 벽높이도 자연환기에 영향을 끼친다. 만일 벽높이가 충분하지 못하면 벽을 가로지른 aksr대나 장치 같은 것들에 의해 여름철 공기흐름에 방해가 되며 또한 겨울에는 전면개방형 건물에서 탱양광선이 적당하게(비쳐야 할 곳까지)통과하지 못한다. 벽높이는 축사의 폭이 넓어질수록 더욱 중요하여진다.

      벽은 여름철 환기를 위하여 충분히 개방할 수 있어야 하며 <표 2-6>은 축종별 축사의 폭의증가에 따른 추천 벽높이다.

      <표 2-6> 가축별 축사폭에 따른 벽높이 추천 치수(자연환기축사)

      건물폭벽
      가축별
      건물폭별벽높이
      40ft이하 50ft 60ft 70ft 80ft 100ft
      육 우 12ft 14 14 16 16 16
      젖 소 8 8 10 10 12 12
  • 단열(Insulation)
    • 축사의 단열은 열보전을 돕고 건물에 결로(이슬맺힘)를 방지한다. 축사내는 가축의 분뇨와 호흡으로 인하여 물(수증기)이 계속 발생한다. 그 발생량을 "예"를 들어보면 한 마리의 튼 젖소는 호흡으로 하루에 4∼5캘론(15∼19.8ℓ)의 물을 발생시킨다. 이 물은 공기중의 습도를 높이고 갑자기 기온이 내려가 이슬맺힘 환경(결로점)이 생기면 이슬로 변한다. 지붕단열은 지붕내부를 따뜻하게 유지하여 습한 공기가 접촉되더라도 이슬맺힘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한다. 전면 개방형 축사와 같이 축사 내 온도와 축사의 온도의 차가 크게 나지 않도록 관리되는 축사는 사내 외 온도차가 5℉(3℃)정도밖에 되지 않으므로 결로현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 이 경우 지붕단열은 지붕에 걸리는 열부하(태양열)를 줄여주는데 이익이 될 뿐이다. 겨울철에 건물전체를 방풍, 또는 단열재로 가리는 경우(무창상태)가 있다. "예"로 폐쇄식후리스톨유우사에서 사내 외 온도차가 20∼30℉(11.1℃∼16℃)정도까지 되고 결로현상까지 일어난다면 이 우사에서 선택한 최소단열 수준은 이전현상(결로 현상)방지를 위한 보완이 필요한 것이다.

자연환기체제 축사의 환기관리 및 설비조작

   자연환기방식 축사는 축사자체를 자연환경(장소, 기후...)D를 최대로 응용(이용, 방지)할 구 있도록 설계하고 설치하지만 기상상태의 변화가 클 때에는 인위적인 관리를 하여 가축이 기상(기온, 눈, 비 등)의 급변을 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관리대상 기상인자(요소)는 기온, 강우, 강설, 바람, 기습 등이며 주 관리대상 기상요소는 변화하는 기온이다. 우리나라의 기후는 4계절이 완연히 구분되고 일중 또는 일간 변화도 매우 큰 지역으로 기온의 연교차는 50℃이상이고 일간교차와 일교차도 10℃를 넘는 때가 자주 나타난다. 자연환기체계 축사에서 기온을 기준으로 할 때 관리의 구분은 적기온 관리, 고온 기 관리, 저온기 관리 그리고 환절기(일간, 일교차 급변 )관리로 대별된다. 고온기관리는 축사 내 온도의 상승은 최소가 되게 하고 체감온도가 가장 낮아질 수 있도록(습도상승억제. 통풍속도 최대유지 등_하여야 하고, 저온기 관리는 축사 내가 아늑하도록(기온하강역제. 기동최소하, 채광량 최대)하여야 하며 적온기에는 적온상태가 장기간 잘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환절기나 기상의 급변시에는 축사 내 환경상채(기온, 기습, 기동 등)가 급변하지 않도록 환기관리를 하여야 한다. 자연환기형 축사에서 환기조절용 설비는 배개구, 입기구, 창 등이며 이들 설비는 기상의 변화에 따라 적적한 관리와 조작을 하여야 한다. 용마루 배기구와 벽상단 입기구<〔그림2-26〕 (A)(B)참조>는 연중 개방하여 두도록 하는 방식(하한용량 입·배기구)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개방폭의 조절)이 있다. 창은〔그림 2-26〕과 같은 들창식, 회전창식 및 커튼방식이 있고 〔그림2-26〕의(D)는 환절기에는 통풍공간이 되게 하고 (완전개방), 동절기에는 입기구로 이용토록 한 방식이다. 이 방식에서는 문 하단 창틀에 바람막이 굽돌림을 하여 찬 작풍이 축사 내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축사 내에 좋은 환경을 유지하고 조절(조작)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서는 맨 먼저 입배기구의 시설용량(입기구쪽, 배기구쪽)이 적정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조작이 용이토록 하여야 한다.

(A)트러스사이를 이용한 동계 입기구
(B)윗(상)도리 밑에 설치한 동계 입기구
(C)벽상단에 들창을 설치하고 벽을 통하여 밑에서 위로 공기가 들어 가게 한 입기구(자연화기 초기 우사에서 사용)
(D)회전창과 회전창을 이용한 동계 조절형 입기구

〔그림2-26〕동계용 입기구와 창


환기는 배기구·입기구·창의 상호 연계조작으로 이루어지며 조작(개폐)하는 방법은 초기에는 인력에 의존하지만 차츰 자동으로 문을 개폐(창·입배기문)하는 장치를 이용하게 되었고 여러 종류의 자동화장치가 상품화되기도 한다. 자동기기들의 대개는 머리 위로 문을 들어 올리도록 작동하며 전자파에 의한 온도감지에 의거 자동으로 개폐조작을 하는 방법도 쓰여지고 있다. 문 개폐 자동조절 장치는 비닐(플라스틱)커튼과 나비문(Butterfly door or Pivotdoor〔그림2-37〕)D회전창에 잘 적용되고 있다. 이들(나비문 : 비닐커튼)은 경첩이 문꼭대기 〔그림2-26〕의(C)나 밑에 있는 문에 비하여 소요되는 힘이 매우 적어 적은 용량의 모터로도 작동이 훌륭하게 이루어진다.


그림2-27〕자연환기방식 축사의 창


비닐커튼(벽창문)은 목재나 철제문에 비하여 매우 가볍기 때문에 자동조절이 용이하며 또한 나비문이나 비닐커튼은 문 위나 아래에 경첩이 달린 문보다 작동거리가 짧기 때문에 작동시간도 짧아진다. 비닐커튼을 위에서 아래로 끌어내리는 방식과 〔그림2-28〕(a)아래에서위로 끌어올리는 방법들〔그림2-28〕(b)중에서 선택 이용된다.


〔그림2-28〕자연환기형 축사의 벽커튼


자동조절 시스템은 온도감지기, 모터, 폴리케이블도 구성된다. 나비문(회전창)고정핀(못)은 문의 무게 중심에 가장 근접토록 설치하였을 때 여eke는데 힘이 가장 적게 소요되며 닫쳐야 하는 방향 쪽에 약간의 무게가 더 쏠리게 하면 여닫이 끈을 늦추어 주면 자동으로 닫힌다. 케이블의 연결에 있어 개별 케이블은 문이 수평으로 열린 위치에 있을 때(최대통풍폭으로 열린 위치)문의 바깥쪽 팔위치에 연결한다. (〔그림2-29〕참조)


〔그림2-29〕나비문을 조절(개폐)케이블에 의거 수평위치로 여리게 한 상태


   그리고 창문에 열결 된 케이블을 문이 꼭대기까지 올라가도록 당긴 다음 폴리를 통과하여 주 케이블에 연속시킨 다음 조절장치에 연결한다. 조절장치는 〔그림 2-29〕와 같이 건물의 중심부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 까닭은 건물의 중심위치는 힘이 균형을 이루는 장소(양쪽에서 당기는 힘)로 조작 에너지가 가장 적게 소요된다. 만일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면 콘트롤러를 받치는 힘이 그 만큼 더 들고 문을 한쪽씩 따로 열어야 한다. 자동조절 장치를 사용할 때는 정전 등 비상시의 대미를 완벽하게 하여야 한다. 그래서 축전지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며 축전지는 전기에 의해서 자동충전 되는 석이 가장 이상적이다.
   수동조작은 광폭범위 기온조절(축사 내 유지 온도폭)을 의미하며(자동은 미세조작_비용이 매우 적게 드는 방법이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하절기 고온대비를 위하여 (고온피해)유우사는 개방이 최대로 되어야 하며 동계에 건물 전면이 개방되어도 사내가 얼지 않도록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돼지나 닭같이 기온의 영향에 민감한 가축에서는 미세변화 (온도)에 대한 자동조절이 경제적 계산으로 보아 효과가 높다.
   단 전면 개방식 축사로도 북향벽 사안의 입구는 영하기온인 때라도(-6.6℃이상)최소 입기구 폭을 유지(개방)하여야 한다. 후리스톨 우사에서 보면 집 전체의 환기나 통풍도 매우 중요하지만 우상의 통풍과 환기도 매우 중요하다. 필자의 경험으로는 여름철에 후리스톨 우상앞면이 막힌 경우 소가 우상을 기피하였다.(통로에 눕는 소가 생김) 반대로 겨울에는 우상 앞에 바람막이가 있는 곳을 소들이 선호하였다.


  • 한쪽물매형 건물(축사)의 환기관리
    • 환기체계와 관련하여 한쪽물매형과 양쪽물매형간에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한쪽물매형은 지붕중심부에 용마루 배기구를 설치할 수 없는 점이다. 한쪽물매형 지붕 축사의 설치방위는 높은 쪽 또는 개방하는 쪽이 남쪽을 향하는 것을 기본원리로 한다. 이 방식에서 하계환기는 한쪽벽에서 다른쪽벽 방향으로 사내를 가로질러 통과하는 바람으로 인하여 이루어지며 〔그림2-30〕의 (C)동계환기는 입기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가 축사내 순환한 다음 전면 벽상단(가장 높은 곳)의 배기구를 통하여 밖으로 나가는 순으로 이루어진다.(〔그림2-30〕(a)참조 )
  • 조절형 전면개방식 한쪽물매형 축사
    • 이 축사는 계절(기온)에 따라 다음과 같이 환기조작을 한다. 겨울철 기온이 20℉(-6.6℃)이하인 때는 〔그림2-30〕의 (a)와 같이 얕은 지붕 쪽 창과 입기구, 전면(높은 쪽)커튼을 완전히 닫고 전면하단 입기구와 전면벽 상단의 배기구만 열어둔다.

      〔그림2-30〕한쪽 물매형 지붕축사의 계절별 환기도


         이와 같이 하면 전면 하단 입기구로부터 초속 3∼4.5m(10∼15피트)속도로 찬 공기(신선한 공기)가 축사 내로 들어가고 들어 온 찬공기는 실내의 따뜻한 공기와 섞이면서 뒷벽 방향으로 이동한다. 찬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섞여 이동되는 과정에서 위로 올라가며 위로 올라간 공기는 지붕물매를 차고 높은 쪽(앞쪽)으로 이동하여 배기구로 나간다. 최저온 조작을 하면 이와 같은 순서로 환기가 이루어진다. 겨울이라도 외기온이 20℉(-6.6℃)이상되면 환기체계를 바꾸어 환기량을 늘려야 한다. 조작순서는 기온이 20℉(-6.6℃)이하인 때에서 이상인 때로 되면(기온상승)앞의 상태(20℉이하상태)에서 뒷벽(얕은벽 :북쪽벽) 상단의 입기구문(Baffle)만 열어두면 된다. (〔그림2-30〕의 (b)참조) 반대로 20℉이상의 기온으로 내려가면 동계입기구(뒤벽상단설치)만 닫아주면 된다.(앞의 반대조작) 여름에는 〔그림2-30〕의 (c)와 같이 전면커튼과 뒷면창을 최대폭으로 열어주고 전면의 입기구와 배기구도 열어둔다. 이렇게 하여 통풍공간을 최대로 하면 사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도 많아지고 속도도 최대로 유지되어 좋은 환경이 지속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온기의 주풍향은 서남간이므로 개방형 축사는 전면이 꼭 남쪽을 향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조절형 전면개방 한쪽물매형 방식 축사는 양돈(특히 비육사)에서 권장되며 미국에서는 표준설계표로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 전면개방 한쪽물매형과 조절형 전면개방식 한쪽물매형이 다른 점
    • 전면개방 한쪽물매형 축사방식은 앞쪽(높은 쪽)을 완전히 개방 4계절 같은 상태(열린 상태)로 유지하는 점이다. 이 전면개방식에서도 동계에는 사내공기흐름속도를 가급적 완만하게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겨울 계절풍방향(우리나라에서는 서북방향)은 찬바람이 들어오지 않도록 단단히 막아 주어야 한다. 서북쪽을 가려주는 시기는 외기온이 적온이하로 내려가는 때(10월 상순경)부터 이듬해 4월 하순경까지이다. 앞의 시기(10월부터4월간)이외에는 통풍장애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축사 내 공기이동속도가 최대가 되게 유지하여야 한다. 전면개방 한쪽물매형 축사의 여름기준 하한개방폭은 앞의 <표 2-5>와 같다. 우리나라의 후리스톨 우사 표준설계도는 전면개방식이다. 지붕형식은 양면물매형과 응용형 한쪽물매형이고 지붕의 일부도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방폭을 확대한 것은 고온장애(여름 생산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환기관리는 고온기에는 개방폭(앞, 뒤, 동쪽벽)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이며 저온기에는 앞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전면개방 한쪽물매형 축사와 같이 사내 공기 통과량을 줄여 흐름속도를 늦추어 주는 것이다. 따라서 서북쪽 벽면을 완전히(틈이 없이 튼튼하게)가려주어야 한다. 개폐식지붕은 밤에는 닫아주고 낮에만 열어주면 야간 사내 공기이동 속도를 늦추는데 도움이 된다. 주간에는 열어주어 채광량을 최대로 확보토록 하는 것이 좋다. 자연환경응용형 개방식 축사는 자연환경(여름바람, 겨울햇빛)을 취대로 이용하는 시설방식이므로 설치장소(통풍이 잘되는 장소),설치방위(여름바람을 잘 이용할 수 있는 범위)가 설계에 못지 않게 중요하다. 그래서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개방식 자연환경 응용형 축사는 전면이 꼭 남쪽을 향하도록 하여야 한다. 개방식 자연환기형 축사에서는 벽면의 높이(기둥높이)와 지붕의 각도로 축사내 환경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기준을 꼭 지켜야 한다.(기준 앞<표 2-6>) 입구쪽이 높고 뒤쪽이 얕은 것은 깔대기현상을 이용 뒷기둥 주위가 시원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앞기둥이 지나치게 높으면 지붕의 물매각이 커지고 겨울철 공기이동 속도가 빨라져 겨울에 사내가 아늑하지 않게 된다.(썰렁하다.) 그러므로 한쪽물매형 축사에서 앞기둥의 높이는 동지일사각을 기준(정오에 햇빛에 뒷기둥까지 비추게 하는 높이)으로 하여 저온기 햇빛을 최대로 이용하는 것을 한계로 하여 설계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계치수가 정하여지는 것이므로 표준설계도의 치수는 절대 지켜져야 한다.
  • 외풍조절
    • 우리나라는 계절풍의 방향이 뚜렷하기 때문에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환기관리를 하면 겨울철 외풍(직풍)은 거의 차단이 된다. 그러나 겨울철에 〔그림2-31〕과 같이 남쪽으로 기우는 서풍이 가끔 있기도 하다. 자연환기형 축사에서 겨울철 외풍(직풍)을 차단하려면 첫째 서·북쪽 양벽은 빈틈없이 단단하게 막아야 하며 동족을 가려주면 축사 내를 더욱 아늑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림2-31〕과 같이 남남서풍이 심한 곳(지형적 특성 등에 의한)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볏짚 갚은 것을 쌓아두는 것도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후리스톨 우사 표준설계도의 경우 육성·건유우사 부분의서북쪽 또는 성우사와 유성우사 사이를 막아(외풍을 막아)주면 육성사와 성우상 양쪽이 더 아늑하여진다.

      육성우사에서는 우군간 분리책은 바람을 막아줄 수 있는 자재로 하면 외풍의 영향을 더 줄여줄 수 있다. 여름에는 겨울과는 반대로 축사 내에 공기이동이 안 되는 곳이나 열이 축적되는 곳이 생기는 경우가 문제다. 이런 현상은 지형적 영향(축사설치 장소), 축사방향, 주의상황, 내부시설물의 배치 등에 의하여 일어난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려면 장소선정, 부지정리 방위설정 등의 기준을 충실하게 지켜야하며 축사와 축사간의 동간거리<자연환기형에서 50피트(15m)>도 지켜져야 한다. 개방자연환기방식 축사의 경우 주변에 그늘나무가 통풍, 채광, 등에 매우 나쁜 영향을 주는 위치도 있으므로 유의하여야 한다. 개방형 자연환기방식 축사는 축사만으로 환경조절을 할 수 이도록 설계되므로 설계이외의 별도시설을 할 때(사일로 창고, 조경)는 이들 시설물이 축사 내 환경에 미치는 영향도 잘 검토 배치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