젖소 특히 고능력우는 분만후에 대대적인 영양소대사 조정이 불가피하게 된다 이는 체유지나 태아의 발육을 위한 낮은 수준의 영양소 요구량에서 우유 생산과 체유지를 위한 많은 양의 영양소가 요구되는 시기로 돌입하기 때문이다 주로 이시기에 대사성 질병이 많이 발생한다 건유기에 대사성 질병이 많이 발생한다 건유기에는 영양소 섭취량이 요구량보보다 많아 체내에 에너지를 축적하게 되나 분만후 많은 양의 우유생산이 이루어질때는 사료를 통해 섭취하는 영양소량이 우유합성이나 체유지를 위해 필요한 영양소량보다 적어 체내에 있는 영양소를 이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체중감소가 이루어진다 실제로 고능력의 경우 이시기에 필요한 양의 영양소를 외부로부터 충분히 공급해준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래서 비유말기 또는 건유기에 필요한 양보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공급 적당히 살이 오르게 하므로서 분만후에 에너지 음균형에 대비하도록 한다 분만당시 과비상태의 젖소는 또한 분만후에 식욕이 크게 떨어지거나 4위 전위증 발생빈도가 높다 유방염은 물론 관절 등의 발생율도 높다 분만시 과비된 젖소는 또한 난산이나 후산정체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이러한 모든 문제들은 사양관리를 철저히 하므로서 그 발생빈도를 크게 줄이거나 또는 완전히 예방할 수 있다.
분만후 젖소의 사료섭취량(건물기준), 우유생산량 및 체중과의 관계는 다음 그림 6에서 보는 바와 같다. 그리고 비유주기별 에너지균형문제에 따른 각종 스트레스의 빈도가 높은 시기를 표시하면 그림 7과 같다.
원인 이는 비유말기와 건유기에 과다한 에너지섭취로 인해 발생한다 농후사료를 급여하거나 오구수사이레지 또는 양질의 건초를 무제한 자유체식할 경우 에너지섭취량이 요구량보다 많아 과비현상을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분만전 2주내외에 실시하는 농후사료 돋아먹이기(lead feedinf)를너무 일찍 시작하거나 급여량을 체중의 1% 수준이상으로 할 경우에도 과비현상이 나타난다.
그림 6. 비유기간중의 우유생산량, 건물섭취량 및 체중변화
비 유 주 기 | |||||
Ⅲ | Ⅳ | Ⅰ | Ⅱ | ||
에너지 수준 | 에너지 과다* | <―─―─―─―─―──―─―─> | |||
에너지 부족** | <―─―─―─―─―──―─―─> | ||||
대사성 질병 | 식욕부진 | <―──―─―─> | |||
유열 | <―──―─> | ||||
후산정체 | <―──> | ||||
관절염 | <―──―> | ||||
제4위전위 | <―──―─―─―──――──―> | ||||
케토시스 | <―──―─―─> | ||||
번식(수태) | <―──―─―─―─> |
그림7. 에너지 균형과 대사성 질병
* 비유말기와 건유기에 에너지 급여량이 많으면 분만시에 지나치게 살이 찐 상태에 이른다.
** 비유초기의 에너지 부족은 많은 양의 에너지가 우유합성에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과비상태 젖소의 경우 분만후 사료를 먹지 않거나 사료급여 관행이 좋지 않을 때 더욱 심화된다.
이는 젖소의 연령에 따라 발생빈도가 다른 것 특징이다 즉 초산우에 유열이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2산때 발생하는 경우도 드물고 3산 4산으로 갈수록 발생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유열현상이 나타나는 시점은 분만전에 일어나는 경우가3% 분만시에 발생하는 경우가 6% 분만후 1시간에서부터 24시간내에 걸리는 비율이 75%로 가장 높으며 분만후 25~48시간 사이에 12% 그리고 그후에 발생하는 경우가 4%정도라고 한다.
<표28> 칼슘 및 인의 섭취량과 유열발생 빈도와의 관계
공시두수 | 1일 섭취량(g) | 비율 | 유열발생율(%) | |
(칼슘) | (인) | |||
15 | 206 | 50 | 4.12:1 | 44 |
59 | 189 | 51 | 3.70.:1 | 74 |
10 | 140 | 28 | 5.00:1 | 40 |
59 | 137 | 85 | 1.60:1 | 16 |
18 | 125 | 55 | 2.30:1 | 5 |
19 | 120 | 20 | 6.00:1 | 26 |
15 | 105 | 111 | 0.95:1 | 40 |
94 | 119 | 43 | 2.30:1 | 2 |
82 | 89 | 53 | 1.70:1 | 13 |
94 | 83 | 48 | 1.80:1 | 19 |
12 | 73 | 31 | 2.30:1 | 75 |
88 | 72 | 48 | 1.50:1 | 8 |
14 | 36 | 31 | 1.16:1 | 50 |
3 | 34 | 28 | 1.21:1 | 33 |
20 | 34 | 34 | 1.00:1 | 15 |
19 | 11 | 74 | 0.14:1 | 10 |
26 | 11 | 44 | 0.25:1 | 8 |
10 | 11 | 24 | 0.45:1 | 0 |
49 | 9 | 90 | 0.10:1 | 6 |
16 | 6 | 20 | 0.30:1 | 0 |
5 | 6 | 24 | 0.25:1 | 1 |
케톤증은 대사장애로 인해 체액내에 케톤체 (ketone bodies)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주로 케톤증의 분만후 8주 사이에 발생하며 약 3주경에 발생율이 높다. 앞의 그림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 때가 사료로 섭취하는 에너지보다 우유로 나가는 에너지의 양이 훨씬 많은 시기이다. 일반적으로 케톤증중 3분의 1 이상이 다른 질환을 동반한다. 그리고 상당한 경우 케톤증의 후산정체, 관절염 및 창상성질환의 2차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에너지 섭취수준과 번식성적과의 관계는 1960년대 육용우 헤어포드를 대상으로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그후 1970년대에 홀론과 브랜톤등의 연구에 의해 젓소의 경우에도 비유초기의 에너지 균형과 번식성적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즉 비유초기에체중감소를 보이는 젖의 경우는 수태율이 낮으며 1회 수태당 수정횟수가 많다는 것이다 즉 <표2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만후 30일에서 90일사이에서 체중이 감소되는 우군의 경우는 첫 번째 수정에 의한 수태율이 44%에 불과한데 반해 이기간중에 체중이 증가한 소의 경우는 첫 번째 수정에 의한 수 태율이 64%인 것으로 보아 비유초기의 영양상태가 번식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29> 비유초기 체중변화와 번식성적
체중 | 수정회수 | 수태두수 | 수태율(%) | 수태당 수정회수 |
감소 | 544 | 234 | 44 | 2.32 |
증가 | 1368 | 911 | 64 | 1.50 |
다른 많은 연구에서도 영양수준과 번식울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바 있다. 그러나 건유기간에 필요이상의에너지를 급여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분만후에 에너지, 단백질, 비타민 및 광물질 등이 고루 함유되어 있고 기호성이 높은 사료를 급여하여 비유추기에 에너지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면 번식성적이 좋아지게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