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술정보

사료급여 및 저장시설-사료 제조시설(feed center)의 설계

   사료 종합시설은 컨베이어, 배합장치 및 사료저장시설로 구성된다. 사료 종합시설은 사일리지 취급이 효율적인 곳에 위치하여야 하며, 사료저장시설은 운반 트럭의 접근이 쉽고 저장된 사료를 배합기에 쉽게 넣을 수 있는 곳에 있어야 한다. 광물질, 소금 등과 같이 적은 양이 필요한 사료를 자루에 담거나 벌크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사료창고(feed room)에 확보되어야 한다. 사료창고의 처마 높이는 10'∼12'로 하여, 사료를 배합기에 넣는 오버헤드와 경사 컨베이어가 차지하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동식 배합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사료창고의 처마 높이를 12'∼14'로 하며, 배합기에 사다리를 접근시킬 수 있도록 배합기 부변에 약 3'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동식 배합기를 위한 사료 제조시설(mobile feed center)

사일리지와 고수분 곡류는 직립 또는 수평사일로에 저장하고, 건조한 곡류와 농후사료는 평지 저장시설에 보관한다(그림 117). 이동식 장비를 위한 적절한 차도를 마련하고(그림 118), 향 후 확장에 대비하여 저장시설을 증축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마련한다.

고정식 배합기를 위한 사료 제조시설(stationary feed center)

그림 119에 예가 나타나 있는데, 자연환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사료 종합시설의 건물은 축사로부터 최소한 50'떨어져야 한다. 사일리지와 고수분 곡류는 직립 사일로에 건조한 곡류와 농후사료는 배출시설이 설치된 빈에 보관된다. 고정식 배합기에서 배합된 사료는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축사나 운동장의 사료조로 이송하거나 차량에 실어 멀리 떨어져 있는 축사에 공급한다.

그림 117. 이동식 사료배합기를 위한 사료종합시설

         그림 118. 적절한 차도의 단면도                    그림 119. 고정식 사료배합기를 위한 사료종합시설

  • 조사료의 운반

    사료 중, 조사료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사료급여체계를 계획하는데 반드시 조사료의 부피를 고려하여야 한다. 짧은 시간 내에 대량 운반할 수 있는 체계를 이용하여 건초나 사일리지 등의 조사료 운반한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갖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컨베이어와 사료급여장치가 판매되고 있는데 몇 가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ers)
      • 벨트 컨베이어는 조사료 운반에 아주 적합하지만 설치비용이 비싸고 가파른 경사에 적합하지 않다. 직물로 만든 벨트는 40o까지 경사지게 할 수 있으며, 어거에 비하여 마력당 운반 능력이 높고, 최대 벨트 속도는 300fpm 정도이다. 조사료는 벨트 컨베이어의 끝에서부터 채워지며, 부착된 플라우(plow)에 의하여 벨트위의 사료는 사료조로 밀려 들어간다. 플라우의 종류에는 플라스틱 날이나 회전 솔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벨트의 한쪽이나 양쪽 면에 조사료를 밀어 낼 수 있도록 플라우를 설치할 수 있다. 축사 내에서 조사료를 급여하는 경우에는 벨트를 천장에 가깝게 설치한다. 자동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플라우를 이동시켜 운동장 12개까지 조사료를 급여 할 수 있는데 사료의 분리현상이 없어 비교적 균일하게 전체 사료조에 사료를 급여할 수 있다.
    • 체인 컨베이어(chain and flight conveyers/feeders)
      • 이중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조사료를 운반할 수 있는데 설치비가 싼 것이 장점이다. 운반용량은 컨베이어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컨베이어 경사가 급할수록 속도는 감소하는데, 일반적으로 속도는 150∼200fpm이다. 단일체인 컨베이어는 설치비가 싸고 일반적으로 사일로 배출방치로부터 사일리지를 운반하거나 사료를 가까운 곳으로 올릴 경우에 사용된다. 전환모터를 이용하여 사료를 두 가지 다른 방향으로 운반할 수도 있다. 체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사료조의 어느 곳에나 사료를 공급할 수 있는데, 공급되는 사료량의 조절은 체인의 사료운반 횟수를 제어함으로서 이루어진다. 목사슬이 부착된 소의 경우, 체인 컨베이어가 가동되는 동안 사료를 섭취하면 목사슬이 체인에 감길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한다.
    • 왕복 사료이송기(shuttle feeder)
      • 벨트, 체인 또는 이동식 사료통(moving trough)를 이용하는 몇 가지 형태의 왕복 사료이송기가 있는데, 사료공급지로부터 앞뒤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환모터와 컨베이어가 이용된다. 이 방식을 사용하면, 사료가 비교적 균일하게 급여되고, 고운 사료와 거친 사료의 분리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안는다. 이 장치는 옥외 사료조에 이용될 수도 있고 천장에 매달아 사내 사료급여에 이용될 수도 있는데, 특히 사료조가 같이 있는 대두식 축사의 경우에 적합하다. 운동장에 사료조가 설치된 경우에는 한 곳에 여러 개의 사료조를 두면 여러 그룹의 소에게 사료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다.
    • 오거 컨베이어(auger conveyer)
      • U-자형 사료통(U-trought)이 부착된 오거는 부피가 큰 사료를 수평으로 운반하는데 이용된다. 운반속도가 느리고 15o 이상의 경사에서는 잘 작동되지 않는다. 개방식 오거 사료급여기는 사료조 길이를 따라 불균형하게 사료를 분배한다. 그러나, 폐쇄식은 보다 균일하게 사료를 분배할 수 있고 튜브를 따라 사료가 이동되므로 사료 배합작용도 함께 한다.
  • 곡류 운반을 위한 오거 컨베이어
    • 오거 컨베이어
      • 오거 컨베이어는 곡류를 수평에서부터 수직에 이르기까지 모든 각도로 운반할 수 있으며 고정식 또는 이동식으로 사용된다. 비교적 비용이 싸고 운반용량이 여러 가지이다. 다른 컨베이어에 비하여, 특히 수분함량이 많은 곡류에 대한, 마력당 운반용량이 적다. 이를테면, 건조 옥수수를 운반할 때에 비하여, 고수분 옥수수를 운반하는데 두배 이상의 마력이 소모된다. 일반적으로 오거 컨베이어는 사일로로부터 고수분 곡류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PVC튜브 내에서 오거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 신축성이 좋은 스프링오거는 고수분이나 저수분 곡류 또는 농후사료를 운반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오거 컨베이어의 신축성은 튜브의 길이에 따라 달라진다.
    • 곡류 운반을 위한 사료급여 카트(feed carts)
      • 동력장치가 있는 카트는 조사료와 농후사료를 운반하는데 컨베이어 대체용으로 널리 사용된다. 동력원으로는 전기모터나 가스엔진이 이용되며, 오거나 체인을 이용하여 사료를 배출한다. 사료조의 형태에 따라 사료는 꼭대기나 밑바닥에서 배출된다. 컴퓨터제어 카트는 사료배출을 1/10파운드까지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400두의 소에게 사료를 급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입력될 수 있다. 이 밖에 30bu 용량의 TMR을 배합할 수 있는 사료급여 카트도 있다.

사료급여체계

  • 농후사료 사료급여체계

       우군의 분리가 불가능한 경우에, 농후사료를 선별적으로 급여할 수 있는 컴퓨터제어 농후사료 급여기가 최근에 개발되었다. 이러한 선별 사료급여체계를 가동시키기 위해서는 개별우상이 있어야 하며 각 소는 사료분배기에 접근했을 때 컴퓨터에 인식될 수 있는 인식표가 부착되어야 한다. 농후사료 급여기는 각 소의 농후사료 급여량이 입력된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일일 정량을 배출하는데, 소가 우상을 떠나거나 정량을 모두 섭취했을 경우에 급여기는 사료배출을 중단한다. 급여기의 사료 배출 속도를 느리게 하여 소가 급여된 사료를 모두 섭취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급여되지 않은 사료량은 컴퓨터에 입력되어 기억되었다가 소가 우상에 다시 진입하면 배출된다. 컴퓨터에 일일 정량을 몇 차례로 나누어 입력시켜 일일 정량을 여러 차례에 걸쳐 섭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개체별 일일 사료섭취량은 컴퓨터에 모두 기록되어 개체별 기록유지를 돕는다.
       지난 10여년 동안의 전자공학의 발달로 이러한 첨단 사료급여체계의 구축이 가능해졌는데, 3가지 각기 다른 농후사료나 원료사료를 급여할 수 있는 컴퓨터제어 사료급여체계도 현재 개발되어 있다. 컴퓨터제어 사료급여장치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 개체별 요구량에 따라 농후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다.
    • 개체별 실제 농후사료 섭취량을 관찰하는 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
    • 일일 사료급여량을 나누어 여러 차례에 걸쳐 급여함으로서 최대 사료섭취를 도모할 수 있다.
    • 수 첨가제를 급여할 수 있고. 3가지 다른 농후사료를 개체별로 달리 급여할 수도 있다.
    • 농후사료 급여에 따른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 개체별 농후사료 급여량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개체별 산유량, 신체충실지수 및 나이에 따라 적정 농후사료 급여량이 공급되도록 수시로 급여장치를 표준화시키고 점검하여야 한다).
    • 추정된 조사료 섭취량을 기초로 농후사료 급여계획을 세운다.
    • 개체별 사료급여량을 프로그램화하는데 시간과 노동력이 많이 소요된다.
    • 전체 건물섭취량을 알아 낼 수 없다.
    • 조사료와 농후사료 섭취량 비율을 개체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 건초급여체계
    • 건초를 TMR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세절하거나 분쇄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별도의 급여시설을 마련하여야 한다. 운동장에서 건초를 섭취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형태의 건초급여기를 마련할 수 있는데, 건초급여 패널(panel)이나 울타리를 설치하면 소가 섭취할 때 건초를 운동장 안으로 몰고 들어가 허실되는 양을 줄을 수 있다. 후리스톨 우사의 경우, 몇 개의 우상자리를 건초 급여장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제한된 양의 건초를 공급할 경우 자가 급이기에 두당 6"의 건초급여 공간을 마련한다. 울타리나 차량통과식 사료급여시설이 마련된 후리스톨 우사의 경우, 사료조를 따라 건초를 매일 급여한다.

사료가공

   일반적으로 대개의 목장은 몇 가지 형태의 사료가공 장비를 갖추고 있다. 사육규모가 증가하고 원료사료가 바뀜에 따라, 목장에서 사료를 직접 가공하는 경우가 점점 증가될 전망이다.
   롤러 밀(roller mill)은 옥수수, 대두, 보리 등을 분쇄 또는 압쇄하는데 이용된다. 건초를 분쇄하는데 사용되는 헤이 밀(hay mill)은 가격이 비싸고, 1"스크린을 통하여 시간당 6∼20톤의 건초를 취급할 수 있으려면 25∼150hp가 필요하다. 소량의 건초를 분쇄하여 이용하는 일괄배합(batch miing)의 경우에는 깔짚 세절기(bedding chopper)가 이용될 수 있다. 터브 그라인더(tub grinder)는 75∼100hp트렉터를 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터브가 천천히 회전하면서 그라인더 바닥에 있는 햄머 밀(hammer mill)에 조사료를 지속적으로 공급해 주어 분쇄하는 방법이다. 분쇄된 조사료는 바닥에 쌓아 두거나 짐차에 실어 필요한 곳으로 운반할 수 있다. 원료사료는 front loader를 사용하여 터브 그라인더에 넣으며, 분쇄속도는 조사효의 수분함량, 스크린 크기 및 동력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안전

   사료급여체계를 계획할 때 반드시 안전을 고려하여야 한다. 머리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에 보호막을 친다. 배합기에 사료를 채울 때는 미끄러지지 않는 계단이나 사다리를 이용한다.
   컨베이어나 배합기에 비상용 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모터나 전선은 반드시 규격품을 사용하고 먼지나 수분은 장비를 부식시키기 때문에 감전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사료창고와 사료배합 지역은 항상 청결을 유지하여야 한다.
   직립 사일로에는 사일로 가스가 존재하고 산소결핍 지역이기 때문에 반드시 사림이 지켜보는 가운데 적절한 호흡장비를 갖추고 들어가야 한다. 호흡장비는 제조회사나 판매원을 통하여 올바른 착용법을 숙지한 후 착용하여야 한다.
   어거는 목장사고의 주요 발생원이다. 손, 발 및 옷이 작동중인 어거에 휘말리지 않도록 제조회사에서는 반드시 개방된 어거 부분에 안전 보호막을 설치하여야 하고, 작업자는 절대로 안전 방패막을 제거해서는 안된다.
   빈 내에 사람이 있을 때 곡류빈의 배출 어거를 작동하면 사람이 빈 아래쪽으로 빨려 들어가 질식하게 된다. 작동 중인 어거의 흡입력이 너무 세기 때문에 빈 중앙에 설치된 안전 밧줄만으로는 안전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배출기를 작동하기 전에 빈 내에 사람이 있는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빈 내로 들어가기 전에, 배출 어거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반드시 차단한다. 부패되었거나 젖은 곡류가 종종 빈 내에 브리지를 형성하여 곡류배출을 저해하는 경우가 있다. 브리지가 붕괴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절대로 빈 내로 들어가지 말고, 빈 밖에서 장대를 이용하여 브리지를 부수어야 한다. 곡류먼지에 노출될 경우에는 먼지 마스크를 착용하며 특히, 부패한 곡류로부터 생성된 곰팡이먼지를 마시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